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isfaction with medical care

검색결과 524건 처리시간 0.031초

CT 조영제의 부작용 예방을 위한 표준진료지침서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Critical Pathway for Prevention of Adverse Reactions to Contrast Media for Computed Tomography)

  • 장근조;김명구;유병규;권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1호
    • /
    • pp.39-46
    • /
    • 2007
  • CT 조영제의 부작용을 예방하여 환자만족도와 방사선사 및 간호사의 업무만족도를 향상을 위해 표준진료지침서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표준진료지침서 개발은 팀으로 구성하여 단계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은 환자 및 방사선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표준진료지침서를 적용하는 군이 만족도가 높게 조사되었고, 방사선사와 간호사는 표준진료지침서를 적용하는 경우 환자의 조영제 부작용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는 효과와 조영제 부작용을 예방 효과가 있어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조영제 부작용은 표준진료지침서를 적용하기 전 90명에서 적용 후 66명으로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표준진료지침서를 적용하여 환자 정보제공(24%), 조영제 예방효과(19%), 조영제 부작용의 사전 인지효과(39%), 지식정도(19%)로 업무 만족도 향상 효과가 있었다. 혈관외유출은 표준진료지침서 적용전은 13건이었고, 적용 후는 6건으로 감소하였다. 혈관외유출 위치와 조영제 용량을 종합의료정보시스템(HMIS)에 입력하여 혈관외유출 예방과 검사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환자 정보를 파악하여 조영제 부작용 예방효과와 처치로 의료 질 향상 및 만족도 증가하였다. 표준진료지침서를 지속적으로 적용하여 환자, 검사자의 만족도 및 의료질을 증진하도록 한다.

  • PDF

취약계층 노인의 우울예방을 위한 지역사회기반의 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A Community-Based Integrated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and Its Effectiveness in Caring for Vulnerable Elderly)

  • 안양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87-298
    • /
    • 200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prevention program to strengthen elders self-care capability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on their psychological condition. This study used one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Subjects were 85 elderly residents (over 65 years of age) who lived alone, and received free basic medical car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Subject eligibility criteria for this study were to an elders who 1) is not currently taking any anti-depressant medication 2) is able to communicate, and 3) agree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program was composed of horticulture, reminiscence, and friendship activities. Twelve sessions were provided for 12 weeks in community-based partnerships to achieve better outcomes. The intervention was case-managed by a public health nurse and aided by six volunteers. The main outcome variable was depression, which was assessed by using 15 items selected from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 Korean versi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unctional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were used as covariat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vention effect at post-intervention time point compared to pre-intervention time point(E.S. 0.94).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tervention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These findings must be interpreted within the context that an effects of an integrated program could be more synergistically increased when social support factor is considered in the program. A community-based integrated prevention program of depression is effective for vulnerable rural elderly. It is suggested tha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ithin community setting for better methodological strength as well as multi-level outcomes on community need to be conducted in future.

  • PDF

노령인구의 요추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결과의 분석 (The Analysis of Surgical Results to the Lumbar Spinal Disorders of Aged Persons)

  • 이세영;윤승환;조준;문창택;장상근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2호
    • /
    • pp.1612-1619
    • /
    • 2000
  • Objective : To retrospectively analyse the surgical outcome and efficacy of the lumbar spinal surgery in sixty to older patients who failed to conservative treatments. Methods : Between July 1990 and November 1996, the authors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medical records of 46 patients who over 60 years of age at the time of surgery. The clinical severity was assessed with Prolo's grade(economic and functional). Questionnaire was sent to each patient regarding long-term effect, satisfaction, and side effects. Results : In 46 patients, 2 patients(1 case died of lung cancer, 1 case lost in follow-up) were lost. Among 44 patients (28 men, 16 women ; mean age 64 years), 22 patients underwent partial or total laminectomy, 17 spinal fusion with instruments, 2 chemonucleolysis, 2 adhesiolysis for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and 1 automated percutaneous lumbar discectomy. Although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5 patients, they were successfully managed. No deaths were documented in the perioperative periods. The average Prolo's economic and functional grade improved from 2.98 to 3.48 and 2.81 to 3.75, respectively. Conclusion : In overall, the favorable surgical outcome was obtained. This results indicated that with appropriate preoperative selections and indications, careful intraoperative monitoring, and attentive postoperative care, the surgical treatment of eldery patients for the lumbar spinal disorders, significant improvement with acceptable levels of morbidity and mortality can be achived.

  • PDF

종합병원 의료인의 교육훈련 인식이 의료인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Education Awareness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for Health Care Providers)

  • 정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11-420
    • /
    • 2018
  • 본 연구는 종합병원 의료인의 교육훈련 인식이 의료인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자료조사는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소재 29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인 433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8일부터 2018년 6월 2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t-검정과 분산분석, 사후검정, 상관관계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과 의료인 상호간 커뮤니케이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 학력, 병상규모, 직업만족도, 소재지, 건강상태, 건강관리 교육경험, 우울경험에서, 교육훈련 인식은 연령, 병상규모, 직종, 급여수준, 의료기관 종류, 직업만족도, 소재지, 건강상태, 건강관리 교육경험, 만성질환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인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학력, 건강관련 교육경험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연령과 병상규모(801병상 이상), 직업만족도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병상규모가 801병상 이상인 경우, 직업에 만족하지 못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훈련 하부요인인 지원환경, 학습전이, 성과에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훈련 계획수립 시 성과와 지원환경, 학습전이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며, 의학 및 간호학생들의 교육 과정에 커뮤니케이션의 정규 교육과정을 도입. 의료인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높여 환자에게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고혈압 환자의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Adherence to Improve Life 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 길은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13-224
    • /
    • 2020
  •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서술적, 2차 분석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의료패널 2015년 데이터(β-version 1.0)를 활용하여 고혈압 진단 후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2,4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을 이용하여 Chi-Square, Scheffe's 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고혈압 환자의 약물 순응도 수준은 94.2%로 나타났으며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은 인구학적 요인의 Model I에서는 성별, 나이로 나타났고 신체-사회적 요인을 추가한 Model II에서는 장애유무, 흡연, 음주여부로 나타났으며 약물복용 요인을 추가한 Model III에서는 음주여부, 약물복용 기간, 부작용 발생, 약물 만족도, 약제비 지불 부담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혈압 환자가 라이프케어를 증진시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혈압 진단 초기부터 개개인의 특성에 맞춰 약물복용의 중요성 및 부작용, 복용 방법 등에 대한 교육과 중재가 필요하겠다.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협진 프로세스를 통한 협진 현황 보고 (A Report on the Status of Cooperation through the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Collaboration Process)

  • 이강준;이규래;송윤경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9-139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nt status of cooperation through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collaboration process. Methods We have established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collaboration process to examine the status of cooperation. The medical records wer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ender, age of cooperative patients, classification of disease, frequency of medical treatment and type of insurance were analyzed. Results The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collaboration process conducted in 4 stages, the convenience of patient movements is considered. A total of 245 people received cooperative medical treatment, 156 were out-patient department (OPD) patients and 89 were hospitalized patients, both group have more women than men. When classified as disease, OPD patients were most diagnosed with Sprain and strain of lumbar spine, while hospitalized patients were most diagnosed with lumbar and other intervertebral disc disorders with radiculopathy. A total of 72.7% patients were received cooperative medical treatment at once. In a survey of cooperative satisfaction, 68.5% of all medical staff responded positively to the treatment effect, and 68.6% said the need for cooperation was necessary.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see the present status of cooperation, and through this, we found an improvement in the continuation of the cooperation. Based on the present study, It is hoped that a cooperative process will emerge that can improve the problems shown in this study.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조절학습, 의사소통능력이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dica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Self-Efficacy in Performing Medical Treatment)

  • 제남주;윤지원;화정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267-278
    • /
    • 2024
  •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조절학습, 의사소통능력이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었다. 본 연구는 G도 소재 J지역의 의과대학생을 근접모집단으로 하여 임의 표출하였으며, 총 12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IBM SPSS/25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능력(r=.61, p<.001), 자기조절학습(r=.50, p<.001), 의사소통능력(r=.33, p<.001)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위계적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학습, 의사소통능력 순이었다. 총 설명력은 46.6%이었다.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임상실습을 통해 졸업 후 의사가 되어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진료수행능력을 갖추는 것은 의과대학생들이 달성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므로 의과대학생의 진료수행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건강관리, 전공만족도, 생활만족도 향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자기조절학습, 의사소통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인 시스템 개선 노력도 함께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Caring Patients with COVID-19

  • Lee, Min Hye;Noh, Eun-Young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97-411
    • /
    • 2023
  • Purpose: The role of medical staff gained immense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the prolonged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However, few studies had explored the impa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o care for the patients of COVID-19. This study provided nursing students with simulation-based education in caring for the patients of COVID-19 and confirmed its effectiveness.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nursing departments of two universities in Korea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 total of 79 participants were included: 37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42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four sessions of simulation training based on the National League for Nursing Jeffries simulation theory.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n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knowledge related to coronavirus, confidence in performing infection control skills, and perception of preparedness for caring for the patients of COVID-19, with a high-level of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lear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anxiety. Conclusion: This simulation is expected to be a significant strategy for alleviating the global burden in terms of staff safety and patient outcomes by improving the competencies of prospective medical staff in responding to pandemics.

건강보험 코호트 자료를 활용한 충청남도 지역 환자의 특성에 따른 관외 의료이용과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Patient Characteristics of Chungnam-do and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Using Health Insurance Cohort DB 2.0)

  • 이영준;명세현;문현우;우서현;김선정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8-58
    • /
    • 2024
  • 연구배경: 이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 및 환자의 특성과 관외 의료기관 이용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충청남도 지역에 거주하는 입원 및 외래 환자들을 통해 도내 진료권을 분석하고, 수도권 및 대전권 의료기관에 대한 관외 의료이용 양상을 파악하여 도내 의료전달체계 개선 및 건강보험 재정 안정 도모를 위한 충청남도 의료정책 사업의 근거적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 연구는 건강보험 코호트 DB 2.0 2016-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원시 자료 중 환자의 거주지가 충청남도 지역이면서, 이용한 요양기관이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인 환자로 한정하였고, 최종적으로 2,570,439건(입원=43,309, 외래=2,527,130)의 자료를 추출하였다. 먼저, 분석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변수별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충청남도 지역 및 환자의 특성과 관외 의료기관 이용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관외 의료기관 이용에 따른 입원 및 외래 환자의 진료 1건당 의료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심사결정 후 건강보험 총요양급여비용을 자연로그값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은 충남권, 대전권, 수도권 순으로 의료기관을 많이 이용하였고, 입원 및 외래 환자 모두 천안, 아산 거주 환자들에 비해 모든 권역에서 관외 의료기관을 더 많이 이용하였다. 특히 공주, 부여, 천안(odds ratio [OR], 72.931) 및 계룡, 논산, 금산(OR, 116.817) 거주 입원 환자는 대전권 의료기관 이용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은 충남권 의료기관에 비해 수도권(외래=17.01%, 입원=22.11%)과 대전권(외래=16.63%, 입원=15.41%) 의료기관에서 더 많은 의료비를 지불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의 관외 의료이용 양상을 분석하고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향후 지역 의료기관과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 및 만족도와 환자의 주진단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의료의 지역화와 의료공급 효율성 및 건강보험 재정 건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고대한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당뇨병환자의 인식 및 이용현황 (Perception and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Diabetic Patients in Busan Area)

  • 김혜령;손은주;김미경;류은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88-49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for diabetic patients in Busan. The subjects were 227 patients at two general hospitals (over 400 bed). This study was performed through the interviewing process using questionnaires conducted from January to April, 2010. Of a total of subjects, 109 patients (48.0%) had taken CAM at least one time. The patients used CAM recognized that they were 'auxiliary medicines' (39.4%), 'supplementary health foods' (32.1%) and 'medicines' (19.3%), but inexperienced patients perceived them as 'supplementary health foods' (29.6%), 'unscientific treatment' (22.6%) and 'medicines' (20.2%),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of patients (p < 0.001). The number of CAM types used for the patients was 51. The CAM types were plant foods (64.3%), dietary supplement (23.6%) and animal diets (12.1%). The patients used an average of 5.9 different kinds of CAM and an average of 3.8 years them and paid \93,345 per month. The patients with diabetic complications and for longer morbidity periods used CAM for significantly (p < 0.05) longer periods. The mean effectiveness scores of the patients used CAM were 3.31/5.00 for efficacy satisfaction, 3.58/5.00 for fewer side effects compared to those of oral drugs, 3.60/5.00 for psychological stability, 3.81/5.00 for easiness to use, and 3.06/5.00 for economic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that used CAM, 55.9% did not consult with doctors about CAM. More than two-thirds of the patients (77.1%) did not feel the need to consult with do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