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izandra chinesi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오미자(五味子) 전탕액(煎湯液)의 투여(投與)가 흰쥐의 혈청(血淸) cholesterol 대사(代射)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on serum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 한상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64-372
    • /
    • 1998
  • It was investigated effect of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extract on the white rat which was induced hypercholesterolemia by fatty diet.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Neutral lipid level in blood lipid was greatly decreased on the group being fed animal fat diet and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extract, total cholesterol was decreased on the group being fed vegetative fat diet, HDL-cholesterol was shown that the group being fed vegetative fat diet and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extract at a time more increased HDL-cholesterol in a little than the other group, and normal fat diet group show to highest figure,38.5mg/dl. Animal fat diet group is 20.75 mg/dl. but, the group being fed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extract was increased to 31.00mg/dl. LDL-cholesterol had no difference between fat diet group and the group being fed Fructure schizandra chinesis Water extract.

  • PDF

오미자(Schizandra Chinesis Baillon)추출물의 분획별 항상화활성 효과

  • 김지은;황현익;이인순;문혜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17-320
    • /
    • 2002
  • 10 가지 식물추출물에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효과가 높았던 오미자를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층분리 후, 각 유기용매층에 따라 분리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Ethyl acetate층 추출물 (DPPH 51.6%. SOD 66.2%)과 Butanol층추추물 (DPPH 60.7%, SOD 67.4%) 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총 polyphenol 함량 또한 Ethyl acetate층 (30000 mg/kg) 과 Butanol층 (30000 mg/kg)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이한 점은 항산화 활성이 낮았던 water층 (39400 mg/kg) 에서 총polyphenol함량이 높았다.

  • PDF

음료 제조를 위한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lon) Extracts Under Various Conditions for Beverage Production)

  • 민성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0-327
    • /
    • 2013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lon) extracts under various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imes were examined. The pH level of the extracts ranged from 3.35-3.47. The sugar and solid content of the sampl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imes (p<0.01). In contrast, the lightness of the extracts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imes (p<0.001). In a palatability test, extracts boiled at $80^{\circ}C$ for 30 minutes scored high in terms of color, flavor, turbidity,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of the extract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imes (p<0.01). Furthermore, direct correlations between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or flavonoid content) were established through simple regression (r>0.9) for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imes. From these results, extracts boiled at $80^{\circ}C$ for 120 minutes is the best to product omija beverage considering functionality and sensory evaluation as well.

건조방법을 달리한 오미자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on))

  • 이슬;문혜경;이수원;문재남;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1-34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열풍건조, 원적외선건조, 진공동결건조)을 달리한 오미자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비교 검토하여 고품질의 건조 오미자를 얻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분 함량 및 수분활성도(Aw)는 열풍건조 > 원적외선건조 > 진공동결건조 순으로 나타났다. pH는 건조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당도는 $6.60^{\circ}Brix$로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탁도는 열풍건조 8.24 T%, 원적외선건조 0.32 T%, 진공동결건조 71.85 T%를 나타내었으며, 색도 L, a, b는 진공동결건조가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glucose > fructose > sucrose 순으로 나타내었고, 총 유리당 함량은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5.01 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에서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에서는 각각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88.68%, 93.85%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아질산염 소거능은 원적외선건조 오미자가 90.04%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열풍건조 오미자는 88.78%,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82.58%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탄닌 함량에서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1633.70 mg/100 g, 351.35 mg/100 g, 514.0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건조방법은 오미자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공동결건조 오미자는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높은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삼의 리그난성분 연구 (Lignan Components from Panax ginseng C.A. Meyer)

  • Han, Byung-Hoon;Huh, Bong-Hee;Lee, Ihn-R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17-220
    • /
    • 1990
  • Two lignanes, Comp.-I, mp 108-1$0^{\circ}C$ and Comp.-II 50-52$^{\circ}$were isolated from Korea ginseng extract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Comp.-I was identified as gomisin-N and Comp.-II as gomisin-A by spectrometric analysis, both of which have already been described as the anti-hepatotoxic lignan components of Schizandra chinesis Bail.

  • PDF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lon) Extracts)

  • 장은희;표영희;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72-376
    • /
    • 1996
  • 국내산 오미자의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검토하기 위해 극성이 다른 5종의 용매를 사용하였고, 0.05%, 0.1% 그리고 1.0% 농도로 기질 대두유에 첨가하여 용매별, 농도별에 따른 각각의 결과를 POV와 AV측정치를 통해 비교하였다. 용매 종류에 따른 오미자 추출액의 항산화 효과는 EA > MeOH > EtOH > PE > BtOH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항산화력은 0.02%의 BHT보다는 약했으나 0.02%의 $\alpha$-Toc에 비해서는 월등히 높았다. 또한 첨가농도별 오미자 추출액의 항산화 효과는 모든 시료에서 0.05% 농도가 가장 높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그다지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하였다. 각 용매별 오미자 추출액을 0.05% 농도로 대두유에 첨가한 뒤 항온저장(60$\pm$2$^{\circ}C$)과 가열조건(180$\pm$2$^{\circ}C$)에서 각각의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두 조건에서 모두 EA와 MtOH, EtOH 추출액의 순으로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가열시에는 BHT의 항산화력보다 높은 것으로 비교되었다. 나머지 용매, PE와 BtOH추출물도 대조구에 비해 항산화능이 인정되었으나 가열조건에서 BtOH은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alpha$-Toc 첨가구에 비해서는 모든 조건에서 용매별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은 훨씬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오미자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의 검색과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오미자의 용매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오미자차액 저장시의 부패와 이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관한 연구 (A microbiological investigation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lon) tea spoilage during storage)

  • 이효선;경규항;유양자;박승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1-46
    • /
    • 1988
  • 오미자차액은 여름철의 음료나 화채의 기액으로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그 열매는 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pH가 낮아(2.8-3.0) 미생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pH를 가지나 $25^{\circ}C$에 저장했을 때 부패가 일어나는 것이 확인되었고 부패균은 곰팡이와 효모이었으며 세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저장 중 부패되고 있는 오미자차액의 적정산도나 pH에는 그다지 큰 변화가 없었고 열매를 걸러낸 오미자차액에서의 적정산도는 열매가 들어있는 오미자차액보다 낮았는데, 그 이유는 열매가 들어 있는 오미자차액의 열매에서 산이 계속 용출되어 나왔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열매를 거른 오미자차액의 부패가 열매가 들어 있는 오미자차액보다 조금 빠르며 그 저장성도 열매를 거른 오미자차액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오미자차액의 색상과 맛의 효과로서는 걸러서 보관하되 장기적인 저장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 PDF

폐렴(肺炎) 유발균(誘發菌)의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는 한약재(韓藥材) 탐색(探索)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Screeining of Antibacterial Oriental Medicines Against Pulmonary Disease-causing Bacteria)

  • 정병운;서운교;정지천;한영환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21-140
    • /
    • 1999
  • 한약재(韓藥材) 중 폐렴(肺炎)의 치료효과가 기대되는 청열화담(淸熱化痰), 지해평천약(止咳平喘藥)을 중심으로 23종(種)의 약재(藥材)를 사용하여 폐렴(肺炎)을 유발하는 K.pnemoniae, S. pyogenes 및 S. pneumoniae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약재(藥材)를 탐색하고, 탐색된 약재(藥材)의 추출물에 대한 세균의 최소생육억제농도(最小生育抑制濃度)를 측정하였다. 한약재(韓藥材)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 중 황련(黃連), 호황련(胡黃蓮), 패장(敗醬), 황금(黃芩)이 K. pneumoniae에서, 황련(黃連)이 S. pyogenes에 대해서 생육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S. pneumoniae에 대한 비교저지환(比較沮止環)의 직경(直徑)은 황련(黃連), 오매(烏梅), 오미자(五味子), 황금(黃芩)쪽이 우수하였으나 황련(黃連) 추출물 사용시 병원균 모두에서 생육저지환(生育沮止環)의 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조군(對照群)으로 사용된 대장균(大腸菌)과 고초균(枯草菌)에서도 어느 정도의 항세균(抗細菌)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패장(敗醬), 황금(黃芩), 오미자(五味子), 오매(烏梅)가 K. pneumoniae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S. pyogenes 세균은 황련(黃連), 황금(黃芩), S. pneumoniae 세균은 황련(黃連), 오미자(五味子), 오해(烏海), 마두령(馬兜鈴), 황금(黃芩)에 의하여 생육이 억제되어 황련(黃連)은 수용성(水溶性) 및 에탄올 용해성(溶解性) 추출물에서 모두 우수한 항세균(抗細菌)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각 세균에 대한 최소생육저지농도(最小生育沮止濃度)(MIC)는 K. pneumoniae 세균일 경우 황련(黃連) 및 황금(黃芩)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과 오매(烏梅) 및 패장(敗醬)의 에탄올 용해성(溶解性) 추출물이 유의성을 보였으며, S. pyogenes 세균은 황련(黃連)의 수용성(受容性) 및 에탄올 용해성(溶解性) 추출물과 오매(烏梅)의 에탄올 용해성(溶解性) 추출물, S. pneumoniae 세균은 황련(黃連)과 오매(烏梅)의 수용성(水溶性) 및 에탄올 용해성(溶解性) 추출물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황련(黃連), 오미자(五味子), 오매(烏梅), 황금(黃芩), 호황련(胡黃連), 패장(敗醬)의 수용성(水溶性) 및 에탄올 용해성(溶解性) 추출물이 폐렴(肺炎) 유발균(誘發菌) K. pneumoniae, S. pyogenes. S.pneumoniae에 대(對)하여 우수한 생육억제(生育抑制) 작용(作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오미자약침액(五味子藥鍼液)의 NO, DPPH 소거(消去) 및 IL-4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 (The Scavenging Effect on NO, DPPH and Inhibitory Effect on IL-4 in Schizandrae Fructus Herbal-Acupuncture Solution)

  • 조현열;윤종석;서보명;이세연;김성웅;백정한;박치상;서정철;한상원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0권1호
    • /
    • pp.45-55
    • /
    • 2003
  • Backgrounds : It has been investigated about ageing theory. However, ageing mechanism still remains to be unknown. Since Harman proposes that ageing and ageing related diseases might be due to oxidative damage and these are modifiable by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designing an optimal nutritional countermeasure against ageing and ageing related disea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geing mechanism and other reactive species. Objectives : Schizandra Chinesis has been clinically used to treat brain disease, respiratory or inflammatory disease etc. in Oriental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avenging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herbal-acupuncture solution(SFHA) on NO, DPPH and IL-4. Results :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a significant scavenging effect of SFHA on NO in 0.1, 1, 10mg/ml group after 24hrs. (2) There is a significant scavenging effect of SFHA on DPPH in 1, $10{\mu}g/ml$ group. (3) There is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f SFHA on IL-4 in 1, 10, $100{\mu}g/ml$ group. Conclusions :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FHA can be used as antioxidant or antiimflammatory drug. But further study is needed about the effect of SFH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