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urable absorber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3초

포화흡수체 $Cr^{4+}:YAG$와 유기염료 박막의 포화특성 분석 (The saturating property of $Cr^{4+}:YAG$and dye film as the saturable absorber)

  • 최영수;전용근;김재기
    • 한국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8-102
    • /
    • 2001
  • 포화흡수체$Cr^{4+}:YAG$와 유기염료 박막을 사용한 $1.06{\mu}m$ Nd:YAG 공진기에서 수동 큐스위칭 동작시 나타나는 포화흡수체의 포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상모드와 수동 큐스위칭 레이저의 문턱에너지 차이로 광손실을 측정하여 큐스위칭 동작에서 나타나는 포화흡수체의 포화투과도와 불포화 기저상태 밀도수를 분석하였다.

  • PDF

포화흡수체 Nd:LSB를 이용한 $1.3\mum$ Q-스위칭 Nd:YAG 레이저 (The Q-switched $1.3\mum$ Nd:YAG laser using sautrable absorber Nd:LSB)

  • 지명훈;이재명;오세용;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29-33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Nd:LSB가 Q-스위칭의 고화흡수체로서 가능한지를 보였으며 고화흡수체를 이용한 수동형 D-스위칭 Nd:YAG 레이저에서 최적화된 출력 거울의 발사율, 피크 파워, 출력 에너지, 펄스폭, 출력 효율을 분석하였다. 포화흡수체 Nd:LSB를 이용한 수동형 Q-스위칭 Nd:YAG 레이저 시뮬레이션 출력 특성은 출력 거울의 반사율이 98%, 공진기 길이 30cm 일 때 출력 30MW, 펄스폭 6.23psfmf 얻을 수 있었다. 손실이 각각 2.2%, 2.1%, 1.5% 일 때 출력 에너지는 자자 143, 200, 209 $\mu$J을 얻었고 효율은 27%이었다.

  • PDF

Solid-State Laser Mode-Locking Near 1.25 μm Employing a Carbon Nanotube Saturable Absorber Mirror

  • Cho, Won-Bae;Choi, Sun-Young;Kim, Jun-Wan;Yeom, Dong-Il;Kim, Ki-Hong;Rotermund, Fabian;Lim, Han-J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5권1호
    • /
    • pp.56-60
    • /
    • 2011
  • We demonstrate passive mode-locking of a Cr:forsterite laser with 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aturable absorber mirror (SWCNT-SAM). Without compensation of intra-cavity dispersion, the self-mode-locked laser generates 11.7 ps pulses at a repetition rate of 86 MHz. The dispersion-compensated laser yields ultrashort pulses as short as 80 fs near $1.25\;{\mu}m$ at 78 MHz with average output powers up to 295 mW, representing the highest power ever reported for mode-locked solid-state lasers based on saturable absorption of SWCNTs in this spectral region.

도파로공진을 이용한 슬롯도파로 포화흡수체 반사기 (Saturable Absorber Reflectors Based on Guided-mode Resonance in Slot Waveguides)

  • 김명환;김상인
    • 한국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7-12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도파모드공진을 이용한 포화흡수체 반사기를 제안하였다. 포화흡수체로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사용하였다. 제안된 반사기는 CNT의 두께 변화 없이 modulation depth를 키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안하는 반사기의 fill factor(F)와 CNT의 두께변화에 따른 modulation depth, 대역폭, 포화되었을 때의 최대 반사율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제안된 반사기는 포화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100~200nm 얇은 CNT박막에서 50배정도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하였다.

Wavelength-Tunable, Passively Mode-Locked Erbium-Doped Fiber Master-Oscillator Incorporating a Semiconductor Saturable Absorber Mirror

  • Vazquez-Zuniga, Luis A.;Jeong, Yooncha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7권2호
    • /
    • pp.117-129
    • /
    • 2013
  • We briefly review the recent progress in passively mode-locked fiber lasers (PMLFLs) based on semiconductor saturable absorber mirrors (SESAMs) and discuss the detailed characterization of a SESAM-based, passively mode-locked erbium-doped fiber (EDF) laser operating in the 1.5-${\mu}m$ spectral range for various configurations. A simple and compact design of the laser cavity enables the PMLFL to generate either femtosecond or wavelength-tunable picosecond pulses with high stability as the intra-cavity filtering method is altered. All the cavities investigated in our experiments present self-starting, continuous-wave mode-locking with no Q-switching instabilities. The excellent stability of the source eventually enables the wavelength-tunable PMLFL to be used as a master oscillator for a power-amplifier source based on a large-core EDF, generating picosecond pulses of >10-kW peak power and >100-nJ pulse energy.

포화흡수체를 이용한 극미세선폭 FBG 공동 DFB 레이저 (Ultra-narrow Linewidth FBG Cavity DFB Laser with saturable Absorber)

  • 김준원;진용옥;최규남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5호
    • /
    • pp.46-53
    • /
    • 2002
  • DFB 레이저를 이용하여 긴 FBG 공동에서 극미세선폭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63㎞의 광섬유 지연선로를 사용한 자기헤테로다인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레이저 선폭을 측정한 결과 3㏈ 선폭으로 20㎑를 얻었다. 이 레이저에 포화흡수체로 Er/sup +3/ 이 도핑된 광섬유를 사용하여 다시 선폭을 압축한 결과 자기헤테로다인 측정장치의 해상도 한계인 3㎑ 이하의 선폭을 얻었다. 이는 2×10/sup -8/㎚의 선폭에 해당한다.

반도체 포화 흡수체 거울에 입사되는 광의 크기에 따른 모드 잠금된 Yb 첨가된 광섬유 레이저 출력 특성 (Dependence of Mode Locked Yb-doped Fiber Laser Output on the Size of the Beam Incident upon a Semiconductor Saturable Absorber Mirror)

  • 문동준;김명진;안철용;김남성;김현수
    • 한국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3-10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포화 흡수체 거울 (SESAM)에 입사되는 단위 면적당 광세기 변화에 따른 이터븀 첨가 광섬유 레이저의 모드 잠금 출력 특성을 고찰하였다. 단위 면적당 광세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공진기 내부에 설치된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SESAM에 입사되는 광의 크기를 변화시켰다.

편광기와 1/4 파장판으로 구성된 출력경과 반도체 포화 흡수체에 의해 Q-스위칭된 Yb:YAG 레이저 출력 특성 연구 (Output Characteristics of a Yb:YAG Laser Q-Switched by a Semiconductor Saturable Absorber and an Output Coupler Composed of a Polarizer and a Quarter-Wave Plate)

  • 안철용;김현철;임한범;김현수
    • 한국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0-94
    • /
    • 2014
  • 편광기와 1/4 파장판을 이용한 레이저 출력경을 적용한 반도체 포화 흡수체에 의해 Q-스위칭된 Yb:YAG 레이저를 제안하고 그 출력 특성을 조사하였다. 설치된 1/4 파장판의 회전각을 변화시킴으로써 레이저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포화 흡수체의 투과변조깊이 조절을 통한 다양한 펄스상태 조작 방법에 관한 전산 모사 (Simulation of Manipulating Various Pulsed Laser Operations Through Tuning the Modulation Depth of a Saturable Absorber)

  • 진진화;염동일;김병윤
    • 한국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51-35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포화흡수체의 투과변조깊이 조절을 통해 다양한 펄스 상태를 한 공진기 안에서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전산 모사를 진행하였다. 포화흡수체의 투과변조깊이의 크기 변화만으로 큐스위치드 레이저, 큐스위치드 모드 잠금 레이저, 모드 잠금 레이저 등 원하는 펄스 레이저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실험적 연구가 있어 왔으며, 이러한 연구가 이론적으로 부합하는 내용임을 확인하기 위해 Haus master 식을 사용하여 전산 모사를 진행하였다. 큐스위칭된 광 파워를 모사하기위해 이득 값은 시간 의존성을 가지도록 반응속도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투과변조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모드 잠금 레이저에서부터, 큐스위치드 레이저, 큐스위치드 레이저로 동작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론적으로 예측된 경향성과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