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dinella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19초

Characterization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Mauritian sardinella, Sardinella jussieu (Lacepède, 1803), collected in the Banten Bay, Indonesia

  • Sektiana, Sinar Pagi;Andriyono, Sapto;Kim, Hyun-W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10호
    • /
    • pp.26.1-26.9
    • /
    • 2017
  • Fishes in genus Sardinella are small pelagic specie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rine ecosystem as the first consumer. Those species are also commercially important, whose total catch reaches 278,600 tons in 2011 in Indonesia, but their identification has been difficult for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y. In this study, we reported Sardinella jussieu for the first time in Indonesian coastal area (Banten Bay, Indonesia, $6^{\circ}\;0^{\prime}\;50.00^{{\prime}{\prime}}\;S-106^{\circ}\;10^{\prime}\;21.00^{{\prime}{\prime}}\;E$). We were able to confirm the species by both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black spot at dorsal fin origin, the dusky pigmentation at caudal fin, 31 total scute numbers, and DNA sequence identity in the GenBank database by the molecular analysis. Its total mitochondrial genome was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 of next-generation sequencing and typical PCR strategy. The total mitochondrial genome of Sardinella jussieu (16,695 bp) encoded 13 proteins, 2 ribosomal RNAs, 22 transfer RNAs, and the putative control region. All protein-coding genes started with ATG and typical stop codon and ended with TAA or TAG except for ND4 in which AGA is used. Phylogenetic analyses of both COI region and full mitochondrial genome showed that S. jussieu is most closely related to Sardinella albella and Sardinella gibbosa

한국산 청어과 어류 1미기록종 (A New Record of the Herring, Sardinella lemuru (Pisces: Clupeidae) from Korea)

  • 김진구;강충배;한경호;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0-194
    • /
    • 2001
  • 청어과 Clupeidae, 밴댕이속 Sardinella에 속하는 Sardinella lemuru Bleeker, 1853 2개체가 1997년 3월에 우리나라 제주도 연안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기에 이를 보고한다. S. lemuru는 동일속의 밴댕이 S. zunasi와 외부형태학적으로 매우 유사하나 뒷지느러미 연조수에서 잘 구별되며, 청어 Clupea pallasii와는 체색에서 매우 비슷하여 식별이 어려우나, 새파수에서 잘 구별된다. Sardinella lemuru의 국명을 "바리밴댕이"로 명명한다.

  • PDF

한국산 청어과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Clupeidae(Pisces: Clupeiformes) from Korea)

  • 윤창호;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9-60
    • /
    • 1998
  • 한국산 청어과(科) 어류에 대한 분류학적인 재검토를 실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연안 22개 지점에서 채집하거나 국외에서 입수한 표본에 대한 계수 계측형질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결과, 한국산 청어과(科)는 10속(屬) 11종(種)으로 확인되었다. Pristigaster 속(屬) 어류는 남미의 담수역에서만 분포 서식하며, 배지느러미가 없는 특정을 지니고 있어 Chyung (1977)이 보고한 때치 Pristigaster chinensis는 준치의 동종이명으로 확인되었다. 청어과(科) 어류의 학명을 재검토한 결과, 눈퉁멸의 학명은 Etrumeus micropus에서 E. teres (De Kay, 1842)로, 샛줄멸은 Spratelloides japonicus에서 S. gracilis (Temminck et Schlegel, 1846), 이와치는 Sardinella immaculata에서 S. jussieu (Valenciennes, 1847)로, 밴댕이는 Harengula zunasi 에서 Sardinella zunasi (Bleeker, 1854) 및 납작전어는 Macrura reevesii에서 Tenualosa reevesii (Richardson, 1846)로 확인되어, 이들의 학명을 변경하였다. 청어과(科) 어류는 우리나라 전해역에서 고르게 출현하였으며, 비교적 전 해역에서 고르게 출현하는 종은 전어 Konosirus punctatus와 밴댕이 Sardinella zunasis로 확인되었고, 한국산 고유종은 없었다.

  • PDF

만경 동진강 하구의 浮流性 卵 仔稚漁 分布 樣相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Ichthyoplankton in the Mankyong-Dongjin Estuary)

  • 차성식;박광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7-58
    • /
    • 1991
  • 하구역의 부유성 난 자치어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9년 10월과 1990년 3월, 5월, 7월의 4회에 걸쳐 만경 동진강 하구의 수온와 염분을 조사하였으며, 부유성 난과 자치어를 채집하였다. 수온은 계절 변동이 뚜렷으며 정점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 었다. 염분은 강물의유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정점간 차이가 증가하였다. 부유성 난과 자치어는 10월과 3월에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5월에는 전어가 출현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7월에는 밴댕이, 멸치, 망둥어류, 풀반지류가 우점하였다. 멸치의 난과 자치어는 만 외부에서 채집된 반면에 전어는 염분이 낮은 내만에서 우점하였다. 전어, 밴댕이, 만둥어류, 풀반지류는 본 하구역의 특징적인 어류로 이들은 염분이 낮은 하구 역에서 산란하고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리 원자력발전소 취수구 스크린에 의해 사망하는 어류에 관한 연구 (Impingement of Fishes on Traveling Screens at Kori Nuclear Power Plant)

  • 허성희;황선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0-47
    • /
    • 1997
  • 고리 원자력발전소 취수구 스크린에 의해 사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우점종의 출현양상을 1987년 4월부터 1989년 3월까지 2년간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중 채집된 어류는 총 102종이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어종은 큰가시고기(Gasterosteus aculeatus aculeatus)였으며, 그 다음으로 멸치(Engraulis japonicus), 밴댕이(Sardinella zunasi), 갈치(Trachirus lepturus) 순이었다. 이들 네 어종은 총 개체수의 97.4%, 생체량의 92.2%를 차지하였다. 취수구 스크린에 의해 사망하는 어류는 2월과 3월에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 달에는 적었다. 어류의 사망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온이었는데, 수온이 낮은 시기에 스크린에 의한 어류의 사망율이 크게 증가되었다.

  • PDF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저인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 허성회;정석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2호
    • /
    • pp.178-195
    • /
    • 1999
  • 낙동강 하구 주변 해역에서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1년 동안 매월 소형 기선저인망(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00개 어종에 속하는 23,008마리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어종은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 흰베도라치(Pholis fangi),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밴댕이 (Sardinella zunasi)였는데, 이들 5어종은 총 개체수의 63.0%와 생체량의 47.8%를 차지하였다. 계절별 우점종을 보면, 봄에는 흰베도라치와 실양태, 여름에는 실양태와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가을에는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과 청멸(Thryssa kammalensis), 그리고 겨울에는 설양태, 주둥치, 밴댕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어종수, 채집 개체수 및 종다양도지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다. 또한 어종 수 및 채집 개체수는 정점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낙동강 하구쪽으로 갈수록 어종수 및 채집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수온은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염분은 어류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the lunar cycle in the catch composition and total catch of stationary lift nets in the coastal waters of Miagao, Iloilo, the Philippines

  • Vergara, Christopher John C.;Quinitio, Gerald F.;BAECK, Gun Wook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4호
    • /
    • pp.349-356
    • /
    • 2017
  • The catch composition of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of the stationary lift net at Barangay Gines, Miagao, Iloilo, the Philippines was investigated from December 2013 to May 2014 during the different phases of the moon. A total of 486 kg of fish coming from 12 different genera, including mollusk and crustaceans, was caught and identified from the catch of the stationary lift net. Among the 12 genera identified from the catch of stationary lift net, anchovy (Stolephorus), sardines (Sardinella), squid (Loligo) and mysid shrimp (Acetes) were considered to be commercially important due to their value. Acetes catch was highest during the new moon in the month of January. Loligo catch was also high during the new moon except in the month of May. Stolephorus catch was also highest during the new moon except in the month of January. Sardinella catch was highest during the first quarter in the month of February. Full moon had the lowest catch all throughout the duration of the study while new moon had the highest catch during December 2013 to March 2014 and first quarter was the highest in the months of April and May.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3. Pelagic Fish)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54-664
    • /
    • 1998
  • 1992년 3월에서 1993년 1월 사이 만입구에 설치된 소형정치망 어획 자료를 수집하여 천수만 부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고, 1981$\~$82년 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63종의 어류가 출현하였고, 멸치(Engraulis japonicus), 까나리 (Ammodytes penonatus), 횐베도라치 (Enedrias fangi) 및 밴댕이 (Sardinella zunasi)가 우점하였다. 봄에는 횐베도라치의 치어와 멸치, 까나리, 밴댕이 등의 성어가 대량 가입되었으며, 이 어종들은 이른 여름에 그 수가 감소하였다. 8월부터 봄에 산란부화한 부어류들의 유어가 가입하여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늦가을부터는 이 어류들이 월동하기 위하여 외해로 빠져나가 생체량이 감소하였다. 본 조사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은 1981$\~$82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양적으로는 1981$\~$82년에 비하여 높았다. 이것은 1992년 봄과 가을에는 평년 수온에 비하여 약 $2^{\circ}C$ 정도가 높은데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주둥치 (Leiogathus nuchalis)의 증가는 수질의 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전남지역 낭장망의 어구 및 어획물 비교 (Comparison of fishing gears and catches by areas in the Gape net with wings in Jeonnam, Korea)

  • 조삼광;송대호;유준택;최문성;차봉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3호
    • /
    • pp.301-309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gional fishing gears and catches of the gape net with wings used in Jeonnam, Korea. The total length of the gear used in Yeosu, Wando and Jindo was 107.0m, 64.0m, 52.8m, and the size of codend was 4.3mm. 7.8mm. 9.8mm,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bycatch species from anchovy (Engraulis japonicus) catches in Yeosu, Wando, and Jindo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21, 13, and 13 species. A total of individuals of anchovy accounted for over 90% out of total catches in all survey areas. The proportion of anchovy individuals was constantly high up to October in Yeosu, but it showed a sharp reduction to 18% in October in Wando with the increase of the individuals of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and Big eyed herring (Sardinella zunasi). In Jindo, individuals of anchovy occupied over 99.8% out of total catches up to August. Since August,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Big eyed herring (Sardinella zunasi),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and Slimy (Leiognathus nuchalis) ha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anchovy individuals were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