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wdust culture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4초

미생물(微生物)에 의한 목질자원(木質資源)의 당화(糖化) 및 사료화(飼料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 Aspergillus fumigatus KC-1으로부터 섬유소 분해 효소의 생산 및 현사시나무의 효소가수분해 (Microbial Conversion of Woody Waste into Sugars and Feedstuff (II) - Production of Cellulolytic Enzymes from Aspergillus fumigatus and Saccharification of Popla Wood)

  • 정기철;허정원;명규호;김윤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18-25
    • /
    • 1987
  • 섬유성 물질을 자화(資化)하는 미생물을 자연계로 부터 분리하여 효소생산 및 당화조건을 검토하였다. 분리 균주 256주 중 효소생산에 가장 유효하다고 인정되는 Aspergillus fumigatus KC-1을 우수 균주로 선발하였다. 본 균은 alkaline peroxide로 전처리한 현사시 목분 1%를 탄소원으로하여 $45^{\circ}C$에서 진탕 배양시 4~5일째 효소생성(여지, Avicel, 탈지면, CMC, Salicine 및 Xylan 당화활성)이 최고치에 달했다. 효소의 최적 pH는 4.5, 최적온도는 $60^{\circ}C$였다. 본 균의 효소에 의한 현사시 목분의 가수 분해시 1 % NaOH와 20% 과초산으로 탈리그닌한 목분의 가수 분해율이 가장 높았고, 최종 산물로 glucose와 약간의 cellobiose 및 xylose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본균의 cellulase는 cellulose를 쉽게 glucose로 당화하는데 매우 유효한 효소로 판단되었다. 현사시 목분의 효소분해에 대한 탈리그닌 정도, 기질의 크기 및 농도의 영향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 PDF

복령의 인공 재배법 개선과 항산화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provement of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Poria cocos)

  • 강안석;강태수;손형락;서상명;강미선;김광포;이정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378-382
    • /
    • 1999
  • 복령의 인공재배기술을 개선하고 복령추출물의 생리활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종균의 종류 및 접종법에 따른 검토결과, 종목 양면접종법이 균핵형성정도, 균핵 갯수, 균핵 생산수율 및 개당 평균 중량에서 가장 좋았으며, 톱밥 양면접종법이 균핵형성 및 생성수율에서 가장 낮았다 복령의 품질과 생산성을 종합하여 판단할 때, 최적 종균 및 접종방법은 종목 양면접종 > 종목 절단면접종 > 균핵 양면접종 > 톱밥 양면접종의 순이었다. 복령균핵으로부터 분리한 생리활성물질인 조 복령당의 함량은 83%이었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점도가 상승하였으며, 염의 첨가 농도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EDA, POV, TBA)을 측정한 결과, TBA가의 경우에는 천연 항산화제인 비타민 E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POV와 EDA에 의한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에서는 BHT나 비타민 C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배지의 혼합비율과 관비 양액 농도가 토마토 플러그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ixing Ratio of the Different Substrates and the Concentration of Fertigation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Tomato Plug Seedlings)

  • 김홍기;조자용;유성오;양승렬;강종구;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8-114
    • /
    • 2007
  • 피트모스를 기본으로 한 3종의 혼합 고형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과 3종의 배지 및 양액농도(EC $0.5{\sim}1.5dS{\cdot}m^{-1}$가 토마토(일광 토마토 ) 플러그묘의 초기생장(파종 후 31일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혼합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피트모스의 혼입비율이 많아질수록 보수력이 증가하였고, 공극율은 모든 혼합 배지 처리에서 80% 이상이었다. pH와 EC피트모스의 혼입비율이 많을수록 pH는 낮아졌고, EC는 전반적으로 $3.6{\sim}4.8dS{\cdot}m^{-1}$ 정도의 범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양질의 토마토 플러그묘 생산에 가장 좋았던 혼합배지는 피트모스:왕겨:훈탄:부숙톱밥:펄라이트=25:10:25:20:20(v/v)였다. 관비 양액농도(EC)는 대조구(수돗물, EC $1dS{\cdot}m^{-1}$)에 비해 관비 양액농도(EC 0.5, 1.0, $1.5dS{\cdot}m^{-1}$)가 높아질수록 초장, 엽면적 및 총건물 생산량 등이 현저히 높아졌다.

표고 중온성 품종 '산조708호' 육성 및 특성 (Breeding and characteristics of a low-temperature variety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Sanjo 708 ho')

  • 노종현;김인엽;이원호;김선철;최선규;고한규;박흥수;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7-210
    • /
    • 2016
  • 톱밥재배용 표고 품종 '산조708호'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 균사생장은 51.6 mm/7일으로 조사되었으며, 버섯 발생형태 조사에서 산발형, 버섯발생온도 범위는 $5{\sim}20^{\circ}C$로 중온성의 특성을 보였다. 갓의 크기는 65.8 mm로 중대엽형으로 나타났으며, 두께 16.1 mm, 갓형태는 반구형의 형태를 보였다. 대의 길이 42.6 mm, 굵기 19.6 mm로 나타났다. 버섯생산성은 8월부터 2월까지 동절기를 포함한 기간에 생산된 버섯발생량이 310.7 g/bag로 우수하였다. 버섯발생량이 60 g/bag이상으로 우수한 발생주기의 일별 최소온도는 $6.2^{\circ}C$, 최대온도는 $22.1^{\circ}C$로 나타났다. 표준 재배방법은 톱밥배지의 생산시기는 3~4월, 배양 환경 및 기간은 배양온도 $20{\pm}1^{\circ}C$, 이산화탄소농도 3,000~5,000 ppm의 범위로 120일간 배양하고, 배양기간 30-40일은 암배양을 진행하고 이후 명배양으로 전환한다. 배양이 완성된 배지는 재배사로 이동하여 개봉하고 이후 7~9월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후숙관리(습도 70-80%이상, 살수 2-3회/일, 온도 $27^{\circ}C$이하)를 진행하고, 10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 범위를 $5{\sim}20^{\circ}C$로 관리하면서 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

표고균이 접종된 수입 톱밥 배지에서 중금속과 잔류농약 조사 (Investigation of Heavy Metals and Residual Pesticides from Imported Oak Mushroom Culture-inoculated Sawdust Media)

  • 김준영;권혁우;고한규;현민우;이찬중;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02-205
    • /
    • 2017
  • 국내 안전 버섯생산을 위해서 수입된 표고균이 접종된 표고배지에서 중금속과 잔류농약의 존재 위험성을 두고 우려가 있어 왔다. 버섯의 안전 생산을 위해서는 우려되는 위험성에 대해 건전한 논의를 위한 기초 자료가 필요하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3년과 2015년 사이 중국 6개 지역에서 수입된 표고균이 접종된 톱밥배지에서 중금속과 잔류농약 존재여부를 알고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납, 비소, 크롬, 수은, 카드뮴 중에서 비소, 크롬, 수은은 검출되지 않았다. 납은 길림, 산동, 텐진, 요녕 지역에서 수입된 표고톱밥배지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수준은 1.7 에서 3.2 mg/kg 이었다. 카드뮴은 산동과 요녕 지역에서 검출되었고 검출수준은 0.028 to 0.037 mg/kg 이었다. 잔류농약은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되었다.

피복재료에 따른 도라지의 생육 및 잡초발생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Growth and Weed Occurrence)

  • 전승호;노일래;김영국;조영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73-78
    • /
    • 2017
  • 이 연구는 3년근 도라지 이식 재배기간 동안 피복재료에 따른 뿌리의 생육특성 및 잡초발생 양상을 알아봄으로써 유기재배 도라지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1. 뿌리의 직경은 피복구의 평균은 28.1 mm로 무피복구보다 5.1 mm 굵게 나타났으며 필름 피복구에서 30.9 mm 로 가장 굵게 나타났으며, 길이는 왕겨 피복구에서 가장 짧은 22.0 cm로 나타났다. 곁뿌리 수는 필름피복구에서 36.0개로 가장 많았고 무피복구에서 가장 적은 수가 조사되었다. 2. 뿌리 생체중에서는 피복구처리와 무피복구 간의 비교에서도 평균 100과 56 g/root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필름 피복구에서 130 g/root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다음으로 톱밥 및 왕겨 피복구 순으로 104, 67g/root 나타났다. 3. 피복구는 무피복구에 비하여 잡초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무피복구의 우점잡초는 강아지풀, 바랭이, 피복구의 우점잡초는 강아지풀로 나타났으며, 일년생 화본과 잡초가 평균 잡초발생의 72%를 보이며 각 피복구에서 높은 우점율이 나타났다. 4. 잡초 발생개체수에서는 무피복구에서 125 개/$m^2$ 가장 많았으며, 피복구에서는 생분해성필름 피복구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톱밥 피복구는 18 개/$m^2$로 무피복구에 대비 14.4% 발생율이 나타나, 피복처리시 잡초 억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Beauveria bassiana 대량배양을 위한 탄소원, 질소원 및 고체 기질 선발 (Selection of Carbon, Nitrogen Source and Carrier for Mass Production of Beauveria bassiana)

  • 김정준;한지희;이상엽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28-332
    • /
    • 2014
  • Two-phase fermentation을 통한 Beauveria bassiana 149균주의 대량 배양을 위한 탄소원, 질소원, 기질 그리고 배양 조건 선발 실험을 실시하였다. 1차 액체 배양을 위한 적정 탄소원으로는 옥수수 분말, 전분 그리고 쌀가루가, 질소원으로는 펩톤과 효모 분발을 첨가한 것에서 포자 생산량이 높았다. 포자 대량 생산을 위한 기질 및 첨가물로는 톱밥+밀기울+옥수수 분말, 톱밥+밀기울, 쌀겨+밀기울 혼합에서 포자 생산량이 높았다. B. bassiana 149 균주의 포자 대량 생산을 위한 고체 배양 결과, 포자 생산량은 $30^{\circ}C$ 배양에서 $20^{\circ}C$보다 2배 정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B. bassiana 149 균주의 포자 생산량은 $25^{\circ}C$, 수분함량 60%와 70%에서 배양 시 $26.9{\times}10^8conidia/g$$38.6{\times}10^8conidia/g$로 40%와 50%의 $13.9{\times}10^8conidia/g$$11.6{\times}10^8conidia/g$ 보다 상당히 높았다.

표고 수출용 완성형 배지의 적합 배지조성 선발 (Evaluation of medium composition for developing an export-quality complete medium for Lentinula edodes)

  • 이관우;전종옥;김주형;김인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5-240
    • /
    • 2022
  • 수입되는 중국산 완성형 배지를 대체하고, 수출에 적합한 표고 완성형 배지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참나무톱밥+미송톱밥+파옥쇄(40:40:20, v/v) 혼합배지인 T13에서 pH 5.3으로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며 C/N율은 82로 대조구 52 대비 높게 나타났다. 배지조성별 균사 생장을 조사한 결과 영양원으로 파옥쇄 혼합 시 균사 생장이 빨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조구 대비 균사 생장이 빠르고 밀도가 높은 3가지 처리를 1차 선발하였다. 1차로 선발된 3가지 처리를 본 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특성을 조사한 결과 T12, T13, T18 3처리 모두 대조구 대비 배양기간이 단축되었고, 그 중 T13에서 대조구 대비 '농진고'는 12일, '참아람'은 10일 배양기간이 단축되었으며 특히 2품종 모두 갈변 소요일수가 크게 단축되었다. 1차 선발한 3처리를 재배생육한 결과 '농진고'는 T13에서 대조구 대비 갓이 크고 두꺼웠으며, 대도 길고 굵어 개체중이 높게 나타났다. '참아람' 품종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대 직경은 대조구 대비 가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1주기부터 5주기까지의 배지조성에 따른 혼합배지별 수량은 파옥쇄가 영양원으로 혼합된 T12, T13, T18 배지조성에서 대조구 대비 모두 수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중 T13에서 대조구 대비 '농진고'는 5.9%, '참아람' 12.6% 증수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참나무톱밥+미송톱밥+파옥쇄(40:40:20, v/v) 혼합배지를 표고 완성형 배지의 적합 배지로 최종 선발하였다.

중국산 표고(Lentinula edodes) 보습배지의 잔류농약, 중금속 및 방사능 안전성 분석 (Safety investigation of the moisturizing medium prepared using the Chinese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based on the presence of residual pesticides, heavy metals, and radioactive materials)

  • 장은경;정상욱;장혜미;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2-28
    • /
    • 2022
  • 중국산 표고 보습배지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고 관리기준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잔류농약 321종, 중금속 7종, 방사능 3종을 분석하였다. 중국산 표고 보습배지 7건과 국내산 톱밥배지 3건에 대한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중국산 보습배지 3건에서 cypermethrin, iprodione이 검출되었으나 모두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중금속의 검사 결과에서는 Zn은 10건의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Cu는 9건, Ni은 4건에서 검출되었다. Pb과 Cd, Cr, Hg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방사능 검사 결과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되었다. 또한 각각의 배지에서 표고 자실체를 발생시켜 잔류농약과 방사능을 검사한 결과에서는 모두 불검출되어 유해물질이 이행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중국산 표고 보습배지에 대한 잔류농약, 중금속, 방사능의 위해성은 안전하게 나타났지만, 화학물질은 미량이라 할지라도 인체 내에 계속 농축되기 때문에 유해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과 오염원에 대한 체계적인 재배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산 간버섯의 인공재배 및 항산화 활성 평가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ive Mushroom Pycnoporus coccineus)

  • 이용국;김민경;윤봉식;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35-47
    • /
    • 2019
  • 간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은 PDA와 YMA에서 균사의 밀도와 생장량이 양호하였으나, MEA에서는 균사 생장량과 속도가 저조하였다. 배양 기간 중 광(光)조사는 균사체의 색소 형성과 균사체 밀도에 영향을 주었다. 간버섯은 병 재배와 봉지 재배 모두에서 자실체를 발생시킬 수 있었고 종균 배양과 재배를 위한 가장 적합한 배지 원료는 참나무톱밥으로 밝혀졌다. 톱밥배지를 사용한 인공재배에서 자실체의 발생은 15일째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자실체 원기가 생장하였으며 상대습도가 낮은 처리구에서 5일 정도 빠르게 형성되었다. 버섯 발생 40~45일째에는 성숙한자실체를 수확할 수 있었고, 생육실의 상대습도가 낮은 편이 버섯 발생과 생육에 유리하였다. 인공재배에서 수확한 자실체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간버섯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병 재배 자실체 추출물과 야생 간버섯 자실체 methanol 추출물이 각각 505㎍/㎖, 515㎍/㎖의 농도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봉지 재배에서 수확한 자실체는 910㎍/㎖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결과 모든 추출물이 활성 2,000㎍/㎖ 농도 이상의 IC50값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버섯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경우 간버섯 병 재배 자실체 추출물이 IC50값 154.5㎍/㎖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버섯 methanol 추출물은 동일 농도(10mg/㎖)에서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야생 간버섯 자실체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