•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Dropout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9초

QoL에 의한 정보형 중도탈락의 모형화 (Modelling the Informative Dropouts with QoL)

  • 이기훈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6권3호
    • /
    • pp.225-237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modelling the informative dropouts with QoL(quality of life) in survival analysis. QoL is the index to measure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a patient who got some treatments for a disease. Dropouts are prevalent occurrences on longitudinal study They are commonly dependent to the QoL of patients, that is, severe disease or death and called informative dropouts. Modelling the mechanism of dropouts could achieve the more accurate inference for survival analysis. A likelihood method is proposed to estimate the survival parameter and test the patterns of dropouts.

  • PDF

A Study on Exploring the Academic Dropout of College Students(Centering Around D College)

  • Lee, Jae-Do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convergence
    • /
    • pp.89-92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and causes for the dropouts of college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among 14,210 freshmen attending D College, other than the supernumerary special selection, from 2001 through 20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ll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ropout rate of women, generally selected and general high school graduated were higher than for men, specially selected and special high school graduated, respectively. The most dropouts were due to Not Return(40.16%), followed by Unenrolled(32.98%), Voluntary Leave(26.05%) and Expelled(0.81%) in order. In the distribution of the central tendency values measured from the entire subjects. the high school records and the days of absence showed a positive skewness. while the college records showed a negative skewness with the data mostly around a higher grade. The standard deviation indicating that the dropouts got the score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inuing student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two groups.

  • PDF

학업중단 청소년 (The School-Dropout Adolescent)

  • 조성연;이미리;박은미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91-403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status, research issues, and pragmatic and policy issues of school-dropout adolescents. As the number of school-dropout adolescents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since 2006, more attentions have been given to these adolescents academically, intervention and policy-wise. Some of the research topics on them include types of school-dropouts, their socio-environmental factors, and reasons for the increase of school-dropouts. In reality,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cope with their dropping out of schools by preparing the career guidance for them and to resolve the issues of their returning to or continuing in school education and their welfare.

  • PDF

임상시험에서 중도탈락을 고려한 표본크기의 결정 (Sample Size Calculations with Dropouts in Clinical Trials)

  • 이기훈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5권3호
    • /
    • pp.353-365
    • /
    • 2008
  • 임상시험에서 피험자수는 검정가설, 변수값의 분산과 유효차이, 검정력과 유의수준 등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일반적으로 수학적으로 계산된 피험자수에 중도탈락 예상치를 고려한 피험자수를 추가하여 최종적인 실험참가자수를 결정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인 계산식에서부터 중도탈락을 고려하여 피험자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임상시험에서 많은 자료는 경시적(longitudinal) 형태를 갖고, ITT(intention to treat) 실험의 경우 중도탈락이 생기면 결측값으로 처리하지 않고 탈락직전에 관측된 값을 최종값으로 대체하는 LOCF(last observation carried forward)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LOCF 방법은 피험자수 계산에 사용했던 분산과 유효차이 값의 가정에 왜곡을 가져오기 때문에 우리가 원하는 검정력을 보장 받지 못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탈락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험자수의 결정식을 제안하고 평균의 동일성 검정 경우에 검정력을 비교하여 이러한 산출방식이 합리적임을 실증하였다.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관한 연구(D대학 중심) (A Study on the Academic Dropout of College Students)

  • 이재도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47-54
    • /
    • 200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대한 현황과 요인을 분석한 연구로서 D대학의 2001년부터 2005년에 입학한 학생 중에서 정원 외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을 제외한 14,2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보다, 기타계열의 고교 출신자가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보다 중도탈락률이 높게 나타났다. 중도탈락 학생들에 대한 분석에서는 미복학(40.16%)으로 인한 중도탈락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미등록(32.98%), 자퇴(25.05%), 학사제적(0.81%)으로 인한 중도탈락 순이었다. 전체 대상자의 중심경향 값에 따른 분포를 보면 학생부 성적과 결석일수는 정적편포이며 대학 성적은 부적편포로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은 일부이고 대부분 높은 점수가 집중된 경향임을 나타내었다. 표준편차를 보면 학업지속자 보다 중도탈락자의 성적이 크게 나타나 비교적 학업지속자의 성적이 비슷한 것으로 보여 학생부성적과 결석일수 모두가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부성적이 낮을수록, 결석일수가 많을수록 중도탈락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대학 1학년1학기 성적을 제외한 나머지 성적이 낮을수록 중도탈락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1학년 전체 성적이 제일 많은 영향을 미치고 다음이 1-2학기학점, 1-1학기 성적, 1-2학기성적, 그리고 1-1학기 학점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항목에서는 수업년한이 제일 큰 영향을 미치고 다음이 성별이 미치며 나머지 항목들은 영향의 수준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ale Development of School Dropout)

  • 노승현;정재민;최은지;김한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84-6594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단을 구성하는 잠재적 변인과 각 변인의 조작적 정의에 입각한 문항들을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개발 및 수집하였다. 또한 학업중단 청소년을 경험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여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는 10요인 4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동일 요인으로 묶인 문항들의 내용을 반영하여 외적태도, 내적태도, 부모태도 등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된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는 청소년과 교사들에게 학업중단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ter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Emotion of School Dropouts

  • Jung, Seon-Jin;Jang, Chun-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89-92
    • /
    • 2021
  • In this study, we wan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tigma on the psychological emotions of out-of-school youth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o that end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dropout Youth Panel Survey of the Experimental (2017) 318 with data. The study method used the AMOS 7.0 program to check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this study, we will first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logical sentiment of out-of-school youths, social stigma and parental emotional support. Second, we would like to examine how social stigma among out-of-school teens affects psychological sentiment. Third,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psychological sentiment of out-of-school youth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pport the existing prior studies related to out-of-school youth and further propose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that can be used in counseling and education sites. We would also like to discus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우울과 충동성을 이중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on Delinquency through a Dual-mediation of Depression and Impulsivit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이래혁;장혜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02-515
    • /
    • 2021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우울과 충동성을 이중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에서 1차 조사 당시 학업중단 상태였던 청소년 표본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for SPSS의 모델 6을 활용하여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우울과 충동성을 통한 매개 및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은 비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았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충동성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했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녀의 우울과 충동성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redictors of Re-participation in Faecal Occult Blood Test-Based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 Cole, Stephen R.;Gregory, Tess;Whibley, Alex;Ward, Paul;Turnbull, Deborah;Wilson, Carlene;Flight, Ingrid;Esterman, Adrian;Young, Graeme P.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5989-5994
    • /
    • 2012
  • Background: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longitudinal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faecal occult blood test (FOBT) based colorectal cancer (CRC) screening or on demographic or behavioural factor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re-screening. The lack of an agreed system for describing participatory behaviour over multiple rounds also hampers our ability to report, understand and make use of observed associations. Our aims were to develop a system for describing patterns of participatory behaviour in FOBT-based CRC screening programs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articular behavioural patterns. Methods: A descriptive framework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 data extract of screening invitation outcomes over two rounds of the NBCSP. The proportion of invitees in each behaviour category was determined and associations between behaviour patterns and demographic and program factors were identified using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We considered Re-Participants, Dropouts, Late Entrants and Never Participants to be the most appropriate labels for the four possible observed participatory categories after two invitation rounds. The screening participation rate of the South Australian cohort of the NBCSP remained stable over two rounds at 51%, with second round Dropouts (10.3%) being balanced by Late Entrants (10.5%). Non-Participants comprised 38.7% of invitees. Relative to Re-Participants, Dropouts were older, more likely to be female, of lower SES, had changed their place of residence between offers had a positive test result in the first round. Late Entrants tended to be in the youngest age band. Conclusions: Specific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behavioural sub-groups defined by responses to 2 offers of CRC screening. Targeted group-specific strategies could reduce dropout behaviour or encourage those who declined the first invitation to participate in the second round. It will be important to keep first round participants engaged in order to maximise the benefit of a CRC screening program.

학업중단청소년 중 비행과 일반청소년의 개인사회적요인과 중단후 경험에 대한 연구 (Individual, Social Factors, and Experience after School Dropout: Differences between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Dropout Youth)

  • 김선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16-226
    • /
    • 2012
  •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중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들의 주요 개인, 사회요인들을 비교하고 학업중단후의 경험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전국 209명의 남녀학업중단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분석결과, 개인요인은 성별, 연령, 지적장애, 노동여부, 친부모동거와 거주지역이 유의미한 차가 있었다. 사회요인에서는 소속기관, 복학경험, 검정고시합격이 유의미했다. 학업중단후의 경험에는 각 경로, 학업중단 시점, 학업중단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차가 있었는데 비행집단이 더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집단의 직업교육욕구와 비행집단의 복학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비행집단과 일반중단집단에는 개인사회적 요인과 학업중단후의 경험에의 차이에 근거하여 대상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교육개입과 정책을 제공해야할 것이다. 연구의 제한점과 학업중단청소년 중 비행과 일방청소년에 대한 개입방안과 대응에 대한 시사점도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