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n-based test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1초

위상천이 네트워크를 사용한 X-마스크 기법 (An X-masking Scheme for Logic Built-In Self-Test Using a Phase-Shifting Network)

  • 송동섭;강성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2호
    • /
    • pp.127-13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최대길이 의사무작위 이진 시퀀스(m-시퀀스)의 쉬프트-덧셈 특성에 근거한 위상천이를 이용하여 회로 출력에 나타나는 X-값을 효과적으로 마스크 함으로써 내장된 자체 테스트를 실현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패턴생성기인 LFSR의 출력을 적절하게 위상천이 하여 마스크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위상천이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테스트 절차 동안에 각 스캔 체인에 인가되는 마스크 패턴의 위상 천이 수는 재구성 가능하다. LFSR의 출력을 적절하게 위상 천이하여 모든 스캔 체인 마스크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위상천이 네트워크 합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X-마스크 회로는 각 스캔 체인 마스크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후보 위상천이 수가 많기 때문에 하드웨어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위상천이를 이용한 X-마스크 회로는 기존의 연구 결과보다 훨씬 적은 저장공간과 하드웨어 오버헤드를 필요로 함을 증명한다.

인체의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밀착 바디 슈트 개발 (2D Pattern Development of Tight-fitting Bodysuit from 3D Body Scan Data for Comfortable Pressure Sensation)

  • 정연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81-490
    • /
    • 2006
  • Adjusting pressure level in the construction of athletes' tight-fitting garments by reducing the elastic knit pattern is a challenging subject, which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the wearer directly. Therefore,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reduction rates of the basic pattern obtained from 3D human scan data and resultant clothing pressure was explored to improve the fit and pressure exerted by clothing. 3D scan data were obtained using Cyberware and they were transformed into a flat pattern using software based on Runge-Kutta method. Reduction rate was examined by subjective wear test as well as objective pressure measurement. As a result, difference in the length between the original 3D body scan data and the 2D tight-fitting pattern was 0.02$\sim$0.50cm (0.05$\sim$1.06%), which was within the range of tolerable limits in making clothes. Among the five garments, the 3T-pattern was superior in terms of subjective sensation and fit. The pressure of the 3T pattern was 2$\sim$4 gf/cm2 at five locations on the body, which is almost the same or a bit higher than that of Z-pattern. In the case of tight-fitting overall garment, the reduction rate of the pattern in the wale direction is more critical to the subjective sensation than the course direc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reduction grading rules of course direction should be larger than that of Ziegert for a better fit of tight-fitting garments. In the case of wale direction, however, reduction grading rule should be kept the same as suggested earlier by Ziegert (1988).

  • PDF

시스템 온 칩 내 eDRAM을 사용한 Tightly Coupled Memory의 병렬 테스트 구조 (A Parallel Test Structure for eDRAM-based Tightly Coupled Memory in SoCs)

  • 국인성;이재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09-216
    • /
    • 2011
  • 최근 시스템 온 칩 내 메모리의 고속 동작을 위해 TCM (Tightly Coupled Memory)를 내장한 설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온칩 내 eDRAM을 사용한 TCM 메모리를 위한 새로운 병열 메모리 테스트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 피테스트 메모리가 테스트 모드에서 병렬 구조로 바뀌고 바운더리 스캔 체인과 함께 내장 메모리의 테스트용이도가 크게 향상된다. 병렬테스트 방식의 메모리는 각 메모리 요소들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조화되어 있으므로 모듈들로 분할하여 테스트 할 수 있으며 입출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적 테스트 평가 가능하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고감도 범용성 콜리메이터를 이용한 소아 환자 99mTc-DMSA 신장 SPECT의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99mTc-DMSA Renal SPECT Using High Sensitivity-All Purpose Collimator for Pediatric Patients)

  • 김진의;김정수;한재복;최남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9-231
    • /
    • 2016
  • 신장의 기능을 정량분석 할 수 있는 $^{99m}Tc$-DMSA 평면 영상은 단층영상에 비해 병소의 위치 정보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광자 신호에 민감한 범용성 collimator로 교체하여 SPECT 방식으로 임상실험을 시행한 후, 진단의 정확도와 검사 소요시간을 분석하여 임상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10명의 실험대상에게 방사성의약품(1.0-1.2 MBq/kg)을 정맥주사하고, 이중 검출기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planar scan (high resolution (HR)-mode, $256{\times}256$, 50 kcts/view, 4 image)과 SPECT (HR / high sensitive (HS)-mode, $128{\times}128$, step and shoot, $180^{\circ}$, variable sec/angle, total 64 frame, OSEM reconstruction)를 시행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를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실험 방법에 따라서 total counts는 high sensitive-mode SPECT가 대략 1.8-5.6 배 정도 많았고, counts를 이용한 상대신장기능은 모든 실험에서 유의한 수준 범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p=0.96), 검사 소요시간은 39%정도 단축되었다. 그러므로 고감도 범용성 collimator를 이용한 $^{99m}Tc$-DMSA renal SPECT는 planar scan에 비하여 신장의 기능을 정량분석 할 수 있고,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동시에 검사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콘텐츠 기반 움직임 적응형 디인터레이싱 기법 (A Content-Based Motion Adaptive DeInterlacing Technique)

  • 김민환;이창우;이성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91-802
    • /
    • 2010
  • 최근 LCD TV와 같은 순차 주사형 디스플레이의 보급에 따라 HDTV등의 전송에 사용된 비월 주사 영상을 순차 주사 영상으로 변환하는 기존의 디인터레이싱 기술에 대한 화질 개선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콘텐츠에 따른 움직임 정보의 통계값을 계산하여 영상 콘텐츠의 종류별로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공간적, 시간적 디인터레이싱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움직임 적응형 디인터레이싱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공간적 디인터레이싱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벨 연산을 이용하여 수직 에지와 수평 에지의 비율에 따라 M-ELA 방법과 DOI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개선된 공간적 디인터레이싱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실험 영상에 대한 객관적,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디인터레이싱 방법에 비해 우수한 화질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3D 스캔 데이터에 의한 성인 남성의 체간부 형태 유형화 (Classification of adult male torso shapes using 3D body scan data)

  • 홍은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65-179
    • /
    • 2019
  • This study used 3D body scan data to classify body shapes according to the torso shape of adult males aged 20-75 years. This data will be provided so that the apparel industry can make apparel products corresponding to body characteristics by age. The study used 1,796 adult males between the ages of 20 and 75 and the 3D body shape data of the '5th Research on National Standard Anthropometry'. For data analysis, the program SPSSWIN Ver. 17.0 was used to calculate the mean and frequency allowing for 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 test. To classify body shape according to the torso shape of adult males, this study considered nine factors: 'horizontal size of torso,' 'vertical size of body,' 'curve of torso and waist-abdomen flatness ratio,' 'length of torso,' 'shape of neck area,' 'degree of lateral curve,' 'difference between front and back interscye length,' 'shoulder armscye shape,' and 'chest flatness ratio.'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the torso shapes of adult male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Type 1 is "upright body with flat, curvy shape", Type 2 is "curve sway back body type", Type 3 is "flat, abdominally obese body", Type 4 is "obese, crooked body" and Type 5 is "thick sway front body type." named.

Comparison of accuracy between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two and three dimensional evaluations

  • Bi, Chuang;Wang, Xingyu;Tian, Fangfang;Qu, Zhe;Zhao, Jiami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4호
    • /
    • pp.236-249
    • /
    • 2022
  • PURPOSE.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accuracy between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model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depending on the implant location and the scanning span. Digital impressions were captured using the intraoral optical scanner TRIOS (3Shape, Copenhagen, Denmark). Conventional impressions were taken with the monophase impression material based on addition-cured silicones, Honigum-Mono (DMG, Hamburg, Germany). A high-precision laboratory scanner D900 (3Shape, Copenhagen, Denmark) was used to obtain digital data of resin models and stone casts. Surface tessellation language (STL) datasets from scanner were imported into the analysis software Geomagic Qualify 14 (3D Systems, Rock Hill, SC, USA), and scan body deviations were determined through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analyses. Each scan body was measured five times. The Sidak t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experimental data. RESULTS. Implant position and scanning distance affected the impression accuracy. For a unilateral arch implant and the mandible models with two impla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ccuracy between the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on scan bodies; however, the corresponding differences for trans-arch implants and mandible with six implants were extremely significant (P<.001). CONCLUSION. For short-span scanning, the accuracy of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or long-span scanning, the precision of digital impressions was significantly inferior to that of the traditional impressions.

32비트 RISC 프로세서를 위한 TAG 기반의 재사용 가능한 임베디드 디버거 설계 (Design of the Reusable Embedded Debugger for 32bit RISC Processor Using JTAG)

  • 정대영;최광계;곽승호;이문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2)
    • /
    • pp.329-332
    • /
    • 2002
  • The traditional debug tools for chip tests and software developments need a huge investment and a plenty of time. These problems can be overcome by Embedded Debugger based the JTAG boundary Scan Architecture. Thus, the IEEE 1149.1 standard is adopted by ASIC designers for the testability problems. We designed the RED(Reusable Embedded Debugger) using the JTAG boundary Scan Architecture. The proposed debugger is applicable for not a chip test but also a software debugging. Our debugger has an additional hardware module (EICEM : Embedded ICE Module) for more critical real-time debugging.

  • PDF

Adaptive Filtering Processing for Target Signature Enhancement in Monostatic Borehole Radar Data

  • Hyun, Seung-Yeup;Kim, Se-Yu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79-81
    • /
    • 2014
  • In B-scan data measured by a pulse-type monostatic borehole radar, target signatures are seriously obscured by two clutters that differ in orientation and intensity. The primary clutter appears as a nearly constant time delay, which is caused by internal ringing between antenna and transceiver in the radar system. The secondary clutter occurs as an oblique time delay due to the guided borehole wave along the logging cable of the radar antenna. This issue led us to perform adaptive filtering processing for orientation-based clutter removal. This letter describes adaptive filtering processing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edge detection, data rotation, and eigenimage filtering. We show that the hyperbolic signatures of a dormant air-filled tunnel target can be more distinctly enhanced by applying the proposed approach to the B-scan data, which are measured in a well-suited test site for underground tunnel detection.

AMBA 기반 SoC의 병렬 코어 테스트를 위한 효과적인 테스트 설계 기술 (An Efficient Design Technique for Concurrent Core Testing of AMBA-based SoC)

  • 송재훈;오정섭;박성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8권2호
    • /
    • pp.44-5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AMBA 기반 SoC의 코어 테스트 시간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테스트 대상 코어에 대해 병렬로 테스트를 수행하며 AMBA를 TAM으로 재사용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술을 제안한다. 기능 테스트시의 AMBA 버스 제어를 위해 설계 된 TIC를 구조적 테스트 시의 제어에 재활용 하여 병렬 테스트의 제어에 필요한 추가 로직을 최소화 하였으며, 기능적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 테스트 시 병렬 테스트를 수행 할 수 있어서 SoC의 신뢰성 확보와 테스트 시간 단축에 기여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