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wdust cultivation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165초

느타리버섯 병재배의 톱밥 대체 배지 재료 선발 (Selection of an Substitute Sawdust Material in Pleurotus ostreatus by Bottle Cultivation)

  • 장명준;이윤혜;주영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2-145
    • /
    • 2010
  • 느타리버섯의 병재배를 위한 톱밥 대체재료를 선발하기 위해 팽화왕겨, 코코피트, 콘코브, 코코넛나무톱밥을 비트펄프와 면실박에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화학적 특성은 4가지 배지재료 모두 느타리버섯 재배에 적합하였고, 균사배양 및 재배기간도 지연되지 않았으나, 코코피트 혼합배지에서 수량이 133 g/850ml으로 미송톱밥과 대등하였고 생물학적 효율이 77%로 가장 높아 코코피트를 톱밥 대체 재료로 선발하였다.

잣버섯(Neolentinus lepideus) 재배를 위한 액체 및 톱밥종균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by Sawdust and Liquid Spawn for the Cultivation of Neolentinus lepideus)

  • 장명준;이윤혜;주영철;구한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5-129
    • /
    • 2010
  • 잣버섯에 적합한 액체종균용 주배지 재료는 대두분, 배양 기간은 12일, 통기량은 0.9 vvm이 적합하였다. 또한, 잣버섯 재배용 톱밥종균용 배지는 미송과 옥분을 부피비로 95 : 5로 혼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액체종균 및 톱밥종균을 사용하였을 경우 잣버섯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액체종균으로 재배한 경우 재배일수 43일로 톱밥종균으로 재배할 때보다 재배기간 보다 2일 단축되었고, 유효경수 11.3개, 수량 111.9 g로 우수하였다.

액체종균(液體種菌) 접종(接種)에 의한 표고톱밥재배(栽培) 효과(效果) (Effect of Sawdust Culture on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Berk.) Pegler by Inoculation of the Liquid Spawn)

  • 이태수;조남석;민두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19-28
    • /
    • 1998
  • For cultivation on sawdust-bed of oak-mushroom until present time, inoculation of spawn on sawdust bed has been performed by sawdust spawn. But, liquid spawn may have advantages for rapid mass production of spawn, and now, sawdust-cultivation by liquid spawn inoculation should be applied instead of sawdust spawn. Therefore,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awdust-cultivation by liquid spawn inocu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11 kinds of liquid media were applied, the oak-mushroom culture medium was the most excellent in growth. Most suitable temperature at PDA was $25^{\circ}C$, and $22.5\sim27.5^{\circ}C$ in range were optimal for liquid culture. In liquid culture, amount of mycelial growth increases rapidly up to 40 days of cultivation. Incubation at fermentor brought yield of 106mg dry mycelia per 40ml media after 17 days. 2. In 1l-spawn bottle, growth of mycelium by inoculation of 20ml-liquid spawns were faster than 6g-sawdust spawn in spread of mycelia. On 2kg-bag culture, inoculations of 10ml-, 20ml- and 30ml-liquid spawns were all slower than 20g-sawdust spawn in mycelial spread. So, amount increasement in ampunt of liquid spawn should be discussed. Yields of mushrooms until third sproutings of 2kg-bag culture were 580g in 30ml-liquid spawn inoculation, but 510g, 486g and 470g from 20g-sawdust spawn, 20ml-liquid spawn and 10ml-liquid spawn, respectively. Thus, 30ml-liquid spawn inoculation was highest in yield.

  • PDF

표고버섯의 톱밥재배에 있어 갈변과 관련된 효소작용 (Enzymatic activities related mycelial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Berkeley) Sing)

  • 김영호;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3_4호
    • /
    • pp.91-97
    • /
    • 2007
  •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is usually cultivated on the oak log. Log cultivation of this mushroom is getting difficult to get oak logs and has a weak point of its long cultivation period. Recently sawdust cultivation is getting increase. It is important to make mycelia browning on the substrate surface. This browned surface in sawdust culti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like as artificial bark of the oak log, which protects the other pests and suppresses water evaporation in the substrate. The period for mycelia browning is so long that the sawdust cultivation of Shiitake mushroom can not spread well into the mushroom farms. The development of methods for the rapid mycelia browning is quite required.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discuss about the enzymatic activities related mycelia browning and search the methods of cultivation period reduction.

  • PDF

알바시아나무톱밥 첨가에 따른 병재배용 느타리버섯의 생육특성 (Effect of albasia sawdust in Pleurotus ostreatus by bottle cultivation)

  • 장명준;이윤혜;강영주;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1
    • /
    • 2014
  •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해 알바시아나무톱밥과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포플러톱밥, 미송톱밥이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톱밥재료별로 혼합하여 배지의 이화학성 및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 재료별 일반성분 중 C/N은 미송톱밥에서 504로 가장 높았고, T-N은 알바시아나무톱밥에서 4.03%로 가장 높았다. 페놀계화합물의 경우 알바시아나무톱바에서 21.65%로 가장 높았다. 혼합배지에 따른 이화학성 중 pH는 처리구별 모두 5.1~5.2로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고, C/N범위는 처리구 모두 이와 대등한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 T2가 20으로 가장 작았다. 혼합배지별 경시적 균사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T1, T3 및 T4는 모두 대등한 경향이었으나 T2의 경우 배양일수가 25일로 가장 늦었다. 혼합배지별 생육특성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유효경수는 T2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등하였고, T2에서 가장 작았다. 알바시아나무톱밥을 기존의 미루나무톱밥이나 미송톱밥을 전량 대체할 수는 없었으나 기존 톱밥의 50%정도를 대체할 경우 수량과 회수율에서 모두 대등한 결과를 보였다.

톱밥재배에 의한 화경버섯의 자실체 발생 (Formation of Fruiting Body of Omphalotus japonicus by Sawdust Cultivation)

  • 가강현;박현;허태철;박원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0-82
    • /
    • 2010
  • 화경버섯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독버섯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 Illudin S가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버섯은 자연조건에서 매우 드물게 발견되는 버섯이다. 그래서 우리는 미래에 약리학적 연구를 위해 충분한 양의 버섯을 얻고자 이에 대한 톱밥재배를 시도하였다. 버섯은 실험한 모든 톱밥배지에서 수확할 수 있었고, 버섯 생산성과 재배기간을 고려할 때 화경버섯의 재배는 소나무 톱밥배지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은 600 g 배지당 평0균 43~80 g이 생산되었고, 재배기간 동안 1~3회 버섯을 수확할 수 있었다.

Effects of Nutrient Composition on Yield and Quality of Mushroom in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Using Softwood Sawdust

  • Jung, Ji-Young;Hong, Seong-Cheol;Rinker, Danny Lee;Choi, Myung-Suk;Lee, Byung-Hyun;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124-134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using softwood as the sawdust medium for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effect of nutrient on the mycelial growth, spawning, the mushroom yield, and quality. The nitrogen nutrition significantly enhanced the mycelial growth of L. edodes. The glutamic acid in the L. leptolepis and P. koraiensis, and asparagine in the P. densiflora were appeared to slight increase in the mycelial growth. The vegetable oil showed very effective on the mycelial growth in the P. koraiensis sawdust medium. Carbon/nitrogen ratio of all the test was reduced after mycelial growth. The mycelial growth was exclusively dependent on reduction of carbon. The mushroom yield (32.7%) of the P. densiflora sawdust medium (carbon source: 3% active carbon, nitrogen source: 0.4% asparagines) was the best in mushroom production of L. edodes, followed by the Q. variabilis sawdust (35.4%) of the control medium. The diameter of mushroom cap was obtained from the P. densiflora sawdust (carbon source: 3% sucrose, nitrogen source: 0.4% potassium nitrate) and P. koraiensis sawdust (carbon source: 3% sucrose, nitrogen source: 0.4% potassium nitrate), and the P. koraiensis sawdust (carbon source: 3% xylose, nitrogen source: 0.4% glutamic acid, supplement: 0.05% amino acid), with values 71.5 mm, 71.5 mm and 72.1 mm, respectively. In the polypropylene bag cultivation, the weight losses of the block medium gradually increased for 80 days in the dark (13.8~16.8%) and then became stable in the range of 20.7~25.8%.

검은비늘버섯의 병재배 시 톱밥배지 조성에 따른 재배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holiota adiposa according to substrates composition of sawdust medium by bottle cultivation)

  • 김민자;장후봉;이관우;주경남;김이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5
    • /
    • 2015
  • 검은비늘버섯 병재배용 다수성 톱밥 배지 조성을 구명하고자 5종의 혼합배지 조성에 대하여 재배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재배기간은 참나무톱밥에 비트펄프, 면실박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일수는 다소 길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짧고 생육일수는 긴 경향을 보여, 포플러톱밥+쌀겨(8:2) 처리에 비해 3-5일 길었다. 유효경수와 병당 수량이 높은 참나무톱밥+비트펄프+면실박(5:3:2)와 참나무톱밥+비트펄프+면실박+콘코브(3:2:2:3) 처리에서 참나무톱밥+쌀겨(8:2, 대조구)에 각각 33%, 12% 증수되었다. 전체 재배기간과 수량을 고려할 때 검은비늘버섯 병재배용 다수성 배지로 참나무톱밥+비트펄프+면실박(5:3:2)이 가장 적합하였다.

Thermophile mushroom cultivation in Cambodia: Spawn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a new substrate, acacia tree sawdust

  • Chang, Hyun-You;Huh, Youn-ju;Soeun, Pisey;Lee, Seung-ho;Song, Iva;Sophatt, Reaksmey;Seo, Geum-Hui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
    • /
    • 2016
  • 이 연구는, 느타리버섯과 풀버섯만 재배하던 캄보디아에서 영지버섯, 목이버섯 그리고 표고버섯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고온성 버섯들의 종균을 생산하고, 캄보디아에서 생산되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새로운 버섯배지를 찾기 위해 시도되었다. 종균 및 버섯재배 배지로, 여러 종류의 유기물찌꺼기, 곡물, 그리고 톱밥이 사용되었다. 고무나무 톱밥배지에서 자란 균사 (10.9 cm/15일)는 곡물배지에서 자란 균사 (11.2 cm/15일)에 비해 성장이 조금 느렸지만, 고무나무 톱밥은 낮은 가격 및 취급의 용이성이 있어, 비싼 곡물종균을 대치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배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생산을 위해서, 고무나무톱밥(60.8% BE), 사탕수수박(60% BE), 그리고 아카시아나무 톱밥 등에 미강과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는데, 사탕수수박과 고무나무 톱밥은 매우 비슷한 높은 생물학적 효율(BE)을 보여주었고, 아카시아나무 톱밥은 비교적 낮은 22.4%의 생물학적 효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낮은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아카시아톱밥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높은 가격의 배지들과 혼합하여 사용된다면 매우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배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톱밥의 가격 (20 kg 고무나무톱밥=6500 Riel 혹은 1.6 USD)과 비교했을 때, 아카시아톱밥의 가격(20 kg=1000Riel 혹은 0.25USD)이 매우 낮아 버섯의 생산에 투자되는 비용을 크게 줄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톱밥재배에 의한 목이의 자실체 생산 (Fruit-body Production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by Sawdust Cultivation)

  • 조우식;황억금;강민진;최성용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7
    • /
    • 2010
  • Auricularia auricula-judae is an edible mushroom, which is known as wood ear, free ear, black ear mushroom, and free jelly fish. Pres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cultivation with oak sawdust of A. auricula-judae. The duration of mycelial growth and days of pinhead formation on oak sawdust bag (1.4 kg) were 29~32 days and 13~17 days, respectively. The yield of fresh fruit-body was 275~350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