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enic spot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충주 호암공원 야간경관 조명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door Lighting Plan at Hoam Park in Chungju)

  • 정유근
    • KIEAE Journal
    • /
    • 제6권4호
    • /
    • pp.51-56
    • /
    • 2006
  • As tourist and cultural city, Chungju city struggles to exploit the new tourism resources including lighting scenic spo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esent lighting situations and suggest the alternatives for improving outdoor lightings of Hoamji Park - one of the most famous landmark in Chungju city. For the purpose, field surveys and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selected settings. Illumination levels were measured to compare with the KS standard by using MINOLTA T-10 instruments and some findings were discussed. As a result, som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ark's night images including new lighting concept, lighting fixtures and installations were suggested.

Suzhou Historical Gardens and City′s Sustainable Development

  • Huang, W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127-130
    • /
    • 2001
  • Suzhou historic gardens include classical gardens, places of interest and palaces built by hills and waters. They are geographically distributed in the ancient city and the suburbs. Considered as both chinese and world class historic cultural heritage, these precious tourist resources have been included in the systematic urban planning of Suzhou and they are an integral part of the urban green plan and symbol and characteristic of the urban view. These gardens are also important for tourist industry-one of the pillar industries Suzhou. Therefore, historic gardens play an especially important role in the city's continuous development and it becomes an important task to make good protection, plann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se historic gardens.

  • PDF

영국의 Sissinghurst castle garden이 주는 지역 활성화 효과 (The Effect of Local Activation Given by Sissinghurst Castle Garden in England)

  • 정정섭;조태동
    • 농촌계획
    • /
    • 제4권1호
    • /
    • pp.56-62
    • /
    • 1998
  • This study makes a general view of human-, natural environment, actual condition of us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Sissinghurst castle garden and proposes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our model of herb industry, herb garden plan with the analysed results. 1) The location of herb garden should be selected at a place where Is close to scenic spots, sight-seeing place or big city and conveniently situated, 2) For the basic design of herb garden, the ecological features, human -, natural environment should be analysed an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 it should have variety and coordination to give the pleasure and appreciation to the users. 3) For the plan of herb garden, time limit system and number limit admission have to be introduced by calculating carrying capacity so that the user can have a comfortable atmosphere and the garden should be environment - friendly.

  • PDF

지역 관광자원으로서 거창 수승대 일원의 원형경관 고찰 (A study on the Archetypal Landscape of Suseungdae Area in Geochang-gun as Regional Tourism Resources)

  • 임의제;소현수
    • 농촌계획
    • /
    • 제23권3호
    • /
    • pp.83-96
    • /
    • 2017
  •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 the archetypal landscape of a scenic site, Suseungdae area in Hwangsan-maeul village, Geochang-gun by reference research and field surveys and drew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Since Seong Yundong(成允仝; 1450-1540) embarked on operating the Suseungdae in Eonari(魚川) in 16th century, Shin Gwon(愼權, 1501-1573) and Im Hun(林薰, 1500-1584) took a major role of establishing the archetypal landscape of the area. Henceforth, numerous scholars had kept exploring the scenery and completing the archetypal landscape of the area until the 19th century. Second, the locations of 50 archetypal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Guyeon-dong sipgugyeong(龜淵洞十九景)" which are dispersed along the Wicheon, has been identified. On the base of this, the archetypal landscape of Suseungdae area is figured out as the 'Guyeon-dong(龜淵洞)' area coming down from 'Cheoksuam(滌愁巖)' to 'Byeoram(鼈巖)'. Third, many archetypal landscape elements are from the locations along the river. Among them, the ones named with rock: Am(巖) and Seok(石), which are shapes of turtles or terrapins, take the high rate and so do the ones named with 'Dam(潭)', which are waterscape. Fourth, among the cultural landscape elements, there are many garden structures such as Nujeong(樓亭) and Seowon(書院), which are located at the spots of viewing the landscape and the structures like banks, bridges and dams are also included. Furthermore, the letters engraved on the rocks are mainly about the landscape elements and are sometimes about the records of building and operating the landscapes by the people who were appreciating the arts and nature. Based on the ran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chetypal landscape in Suseungdae area from this study, it is needed to take follow-up studies on the guidelines for efficient management by means of classifying the detailed fields so that there are no negative factors conflicting with the adjacent land use.

별서 명승지역 내 노거수목의 관리개선방안 (Management Improvement of Big and Old Trees in the Byeol-seo Scenic Sites)

  • 이종범;이창훈;최병재;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8-107
    • /
    • 2013
  • 별서의 성격이 나타나는 명승지역의 노거수목은 다른 명승지역보다 인위적 피해에 노출이 심하며, 수령이 많은 수목은 외부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명승지 중에서 별서의 유형이 나타나는 지역 내 노거수목의 실태를 살펴보고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상부 수목건강도와 관련하여 수관변형, 가지고사, 수피고사가 수세판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탐방객이 많은 지역은 고사지와 고사목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요구되었으며, 이용객과 시설물의 안전대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둘째, 토양환경은 답압과 수세판단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대상지역 15개소 중 답압에 노출된 수목은 64.2%로 이용객 증가에 따라 수세가 쇠약하였다. 이에 답압에 견딜 수 있는 지표층을 조성하는 방안으로 답압에 강한 초본류의 식재나 이용 동선에 보조시설의 설치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대상지는 연못과 계류에 인접한 곳이 많았으며, 수변지역 수목들은 토양과습으로 인한 생육저하 현상이 진행되고 있어 관리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퇴수구 막힘 현상은 주변의 토양 과습을 초래하여 수목에는 치명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장마 전 후에 호안 주변과 물 빠짐부에 대한 정비계획과 시행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명승지역 별서정원 주요수목의 지속적인 보존을 위한 중장기적인 관리 정책을 계획하고, 대상지별 특징에 따른 수목관리 지침서화 작업을 적극적으로 제안하며, 이러한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개발의 연구와 예산확보 등을 통한 유지관리를 위해 전문적인 인력 확보가 요구된다.

중국 『무이구곡도』 3폭(幅)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18세기 무이산 구곡계(九曲溪)의 경물 인지특성 (An Analysis of the Landscap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ugok Stream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ina's 『Wuyi-Gugok Painting』)

  • 정조하;노재현;강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2-82
    • /
    • 2019
  • 중국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산수분계지도(山水分界之圖): A』,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 B』 그리고 『무이산십팔경도(武夷山十八景圖): C』 등 3폭의 『무이구곡도』를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명칭을 조사한 뒤 문헌조사를 병행하여 경처와 경물유형,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후 각 곡별 경물 유형수와 경물수를 바탕으로 한 경물풍부도와 경관유사도 분석을 통해 18C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 인지특성을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3폭 그림 중 경물 명칭은 총 41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중 암(岩)·봉(峰)·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무이구곡의 경관 중 암·봉·석의 수가 절반 이상으로 이는 단하지모(丹霞地貌) 등으로 이루어진 무이산의 지모경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둘째, 구곡계 경관은 다양하고 심상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상의 주 대상장인 제1곡 대왕봉과 만정봉, 제2곡 옥녀봉, 제3곡 소장봉, 제4곡 대장봉, 제5곡 대은병과 무이정사 그리고 제6곡 선장봉과 천유봉은 경물풍부도(景觀豐富度)가 탁월한 반면, 7~9곡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곡별 경관이미지 조사 결과, 구곡계의 인문경관 심상 형성에는 무이산과 관련된 신화 및 전설에서 비롯된 특이성으로 인해 경관 인지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제1곡과 제5곡은 무이군을 바탕으로 한 도교문화와 주자의 성리문화와 관련한 석각문화, 주유문화(舟遊文化)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넷째, 41가지 경물 유형에 따른 경관유사도 분석 결과, A와 C의 유사도가 매우 높았으며 형태묘사 및 원근 표현관계가 매우 흡사함을 볼 때, 한쪽 그림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3폭의 그림에 묘사된 경물명은 오랜 시간 동안 전승, 누적된 신화 및 전설 그리고 경물의 이름붙이기를 통해 최소한 18C 전반 이전에 이미 정착·형성되어 인지되어 온 문화경관임이 확인된다. 다소의 순위 차이는 있으나 3폭 모두에 출현하는 경물 유형은 '석'이 21개소, '암'이 20개소, '봉'이 17개소로 석, 암, 봉은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성을 견인하고 있다. 다섯째, A와 C에서는 선조대(仙釣臺/태(台))가 제4곡도에 묘사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제3곡의 경물명칭으로 알려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1곡의 승진동(升眞洞), 7곡의 석당사(石堂寺)는 그림 A·B·C 모두에서 묘사되고 있지 않는 점은 특이하며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Research about the Evaluation Index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based on AHP

  • YU, Lan-ling;PIAO, Yong-ji;JIANG, Dao-zhu;Jo, Hyunj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3-490
    • /
    • 2016
  • On the basis of conducting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to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we established a evaluation index system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s, comparing the importance of all levels indicators, we obtained the weights of landscape resources evaluation index through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scending order of the weights of influence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nineteen evaluation index is: reach ability (0.128), safety (0.083), location (0.078), participatory (0.076), cultural value (0.058), ecological conditions (0.057), scenic beauty (0.0505), environmental quality (0.051), featured properties (0.0501), environmental tolerance (0.048), reputation (0.047), environmental capacity (0.045), humanize (0.041), spots configuration (0.034), applicable travel period (0.033), scientific value (0.032), art value (0.031), holistic (0.03), suitability (0.027), it can provide a framework and basis for the planning, management, protection and exploitation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The Succession of a Traditional Landscape Style in Yanjing Eight Scenery

  • Geng, Xin;Zhang, Junhua;Akasaka, Makoto;Aoki, Yoji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07년도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Vol.3
    • /
    • pp.151-156
    • /
    • 2007
  • The Eight Scenery, as a traditional landscape to today, gradually caught the concern of landscape scholars, as well became the mutual cultural wealth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even of the whole Asia. The Yanjing Eight Scenery firstly originated from the Jin dynasty is an important representation of Eight Scenery culture in Scenic Spots and Historical Sites of China. The transition process of Yanjing Eight Scenery is examined in this thesis, and the cause of such change is also analyzed. Moreover, the landscape content of Yanjing Eight Scenery is classified in detail, and the succession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the Yanjing Eight Scenery style under the traditional culture is analyzed from the aspects of rebuilding pavilion, landscape arrangement, building, and new landscape architecture rebuilt followed the religious, the plant landscape and the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Beijing regional culture has influenced Yanjing Eight Scenery by its classification, the landscape evalu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landscape feature, in addition, this paper searches for the model to research the Eight Scenery culture in each country of Asia.

  • PDF

도시경관에 대한 주민의식 변화 연구 - 전라남도 영암군을 대상으로 - (A Study on Changes in Residents' Consciousness on Urban Landscape - Focused on Yeongam-gun in Jeollanam-do -)

  • 김윤학;유창균;박성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33-44
    • /
    • 202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changes about the landscape consciousness of Yeongam-gun residents, in chronological order. As a result, the landscape consciousness of 10 years ago and the present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lso, the residents' consciousness of the Yeongam-gun landscape image has not changed from 10 years ago, and we recognize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rve and form the natural landscape. As for the problem of urban landscape, the needs of residents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tourist spots are higher than 10 years ago, and the problem of each landscape element is found as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of a road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Yeongam landscape is generally below average, compared to 10 years ago. Residen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andscape projects has changed as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do not want to participate has increased compared to 10 years ago, and the project method must be promoted by residents / administration / experts as one. The awareness is judged as administrative agencies need to change from the role of regulation-oriented in the past to the role of resident support and cooperation.

전통조경 조성 기법으로 본 중국 원명신원의 재현 특성 고찰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Yuanming New Garden in China by Traditional Landscape Creation Techniques)

  • 김동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3-114
    • /
    • 2020
  • 본 연구는 전통조경 조성 관점에서 재현을 통해 과거 소실된 또는 원형이 훼손된 공간을 재조명한 중국의 원명신원을 대상으로 조성경위, 관련 사례와 재현 실제 비교, 재현기법 상에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원명신원은 북경 원명원을 모티브로 재현된 공간으로 관련 전문가 400여 명의 자문단을 두고 상당부분 원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재현과정에서 원형공간의 역사성을 고려하였다. 둘째, 신원명원은 원명원 40경을 토대로 재현한 곳으로 원명원 40경 중 31개 경구를 조성하였으며, 각 경구 내 건조물들은 과거 북경 원명원에 조성된 건조물들과 1:1 스케일의 대응체계를 지니고 있었다. 복해를 중심으로 주요 경관이 펼쳐지는 신원명원의 경관연출 방식은 북경 원명원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일부 시설들은 원명원 40경을 토대로 재현하여 현재 변화된 북경 원명원의 모습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신장춘원은 서양루 구역과 해악개금 일대 수경을 중심으로 재현하였으며, 건축물과 수경시설들은 서양루 20경 동판화를 토대로 당시의 모습을 재현하였다. 셋째, 원명신원의 재현특성을 살펴본 결과 정원의 통시적 변화과정 중 원명원 40경과 서양루 동판화 제작 당시의 모습을 원형으로 삼았다. 또한 식재를 통해 원형공간과 원형이 모호한 지역 또는 전시공간을 명확히 구분하였다. 반면, 건조물 중심의 재현으로 인해 원형공간인 북경 원명원 및 장춘원의 공간구성과 장소성이 계승되지 못하고, 전통조경공간과 어울리지 않는 요소의 도입, 원형과 무관한 정원요소의 도입 등 관리 편의성 증진과 관광활용을 위한 변형 등이 한계점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