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uration

검색결과 4,855건 처리시간 0.03초

AMD를 이용한 건물의 능동 진동 제어를 위한 강인 포화 제어기의 유용성에 관한 실험적 검증 (Experimental Verification on the Availability of Robust Saturation Controller for the Active Vibration Control of Building using AMD)

  • 임채욱;문석준;박영진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83-90
    • /
    • 2006
  • 건물의 능동 진동 제어에 있어서 제어기의 제어입력의 포화와 건물의 파라미터 불확실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저자들의 이전 논문에서는 제어 입력에 포화가 존재하는 불확실한 선형 시불변계에 대하여 강인 안정성과 제어 성능이 보장되는 강인 포화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능동 질량 감쇠기 (AMD)가 설치된 건물의 능동 진동 제어에 대한 제안된 강인 포화 제어기의 유용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한다. 실험은 유압식 AMD가 설치된 2층의 건물 모형에 대하여 수행된다.

Modeling of a Dual Stator Induction Generator with and Without Cross Magnetic Saturation

  • Slimene, Marwa Ben;Khlifi, Mohamed Arbi;Fredj, Mouldi Ben;Rehaoulia, Habib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0권3호
    • /
    • pp.284-289
    • /
    • 2015
  • This paper discusses general methods of modelling magnetic saturation in steady-state, two-axis (d & q) frame models of dual stator induction generators (DSIG). In particular, the important role of the 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d-q axes (cross-magnetizing phenomenon) is demonstrated, with and without cross-saturation. For that purpose, two distinct models of DSIGs, with and without cross-saturation, are specified. These two models are verified by an application that is sensitive to the presence of cross-saturation, to prove the validity of these final methods and the equivalence between all developed models. Advantages of some of the models over the existing ones and their applicability are discussed. In addition, an alternative is given to evaluate all saturation factors (static and dynamic) by just calculating the static magnetizing inductance which is simply the magnitude of the ratio of the magnetizing flux to the current. The comparison between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model with experimental results gives a good correspondence, especially at startup.

채도 향상을 이용한 적응형 화질 개선 알고리듬 (An Adaptive Image Enhancement Algorithms Using Saturation Improvement)

  • 조영심;윤종효;박진성;최명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455-146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컬러 이미지에 적합한 화질 향상 알고리듬을 제안 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입력 이미지의 명도 향상을 위한 MIE기법과 채도 향상을 위한 MSE기법으로 구분된다. MIE기법은 휘도 신호 처리 시 발생하는 색 재현 문제 및 과도한 밝기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듬이고, MSE기법은 색차 신호 처리 시 발생하는 De-Saturation 혹은 Over-Saturation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듬이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인간의 시각선호색을 중심으로 연산하며, 전체 이미지에 균등하게 적용하는 것 보다 고품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고화질을 위한 모니터나 TV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 PDF

변류기 포화 판단 알고리즘의 저역통과 필터에 대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Lowpass Filter on a CT Saturation Detection Algorithm)

  • 강용철;옥승환;윤재성;강상희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1권10호
    • /
    • pp.495-501
    • /
    • 2002
  • A difference based current transformer (CT) saturation detection algorithm uses the third difference of a secondary current to detect the instants of the beginning/end of saturation. The third difference of a secondary current contains high frequency components when a CT is saturated. Thus, an effect of an anti-aliasing lowpass filter implemented in digital protection relays on the detection algorithm should be studied. This paper describes performance analysis of a lowpass filter on the CT saturation detection algorithm. The cutoff frequency of the lowpass filter is normally set to be half of a sampling frequency. In this Paper, two sampling frequencies of 3,840 (Hz) corresponding to 64 sample/cycle (s/c) and 1,920 (Hz) corresponding to 32 (s/c) are studied; the cutoff frequencies of the lowpass filters are set to be 1,920 (Hz), 960 (Hz) and 960(Hz), 480(Hz), respectively. And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by experiment. A 2nd order Butterworth filter is designed as a lowpass filter. The test results and experiment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saturation detection algorithm successfully detects the instants of the beginning/end of saturation even though a secondary current is filtered by the designed lowpass filters.

지표포화지역-중간류유출-흙수분저류량 관계: II. 동적 분석 (Surface Saturation Area-Subsurface Outflow-Soil Moisture Storage Relationships: II. Dynamic Analysis)

  • 이도훈;이은태
    • 물과 미래
    • /
    • 제29권2호
    • /
    • pp.143-151
    • /
    • 1996
  • 중간류 유출, 지표표화지역, 흙수분저류량들의 동적 반응을 Richards 방정식을 이용한 수치실험을 통하여 유도하였다. 그리고 수치실험에서 경사면 모양, 토양종류, 경계조건 등을 변화시켜서 지표포화지역-중간류유출 동적 관계 및 지표포화지역-흙수분저류량 동적 관계를 결정하였다. 모의결과에 의하면, 지표포화지역-중간류유출 동적 관계 및 지표포화지역-흙수분 저류량 동적 관계는 각 관계들의 정상류 관계에 의해 근사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강우양상이 단순한 펄스입력일지라도 중간류유출 및 지표포화지역의 동적 반응은 중복첨두치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중복첨두치의 발생에 대한 물리적 메케니즘은 "variable source area"의 개념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용하여 설명하였다.

  • PDF

Variation of Pull-out Resistance of Geogrid with Degree of Saturation of Soil

  • Yoo, Chungsik;ALI, TABISH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9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degree of saturation of soil on the pullout behavior of a geogrid. Different test variables were taken into account while performing the experiment including the soil physical conditions based on water content and external loading applied. The soil used was locally available weathered granite soil. The tests included variations in saturation of about 90%, 80%, 70% and 45% (optimum moisture content). The pullout tes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ASTM standard D 6706-01. The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ing the degree of saturation in the soil decreases the pull-out capacity, which in turn decreases the interface friction angle and interaction coefficient. The decrease in the pullout interface coefficient was observed to be around 12.50% to 33.33% depending on the normal load and degree of saturation of the soil. The test results demonstrated the detrimental effect of increasing the degree of saturation within the reinforce soil on the pullout behavior of reinforcement, thus on the internal stability. The practical inferences of the outcomes are analyzed in detail.

불포화 자연토의 포화도에 따른 동전기 정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김병일;김익현;김기년;김수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02-305
    • /
    • 2003
  • The electrokinetic remediation tests for natural soil contaminated by lead are performed on unsaturated conditions, in which the degree of saturation is controlled through the changes in water content and the constant unit weight. At the degree of saturation of 70% the small acid range and electrical potential is developed. The changes in the water content are little above the saturation of 90%. But it is increased by 1.7 times at the degree of saturation of 70%. Finally, the efficiency of extraction is improved at 70% than 100%.

  • PDF

Saturation Compensation of a DC Motor System Using Neural Networks

  • Jang, Jun-Oh;Ahn, Ihn-S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5권2호
    • /
    • pp.169-174
    • /
    • 2005
  • A neural networks (NN) saturation compensation scheme for DC motor systems is presented. The scheme that leads to stability, command following and disturbance rejection is rigorously proved. On-line weights tuning law, the overall closed loop performance and the boundness of the NN weights are derived and guaranteed based on Lyapunov approach.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effectively compensate for saturation nonlinearity in the presence of system uncertainty.

조명에 의한 채도 왜곡에 강건한 피부 색상 보정 방법 (The Robust Skin Color Correction Method in Distorted Saturation by the Lighting)

  • 황대동;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414-1419
    • /
    • 2015
  • 영상에서 피부영역을 탐지하는 방법은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탐지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영상의 채도가 낮아지는 경우 색상정보가 손실되어 올바른 피부영역 탐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촬영 시 밝은 조명에 의해 채도 정보가 낮아진 피부 영상의 색상 보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색상 보정 절차는 채도 영상 획득 및 저채도 영역 분류, 영역 분할, 분할한 저채도 영역에서의 채도 및 색상값 추출, 색상 보정 순이다. 이 방법은 영상에서 채도가 낮은 부분을 추출한 후 해당 영역 및 주변영역의 색상과 채도를 추출하는 방법을 통해 원 색상과 유사한 색상을 예측하여 적용한다. 따라서 저채도 영역을 올바르게 산출하는 방법이 선행되어야 한다. 저채도 영역을 구하는 과정에서 보다 정확한 영역 분할을 위하여 HSV 색상공간의 Hue 값에 오츠가 제안한 다중문턱치를 이용하여 이진 영상을 만든 후 사용하였다. 170장의 인물 사진들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은 피부 결과에 비해 약 5.8% 이상 검출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안하는 방법이 피부색 탐지를 위한 전처리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포화시작점에서의 운전을 위한 제어방법 (Control Methods for Operation on the Saturation Edge)

  • 안광노;임상훈;성수환;이지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390-395
    • /
    • 2020
  • 몇몇 포화를 갖는 공정에서 경제적인 운전점이 포화시작점에 있게 된다. 고전적인 피드백 제어기는 포화시작점에서 동특성이 급박하게 바뀌고 포화가 된 상태에서는 피드백을 위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가 없다. 포화점과 동특성이 알려져 있고 바뀌지 않을 때는 모델예측제어 같은 최적화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들이 어려움 없이 이 제어 문제를 처리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 포화점과 등특성을 추적하는 적응 방법이 첨가되어야 한다. 여기서는, 이 제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방법들로서, 최근의 slope seeking method와 relay feedback method에 기반한 두가지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포화현상을 갖는 이차 액위제어 공정에 적용한 모사를 통하여 그 성능을 검사하였다. 모사결과는 제안하는 본 제어 방법들이 포화시작점을 5% 이내로 찾고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