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ematic Design Phas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8초

건축 구조체 공사비 산정모델 개발을 위한 데이터 분석 - 공공청사를 중심으로 - (Analyzing Data for Development of Structures Cost Estimating Model - Focused on Government Building Project -)

  • 김수민;조재호;이종식;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2-215
    • /
    • 2008
  • 건축공사의 공사비 절감은 시공단계보다 사업초기단계 및 설계단계에서 정확한 공사비 예측을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하지만 현행 공공 건설공사의 공사비 산정 및 관리는 실시설계 이후로 집중되어 있어, 계산견적을 중심으로 실시되는 기획 및 기본설계단계에서의 사업비관리는 매우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공사비 산정 방법의 문제점 및 실적공사비 사례정보 분석하여 기본설계단계에서 구체적 비용 계획을 세우고 이에 부합되는 설계가 진행되는지 검토 가능한 공사비 산정모델 개발을 위한 예비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BIM 적용을 위한 계획설계 단계의 파라메트릭 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 교과교실제 설계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Parametric Design Method in Schematic Design Phase for BIM application - Focused on Subject Classroom Design of Variation Type -)

  • 윤용집;강태웅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1-18
    • /
    • 2013
  • This study has revisit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BIM to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For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BIM in architectural design field, it should start with public buildings like schools which can be standardized. Since a number of conditions of school design appear to suit the schematic design phase for BIM application more than do other types of building design, the viability of BIM was examined by applying parametric modeling(one of BIM's basic characteristics) to mass study in schematic design phase for the configuration of schools that adopt the variation type of subject classroom design of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is modeling technique was used with software of Rhino 3D and Grasshopper, which will have a linkage to environmental analysis in near future. Finally, it can be expected that the work efficiency will be maximized if BIM is going to be applied in the early design stage instead of the end stage.

A Methodology of Open BIM-based Quantity take-off for Schematic Estimation of the Frame Work in Early Design Stage

  • Hansaem Kim;Jungsik Choi;Inhan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419-425
    • /
    • 2013
  • Recently AEC industry has required construction automation according to becoming large and complex. Thus BIM-based construction project is increased and used in whole fields of AEC industry. Quantity take-off and estimation fields are important factor for decision-making in conceptual and schematic design stages of construction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mproves reliability of the estimation through QTO based on Open BIM. Scope and method to apply QTO is to select conceptual design stage through LoD(Level of Detail) in AEC field and to extract information from BIM model through analysis of IFC structure. This study proceeds three step to make BIM model and check the model quality and calculate QTO. The methodology of QTO using IFC is to verify of result in this study and expects utilizing in design stage of construction projects.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expected to decrease the risk factor and time of estimation in the project early phase through improving reliability of schematic estimation.

  • PDF

설계단계에서 건축주 만족도 증진을 위해 가치평가방법을 활용한 설계자 접근절차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Designer's Approaching Procedure by Applying Value Evaluation Method to improve Degree of Owner's Satisfactions in Design Phase)

  • 이도형;박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7-122
    • /
    • 2006
  • 기본설계단계에서 설계자가 건축주 요구사항 만족을 위해 접근하는 방법이 다양하나, 설계과정에서 건축주 및 관련자가 참여하여 정량적으로 설계의 중간과정을 평가하는 것이 부족하다. 이로 인해 설계가 완료된 후에 수많은 변경을 하여 설계자로 하여금 많은 손해를 입게 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지 위해 기본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설계자는 그 것을 만족시키는 설계 초안에 대해 건축주 및 관련자들에게 가치평가를 하게한다. 이 후로 일정가치가 이상이 되면 다음 설계단계로 진행되게 하여, 설계가 완료된 후에 건축주의 의도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거나 건축주가 의사를 변경하여 발생되는 재설계를 방지하게 함으로써 설계자의 추가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건축주도 설계결과 및 시공결과에 대해 평가하게 하고 건축주의 의도가 제대로 반영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건축주의 만족도를 평가하게 하고, 건축주나 설계자가 상호 설계 및 시공결과를 정량적으로 확인시켜 시공 후에 발생되는 논란을 최소화 시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은 설계과정에서 각 결과물에 대해 가치를 평가한 후 일정 전수가 이상 되면 다음단계로 넘어가게 하여 설계자의 손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 PDF

IFC-BIM 연계 지식정보기반 마감공사 개산견적 프레임워크 (Schematic Estimate Framework of Finishing Works based on IFC-BIM Knowledge)

  • 박상헌;박형진;구교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176-4184
    • /
    • 2015
  • 건설사업 전 생애주기 중 설계단계에서의 대안별 비용 예측은 사업의 수익성 및 타당성 분석을 위한 판단기준이 된다. 설계도서가 완성되지 않은 초기 설계단계에서 과거의 유사자료를 바탕으로 개산견적이 실시되고 있다. 견적자의 경험과 산정방법에 따라 물량이 상이하고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최근 IT기술 발전으로 BIM 기술이 주목을 받으면서 건설 전반에 걸쳐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기술의 패러다임을 변화 시키고 있다. BIM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활용 효과는 건설 사업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 표준 IFC와 견적 관련 지식정보를 연계한 개산견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그 결과, 초기 설계단계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공사비 예측을 수행하며, 그리고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일부분 극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개산견적 프레임워크는 프로세스 일부를 자동화하였기 때문에 변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계획설계 단계에서의 개방형 BIM 기반 초고층건축물 수직동선 계획 및 검증모듈 개발 (Open BIM-based Vertical Circulation Planning and Verifying Modules for Super-Tall Building at the Schematic Design Phase)

  • 김인한;조근하;최중식;천의영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56-164
    • /
    • 2011
  • The automation technology is able to enhance the business process more rapidly and effective. Open BIM technology which supports automation technology of building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wo dimensions drawings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development of open BIM based modules for creating and verifying the core model for super-tall building in the schematic design phase. The module is expected to create cases of core models automatically and it is expected to verify the requirement of building model. This module is anticipated to utilize for creating the core model rapidly in order to create the alternative plan and to make the model accurate by its verification.

Schematic Estimation Process using Architectural Object BIM Library

  • Lee, Ji Yong;Kim, In Han;Choi, Jung Si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89-293
    • /
    • 2015
  •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evolv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is trend, the current industry changes from 2d drawings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Current studies on the BIM-based estimation have problems such as Quantity Take-Off(QTO) specificity toward a particular software, the uncertainty of the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model quality. These studies focus on QTO based on BIM rather than schematic estimation. In addition, studies on the connection with the QTO and unit cost for schematic estimation are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chematic estimation process by utilizing construction codes and QTO in architectural object BIM libraries. Construction codes are classified in detail in order to input codes inside each. This study has connected unit cost and construction classification codes that obtain from BIM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cision-making and communication for schematic estimation of the design phase. It will improv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problems of existing schematic estimation.

  • PDF

공공아파트 계획설계단계에서의 공사비 예측모델 (Cost prediction model of Public Multi-housing Projects in Schematic Design Phase)

  • 권호석;문현석;이성균;홍태훈;구교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65-74
    • /
    • 2008
  • 국내 건설산업의 공공 발주자는 사업의 초기단계의 사업비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계화된 공사비 산정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신규 공공 건설공사를 기획하고 사업비를 책정하는 단계에서는 예산을 수립하는 담당자가 기존의 실적데이터와 경험을 바탕으로 공사비를 추정하고 있으며, 기본설계단계와 실시설계단계 이후 산정된 공사비를 책정된 예산과 비교 후 사업의 추진여부를 검토하거나 설계내용을 예산에 맞도록 변경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아파트의 사업초기단계에서 공사비를 산정할 수 있는 공공아파트 계획설계단계에서의 공사비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계획설계단계에서 공사비를 예측하고 사업비 및 전반적인 설계를 관리한다면 지금보다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국가의 재원을 적절하게 책정하고 집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향변수에 따른 수량변화 분석을 이용한 기본설계단계의 개산견적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Cost Estimating Model Using Quantity Variation Analysis by Influence Variables for the Schematic Design Phase)

  • 손보식;이현수;김성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55-166
    • /
    • 2007
  • 본 연구는 건축공사 프로젝트의 기본 설계 단계에서의 개산견적 개념모델을 제안하고, 제안된 개산견적 개념을 적용하여 실제 주상복합 건물 프로젝트의 실적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 프로토타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의 건설산업은 급격한 시장 변화와 경쟁 심화의 과정을 겪고 있다. 특히 프로젝트의 조달 방식의 변화와 함께 입찰과 관련한 정보가 부족한 사업초기, 기본설계 단계에서 중요한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의사 결정의 기준이 되는 개산 견적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개산견적 방법을 분석하고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 공사 수량 변화 분석에 기반 한 개산견적 방법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종별 공사비 분류체계에 빌딩구성요소(BE)별 및 층별 수량 분류를 추가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제안 모델을 Q-BASE (Quantity Based Active Schematic Estimating) 모델로 정의하였다.

건축설계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적용에 관한 연구 -계획설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IM Application in Architecture Design Phase - Focus on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rocess for Schematic Design-)

  • 민영기;이재국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29-38
    • /
    • 2011
  • In this study, neighborhood facility and office building to target two cases were performed BIM process. In the initial design phase of the planning process was conducted for the BIM process modeling, BIM in the design stage while performing the required range and level of the process were studied. Accordingly, from architectural firms to leverage BIM process, the proposed methods, efficient use of the modeling process proposed.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and input for the modeling and design process should be determined from the initial design and construction, including, for each field should be considered BIM, which require an appropriate range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se requirements, BIM creation and expansion of the level of information should be clearly defined. Perform the procedure for BIM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stakeholders is critical. In addition, the input data and output data needed to perform management and to perform at the level obtained BIM design process and the model should be cl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