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ematic Design Phas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1초

Development of framework to estimate environmental loads of PSC beam bridges based on LCA

  • Lee, Wan Ryul;Kim, Kyong Ju;Yun, Won Gun;Kim, In Kyu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30-731
    • /
    • 2015
  • This study aims at giving the framework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load at planning and schematic phase. With increasing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the effort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human activity has been increasingly enlarged. So far most of researches estimating CO2 emissions have analyzed energy consumption based on BOQ (Bills of Quantity) acquired after detailed design. There is also lack of reliability in the estimated environmental impact using the basic unit of a facility at the planning stage, because it uses a limited specific section of historical data. Thus, this study is targeted at developing framework to assess reliable environmental loads based on information available at project early phases by making case-bases from historical design information on PSC Beam Bridge. Historical database is built on the basis of the LCA (Life Cycle Assessment) and in order to set input information for estimating model, the literature about information in an early project phase are reviewed. Using the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planning and schematic design stage, the Framework is presented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load in an early stage in the project. Developing an environmental load estimation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present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nvironmental load in the initial project phase can be estimat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 PDF

부분별 코스트산정법을 활용한 계획설계 비용예측에 관한 연구 - 교육연구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st Estimate for Building Parts in the Schematic Design Phase -Focusing on Educational Research Facility-)

  • 김요한;이백래;김주형;김재준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8-25
    • /
    • 2011
  • 건축 프로젝트의 사업초기 비용 예측은 프로젝트의 규모, 품질 등 주요한 의사결정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비용예측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구체적인 근거 제시 미흡, 설계과정과의 연계성 부족, 정확성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량변화분석법 중 부분별 코스트 산정법의 비용예측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계획설계 비용예측 모델로 발전시키며,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비용 예측 과정의 간소화를 위해 실적공사비를 활용하는 방법과 공간별 보정계수 적용을 통해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계획설계 과정에서 설계자의 비용 예측이 가능하며, 현실성 있는 계획안의 도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녹색건축인증을 위한 설계단계 건설사업관리자의 세부 업무(역할)별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the Importance from Detailed Work (Role) of the Construction Manager for G-SEED Certification in the Design Phase)

  • 이두환;강성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03-11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업무수행 사례를 바탕으로 친환경 관련 건설사업관리 업무관리방안을 주요 단계별로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녹색건축인증을 중심으로 심의단계, 인/허가단계, 실시설계단계의 운영 및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건설사업관리 업무 세부 내용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녹색건축인증 공사비 분석에 대한 선행 연구 사례를 통해 추가되는 공사비와 획득 점수 비중을 근거로 주요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녹색건축인증의 주요 항목에 대한 건설사업관리 업무 세부 내용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의단계에서는 행정적인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녹색건축인증과 관련한 반영 요소의 확인, 인/허가단계에서는 설계도서 적정성, 각 단계별 설계의 연계성, 실시설계단계에서는 시공단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항들에 대한 검토 및 확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녹색건축인증의 주요 항목에 대해서는 설계도서에 관련 기술의 철저한 반영, 적정성 검토 및 확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설계단계 건설사업관리자 업무(역할) 세부 내용을 토대로 녹색건축인증의 운영/관리 프로세스와 주요 항목의 측면에서 효율적인 관리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층건물 수직·수평 요소기반 골조공사 개산견적 모델 (A Schematic Estimation Model for Structure Costs of High-rise Buildings based on Vertical and Horizontal Elements)

  • 남동희;박형진;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3-10
    • /
    • 2014
  • 고층건물은 공사비 규모가 크고 어느 건설사업보다 공사비 리스크가 높다는 점에서 면밀하고도 철저한 공사비 관리가 필요하다. 공사비 관리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세부적인 요소를 설정하고 분석하여 예산을 수립하고 설계 진행 단계별로 공사비의 추적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차기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초기단계 골조공사비 예측시 오차범위를 줄이고, 설계단계별 추적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고층건물의 골조공사비를 대상으로 수직 수평 요소(Element)를 기반으로 한 설계초기단계 골조공사비 예측모델을 개발한다. 사례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예측모델은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발주자의 요구사항반영, 기타요인에 의한 설계변경 등의 추적 관리가 가능하고, 향후 제시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축척하고 활용함으로써 골조 물량 및 골조공사비의 대비 오차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LL기법에 기반한 PWM 컨버터 전원 위상각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ase angle detection of power source for PWM converter based on PLL method)

  • 최철;이상훈;김철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4-288
    • /
    • 2005
  • This paper proposes the direct detection method of phase angle for the power source, which is based on the PLL method. The proposed method using a bidirectional photo-coupler is used to directly detect the zero crossing of phase voltage and calculate the angular frequency in the controller based on a M/T algorithm. Through the method, the additional installation space in the traditional method using a potential transformer can be minimized and it can be easy to design. The paper presents straightforward schematic circuits, design and experimental results.

  • PDF

전문가집단 심층평가를 통한 사회주택 건축단계별 친환경적 계획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The Extraction for each Design phase using Environment-Friendly Design Factors by In-depth Evaluation of Experts in social housing)

  • 최영오;최무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9
    • /
    • 2010
  • Housing problems in city have being caused social contradiction that contains social discord and conflict between poor and rich. And they have raised one of social problems including a disequilibrium of demand and supply, a housing trouble, and a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o the improvement of social housing that exposes to a poor environment for social integration. For this, this study is to extract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factors for each building phase by in-depth evaluation of experts, and to analyze the problems of domestic social housing and environment-friendly design factors considered prior literature. The results as follow. It might be considered highly phase of schematic design, The building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having factors. Specially, it analyzed to 'Living Environment', 'Economic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 Systems' should be considered highly. Ultimately, this study would be reconsidered the improvement of social housing proposed by the Government for the social outcast.

동의생리학의 '기' 관련 용어 분류 및 개념 도식화 고안 (Development of Schematic Illustration for the Qi Related Terminology)

  • 권영규;채한;이상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25
    • /
    • 2013
  •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as been challenged for the lack of illustrated explanation of fundamental and pivotal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suggestions for the diagrammatic concept on Qi. Thorough review was made performed to elucidate pictorial concept of Qi with medical classics and textbooks on the human physiology based on the central theories including Yin-Yang, five phase, and correspo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Medical terminology and its taxonomy for the Qi were examined here. We proposed more clarified terminology and related metabolic pathways for the design of schematic illustration of Qi.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roductive drawings and educational materials fit for the apprentice.

3차원 형상·지식정보를 활용한 마감공사 개산견적 프로세스 (Schematic Estimation Process for Finishing Work using 3D Geometry-Knowledge Information)

  • 박상헌;박형진;구교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0-212
    • /
    • 2013
  • The construction cost estimates during the design phase becomes the standard to judge profitability and validity, and is very important in various decision-makings by project owner. However, since approximate costs are quoted when many parts are undecided in the early stage of project, differences are bound to occur between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ed through approximate quotation and that put into construction actually. Also, since in existing quotation works, quantity calculations have been dependent on the staff's manual work, involving error potential, and thus differences are likely in quantity calculation depending on the quotation staff's method of calculation.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creating space model to deduce 3D geometry information for approximate quotation in association with knowledge information and the expression for calculation of finishing area were proposed.

  • PDF

A House Design Method of Normative Modules adopting Hanok and Traditional Building Framing Skills

  • Park, Soo-Ho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23-431
    • /
    • 2018
  • In this paper, we try to verify a normative module based house design procedure consisted of several sequential steps. The first step is to suggest formalization of designing so that we could clarify each phase and operation we are adopting in our design process. The second step is the clearing up the conceptual schema of traditional skills that we adopt and utilize from traditional Hanok framing techniques. The third step is to formulate adequate modular kits for the assembly of house design solutions for the schematic, conceptual and preliminary phases of designing. The fourth step is to implementing our ideas and methods to a proper computational platform such as Unity3D. The final step is to verify our symbolic descriptions of design formalization with the output of our experiments so that we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design reasoning characteristics such as in house design.

레서피(Recipe) 기반의 견적 방법을 이용한 5D CAD 시스템 (Recipe-based estimation system for 5D(3D + Cost + Schedule) CAD system)

  • 최철호;박영진;한성훈;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4-160
    • /
    • 2006
  • 건설산업분야에 CAD시스템이 도입된 이래 CAD로 작성된 도면으로부터의 물량산출에 관한 연구가 지난 20여 년간 많은 관심 속에 국내외 적으로 지속되어 왔으나, 성과는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특히 3D CAD 시스템을 활용한 설계 및 물량산출은 제조업에서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설 산업에서는 3D CAD 시스템에 의한 물량산출시스템의 개발 및 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3D CAD 시스템에서는 3D 라이브러리(3D Object)의 구축 및 활용이 매우 중요하며 건설 산업의 특성상 설계과정에서 발생하는 신규 부재(3D object)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없이는 설계 및 물량산출에 3D CAD 시스템의 활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3D CAD 모델로 부터의 물량산출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개념설계(schematic design)단계에서도 개략견적이 가능하여야 하며, 상세설계(detailed design) 단계 및 시공도면작성(construction design)단계에 이르는 각 단계마다 물량산출 및 비용 산출이 가능하여야 한다. 다음으로는 설계과정 및 의사결정단계를 거치면서 계속 진화하는 설계변경(revision)에 따라 유연하게 물량 및 비용 산출이 가능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D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상용화된 5D(3D+cost+schedule) CAD 시스템인 컨스트럭터(Constructor)의 기본개념을 살펴보고 특히 레서피(Recipe)기반의 물량산출 모듈에 대한 설명 및 시범 프로젝트 적용결과에 대해 검토하고 앞으로의 기대효과 및 건설 산업에서의 3D CAD 기반 응용시스템 연구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