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urated fatty acids

검색결과 847건 처리시간 0.042초

당귀의 종별 이화학적 성분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Three Species of Genus Angelica)

  • 이재준;김아라;서영남;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4-100
    • /
    • 2009
  • 식용식물자원의 하나인 당귀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세 종류의 당귀 즉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을 기준으로 조지방 함량은 한국당귀가 가장 높았고, 수분 함량은 일당귀가 가장 높았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중국당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회분과 탄수화물의 함량은 세 시료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유리당은 세 종류 모두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한국당귀 4178.64mg%, 중국당귀 3367.13 mg% 및 일당귀 2952.10 mg% 순으로 한국당귀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르게 나타났지만, 세 종류 모두 arginine, proline, lysin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당귀의 포화지방산은 한국당귀는 capro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일당귀와 중국당귀는 palmit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불포화지방산은 세 종류의 당귀 모두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inolenic acid, o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또한 세 종류의 당귀 모두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비타민 A 함량은 각각 5.10 mg%, 6.32 mg% 및 6.11 mg%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E는 한국당귀에서만 0.47 mg%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총 8종의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 중 K 함량이 세 종류의 당귀 모두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Mg, Fe, Na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분석 결과는 성분의 함량 차이는 있지만 성분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사료된다.

부위별 개쑥부쟁이 (Aster ciliosus Kitamura)의 이화학적 성상 및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Aster ciliosus Kitamura)

  • 허성일;김영선;사재훈;심태흠;왕명현
    • 생약학회지
    • /
    • 제36권3호통권142호
    • /
    • pp.164-170
    • /
    • 2005
  • 개쑥부쟁이의 생리활성 기능을 탐색하고 기능성 신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쑥부쟁이의 부위별 즉, 꽃, 줄기, 뿌리로 나누어 화학성분, UV 흡광도 측정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은 부위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탄수화물 $73{\sim}81%$, 수분 $11{\sim}15%$, 조회분 $4{\sim}7%$, 조단백 $2{\sim}6%$, 조지방 $1{\sim}4%$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무기성분은 Ca, K, Na, P로 나타났으며, 꽃에서 K이 가장 많았으며, 줄기와 뿌리에서는 Na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으로 나타났으며, 포화 지방산$(27{\sim}40%)$에 비해 불포화 지방산$(59{\sim}72%)$이 높게 나타났다. 구성당은 총 4종이 분리동정되었는데, glucose가 줄기>꽃>뿌리 순으로 보여주었고, xylose, galactose, arabinose순으로 나타났다.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2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결과 뿌리와 줄기의 chloroform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꽃과 뿌리의 ethanol 추출물과 뿌리의 75% ethanol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카로티노이드계 화합물은 꽃의 ethanol 추출물에서, 줄기의 chloroform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효과는 뿌리의 75%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뿌리의 ethanol 추출물과 꽃의 ethanol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국내 일반 및 유기우유 생산농가의 착유우 급여 사료내 성분 비교 (Comparison of Nutritive Values of Diets Collected from Organic Dairy Farms and Conventional Dairy Farms from Chungnam and Jeonbuk in Korea)

  • 기광석;임동현;김태일;박성민;임현주;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9-33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유기우유 생산 농가와 일반 우유 생산농가의 급여사료(TMR) 내 영양소 성분을 비교하여 우유성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지역별 일반농가와 유기우유 생산농가에서 급여하고 있는 사료 내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NDF 및 ADF 함량은 모두 일반농가의 사료가 유기농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모두 일반농가의 사료가 유기농가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농가 급여사료에서 마그네슘 및 아연은 유기농가 사료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으나(p<0.05), 철, 칼륨, 인에서 차이가 없었다. 유기사료 내 총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일반사료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유기사료에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의 함량이 일반사료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의 함량은 일반사료가 높게 나타났다.

Xiang Study: an association of breastmilk composition with maternal body mass index and infant growth during the first 3 month of life

  • Peng, Xuyi;Li, Jie;Yan, Shuyuan;Chen, Juchun;Lane, Jonathan;Malard, Patrice;Liu, Feit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3호
    • /
    • pp.367-381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mother and child cohort in the Chinese population, and investigate human breastmilk (HBM) composi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maternal body mass index (BMI) and infant growth during the first 3 mon of life. SUBJECTS/METHODS: A total of 101 Chinese mother and infant pairs were included in this prospective cohort. Alterations in the milk macronutrients of Chinese mothers at 1 mon (T1), 2 mon (T2), and 3 mon (T3) lactation were analyzed. HBM fatty acid (FA) profiles were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HBM proteomic profiling was achieved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LDI-TOF) mass spectrometry (MS). RESULTS: During the first 3 mon of lactation (P < 0.05), significant decreases were determined in the levels of total energy, fat, protein, and osteopontin (OPN), as well as ratios of long-chain saturated FA (including C16:0, C22:0 and C24:0), monounsaturated FA (including C16:1), and n-6 poly unsaturated FA (PUFA) (including C20:3n-6 and C20:4n-6, and n-6/n-3). Conversely, butyrate, C6:0 and n-3 PUFA C18:3n-3 (α-linolenic acid, AL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first 3 mon (P < 0.05). HBM proteomic analyses distinguished compositional protein differences over time (P = 0.001). Personalized motherinfant analyses demonstrated that HBM from high BMI mothers presented increased total energy, fat, protein and OPN, and increased content of n-6 PUFA (including C18:3n-6, C20:3n-6 and n-6/n-3 ratio) as compared with low BMI mothers (P < 0.05). Furthermore, BMI of the mother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ead circumference (HC) of infants as well as the specific n-6 PUFA C20:3n-6 over the 3 time points examined. Infant HC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18:0.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to the Chinese HBM database, and further knowledge of FA function. It also helps to establish future maternal strategies that support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nese infants.

Effects of feeding starch sugar by-products on in situ rumen disappearance rat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late finishing Hanwoo steers

  • Choi, Yongjun;Park, Geetae;Kang, Hyokon;Ahn, Jiyeon;Lee, Eunchae;Na, Youngjun;Lee, Sangrak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2호
    • /
    • pp.217-223
    • /
    • 202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eding starch sugar byproducts (SSBs) on in situ disappearance rat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in the late finishing stage. Methods: To determine the in situ disappearance rate, nylon bags filled with 5 g of SSB were inserted into the ventral sac of two cannulated Holsteins cows and incubated for 0, 2, 4, 8, 16, 24, and 48 h. A total of 30 Hanwoo steer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which were basal diet (control) and 7% SSB on an as-fed basis (4.35% dry matter [DM]), formulated according to requirements of the Korean Feeding Standard for Hanwoo.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80 days using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Results: Soluble fraction a of DM and organic matter (OM) was 44.20% and 64.60% DM, fraction b was 23.00% and 19.40% DM, and c values (the rate of degradation of fraction b) were 0.04 and 0.04/h, respectively. The effective degradability of DM at rumen solid outflow rates of 0.02, 0.05, and 0.08/h was 59.83, 54.75, and 52.16, respectively, and for OM was 77.78, 73.52, and 71.34, respectively. Initial and final body weight, average daily gain, DM intake, and gain:feed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control and SSB groups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Carcass traits of Hanwoo steers with SSB supplement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except for dressing percentage, which was greater with SSB treatment. The content of saturated fatty acid (SFA) was greater and that of unsaturated fatty acids (UFA) was lower in the SSB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ratio of UFA to SFA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SB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 total mixed ration containing less than 4.0% DM of SSBs can be used in Hanwoo steers without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carcass traits.

Evaluation of coat color inheritance and production performance for crossbreed from Chinese indigenous Chenghua pig crossbred with Berkshire

  • Li, Yujing;Yuan, Rong;Gong, Zhengyin;Zou, Qin;Wang, Yifei;Tang, Guoqing;Zhu, Li;Li, Xuewei;Jiang, Yanzhi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0호
    • /
    • pp.1479-1488
    • /
    • 2022
  • Objective: This work was to determine coat inheritance and evaluate production performance for crossbred pigs from Berkshire×Chenghua (BC) compared with Chinese indigenous Chenghua (CH) pigs. Methods: The coat color phenotypes were recorded for more than 16,000 pigs, and the genotypes of melanocortin 1 receptor (MCIR) gene were identified by sequencing.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927 crossbred BC F4 gilts and 320 purebred CH gilts was recorded. Sixty pigs of each breed were randomly selected at approximately 60 days of age to determine growth performance during fattening period, which lasted for 150 days for BC pigs and 240 days for CH pigs. At the end of the fattening period, 30 pigs of each breed were slaughtered to determine carcass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Results: The coat color of BC pigs exhibits a "dominant black" hereditary pattern, and all piglets derived from boars or sows genotyped ED1 ED1 homozygous for MC1R gene showed a uniform black coat phenotype. The BC F4 gilts displayed a good reproductive performance, showing a higher litter and tear size and were heavier at farrowing litter and at weaning litter than the CH gilts, but they reached puberty later than the CH gilts. BC F4 pigs exhibited improved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with a higher average daily live weight gain, lower feed-to-gain ratio, and higher carcass lean meat rate than CH pigs. Like CH pigs, BC F4 pigs produced superior meat-quality characteristics, showing ideal pH and meat-color values, high intramuscular fat content and water-holding capacity, and acceptable muscle-fiber parameters. C18:1, C16:0, C18:0, and C18:2 were the main fatty acids in M. longissimus lumborum in the two breeds, and a remarkably high polyunsaturated/saturated fatty acid ratio of ~0.39 was observed in the BC F4 pigs. Conclusion: The BC F4 pigs exhibit a uniform black coat pattern and acceptable total production performance.

오이묘에 냉온 스트레스가 광합성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hilling Stress on Photosynthetic and Physiological Reponse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Seedlings)

  • Yooun Il Nam;Young Hoe Wo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9-164
    • /
    • 2001
  • 겨울철 시설내에서 정전 등으로 인하여 수시간 동안 작물체가 생육한계 온도로 경과시 이오묘에 나타나는 피해와 피해발생의 생리적 요인 및 경감대책을 구명하기 위하여 저온 스트레스가 이이묘의 광합성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냉온처리($0^{\circ}C$)는 무처리에 비한 오이묘의 광합성량이 10시간 처리는 52.8%, 24시간 처리에서는 67.6% 감소시켰으나, 5시간처리는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냉온처리 기간중의(3$^{\circ}C$, 15시간)광조사는 암상태에서 보다 광합성을 크게 저해시켰다. 냉온처리 후 회복기간 중에 암조건을 주면 광합성량이 다소 회복되었으나 광조사시에는 회복되지 못하였다. 0~6$^{\circ}C$ 범위내의 냉온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뿌리활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냉온처리 40일후 채취된 오이줄기의 일비액량은 처리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냉온처리(3$^{\circ}C$)시 전당 함량은 무처리에 비해 24시간 처리에서는 12%, 48시간 처리에서는 23% 증가되었다. 한편 냉온처리에 의하여,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와 oleic acid는 증가되었으나,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는 감소되었다.

  • PDF

시판 전통 시금장 메주의 품질특성조사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igumjang meju)

  • 정영건;손동화;지원대;최웅규;김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31-237
    • /
    • 1999
  • 시금장 메주는 보리등겨를 도우넛형태로 반든 후 훈연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적이었으며 평균 발효기간은 약 60일에서 90일 정도였다. 호기성 세균수는 $6.8{\times}10^7\;cfu/g$으로 $3.2{\times}10^6\;cfu/g$인 혐기성 세균수에 비해 20배 가량 많았다. 효모와 곰팡이의 수는 각각 $1.0{\times}10^6\;cfu/g$$4.0{\times}10^5\;cfu/g$였다. 수분함량은 $10.5{\pm}2.6%$, 지방함량은 $2.9{\pm}1.1%$, 단백질과 회분은 각각 $8.3{\pm}0.7%$$3.8{\pm}0.7%$가 함유되어 있었다. pH는 $6.0{\pm}0.5$를 보였다. 색도는 명도가 $54.5{\pm}4.7$, 적색도는$+3.3{\pm}0.7$, 황색도는 $+10.7{\pm}2.0$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K가 $910.8{\pm}207.3\;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P > Mg> Ca > Na > Fe > Zn > Mn > Cu의 순으로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Ca과 P의 비는 0.1로 조사되었다. 유리당은 maltose를 포함하여 5종류가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1524.9{\pm}1295.3\;mg%$이었고 proline>valine>alanine>tyrosine>glutamic acid의 순이었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30.0{\pm}12.9%$로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구성 지방산은 18 : 2, 18 : 1, 16 : 0이 전체의 93.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포화지방산은 $23.2{\pm}1.9%$,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23.5{\pm}5.2%$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FA/SFA는 $2.3{\pm,}0.3$으로 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기능성 소재로서 녹두(Phaseolus aureus L.)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ung Bean (Phaseolus aureus L.) as Biohealth Functional Substance)

  • 이영근;박시우;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096-1107
    • /
    • 2019
  • 녹두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이화학적 특성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 중 탄수화물 함량은 57.20±0.29%로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조단백질 26.40±0.69%, 수분 9.90±0.16%, 조회분 3.54±0.43% 및 조지방 2.96±0.26%로 확인되었다. 녹두의 비타민 성분 중 vitamin B5가 0.62±0.013 mg/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A의 전구체인 β-carotene이 87.37±0.754 ㎍ RE/100 g으로 동정되었다. 칼륨(K) 함량은 12,428.55±147.55 mg kg-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마그네슘(Mg)은 2,053.32±14.13 mg kg-1, 칼슘(Ca) 1,966.40±14.53 mg kg-1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녹두의 총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29.23±0.03%의 함유량을 보였으며, 단불포화지방산은 20.30±0.04%, 다불포화지방산은 50.46±0.06%의 비율로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ω-6계 linoleic acid가 41.19±0.02%, ω-9계 oleic acid 19.98±0.03%를 함유하고 있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21.75±0.24 g%이며, glutamic acid 3.93±0.03 g%, aspartic acid 2.68±0.03 g% 등을 함유하고 있었고,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가 총 아미노산 함유량의 18.07%, 12.32%를 차지하였으며, 구성 아미노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두 중,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336.77±8.66 mg%로 확인되었고, arginine이 81.97±1.31 mg%로 유리 아미노산의 24.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tamic acid, asparagine 및 aspartic acid 순으로 각각, 41.97±0.29, 28.47±0.15 및 26.97±0.12 mg%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삼튀김 시 튀김유 종류에 따른 수삼 및 유지의 이화학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Ginseng and Oils Derived from Deep-frying Ginseng)

  • 이가순;김관후;김현호;성봉재;김선익;한승호;이석수;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41-947
    • /
    • 2013
  • 본 연구는 수삼을 식용유지별, 튀김온도별에 따라 수삼을 튀김한 후 수삼과 유지의 품질학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식용유지는 대두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및 포도씨유를 사용하였으며, 튀김수삼과 튀긴 후 식용유지의 산가, 과산화 물가 및 유리지방산가의 함량 변화와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반복적으로 튀긴 기름의 색도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튀김온도가 높을수록 튀김유의 산가 및 과산화 물가는 모두 증가하였다. 수삼채를 튀김할 경우 $18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2분30초 이내로 튀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 조건에서 30회간 반복 튀김하였을 경우 포도씨유가 16.7 meq/kg으로 가장 적게 증가하였고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은 올리브유로 32.6 meq/kg이었다. 튀김수삼에서의 과산화물가는 옥수수유가 10.3 meq/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포도씨유가 4.7 meq/kg으로 가장 낮았다. 대두유, 옥수수유 및 포도씨유 모두 oleic acid와 linoleic acid, linoleic acid 등 불포화도가 있는 지방산은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등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튀김수삼 내에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식용유지 중 올리브유가 가장 적게 생성되었고 옥수수유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으며, 반복적으로 튀김을 할 경우 대두유, 옥수수유 및 포도씨유의 색도의 변화는 밝기와 적색도는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올리브유는 밝기는 증가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갈색화가 가장 심하게 나타난 튀김유는 옥수수유이었다. 점도는 반복적으로 튀김을 할 경우 옥수수유가 점도가 가장 적게 증가하였고 대두유, 올리브유 및 포도씨유는 110 cPs 이상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