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prolegnia parasitic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Saprolegnia parasitica Isolated from Rainbow Trout in Korea: Characterization, Anti-Saprolegnia Activity and Host Pathogen Interaction in Zebrafish Disease Model

  • Shin, Sangyeop;Kulatunga, D.C.M.;Dananjaya, S.H.S.;Nikapitiya, Chamilani;Lee, Jehee;De Zoysa, Mahanama
    • Mycobiology
    • /
    • 제45권4호
    • /
    • pp.297-311
    • /
    • 2017
  • Saprolegniasis is one of the most devastating oomycete diseases in freshwater fish which is caused by species in the genus Saprolegnia including Saprolegnia parasitica. In this study, we isolated the strain of S. parasitica from diseased rainbow trout in Korea. Morphological and molecular based identification confirmed that isolated oomycete belongs to the member of S. parasitica, supported by its typical features including cotton-like mycelium, zoospores and phylogenetic analysis with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Pathogenicity of isolated S. parasitica was developed in embryo, juvenile, and adult zebrafish as a disease model. Host-pathogen interaction in adult zebrafish was investigated at transcriptional level. Upon infection with S. parasitica, pathogen/antigen recognition and signaling (TLR2, TLR4b, TLR5b, NOD1, and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 pro/anti-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beta}$,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L-6, IL-8, interferon ${\gamma}$, IL-12, and IL-10),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and MMP13), cell surface molecules ($CD8^+$ and $CD4^+$) and antioxidant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related genes were differentially modulated at 3- and 12-hr post infection. As an anti-Saprolegnia agent, plant based lawsone was applied to investigate on the susceptibility of S. parasitica show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percentage inhibition of radial growth as $200{\mu}g/mL$ and 31.8%, respectively. Moreover, natural lawsone changed the membrane permeability of S. parasitica mycelium and caused irreversible damage and disintegration to the cellular membranes of S. parasitica. Transcriptional responses of the genes of S. parasitica mycelium exposed to lawsone were altered, indicating that lawsone could be a potential anti-S. parasitica agent for controlling S. parasitica infection.

자연산 다묵장어, Lethenterone reissneri에서 발생한 물곰팡이병 원인체의 동정 (Identification of water mold from wild brook lamprey, Lethenterone reissneri)

  • 김형준;박정수;김성연;구자근;방인철;권세련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9-44
    • /
    • 2013
  • 자연산 다묵장어, Lethenterone reissneri에서 발생한 물곰팡이병의 원인체를 형태학적 및 유전학적 연구를 통하여 동정하였다. 분리균주는 격벽이 없는 균사를 형성하였고, 가늘고 긴 모양의 유주자낭 내에 활발한 운동성을 보이는 유주자가 여러 줄로 배열되었다가 유주자낭의 선단에서 휴면하지 않고 한꺼번에 방출되는 특징을 보였다. 한편 유성생식기관인 조란기와 조정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분리균주의 ITS sequence를 분석하고 Saprolegnia 속의 다른 분리균주와 유전학적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S. parasitica가 속해있는 clade I에 분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성생식기관의 형태, 유주자 방출방식 및 ITS sequence의 phylogenetic analysis에 근거하여 자연산 다묵장어에서 관찰된 물곰팡이병의 원인체는 S. parasitica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A Gene Encoding $\beta$-amylase from Saprolegnia parasitica and Its Express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Kim, Hee-Ok;Park, Jeong-Nam;Shin, Dong-Jun;Lee, HwangHee Blaise;Chun, Soon-Bai;Bai, 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529-533
    • /
    • 2001
  • The ${\beta}$-Amylase cDNA fragment from the oomcete Saprolegnia parasitica was clon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using degenerate oligonucleotide primers derived from conserved ${\beta}$-amylase sequences. The 5'and 3'regions of the $\beta$-amylase gene were amplified using the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system. It consisted of an open reading frame of 1,350 bp for a protein of 450 amino acids. Comparison between the genomic and cDNA sequences revealed that the intron was not present in the coding region.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beta}$-amylase gene had a 97% similarity to the ${\beta}$-amylase of Saprolegnia ferax, followed by 41% similarity to those of Arabidopsis thaliana, Hordeum vulgare, and Zea mays. The ${\beta}$-amylase gene was also expresse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by placing it under the control of the alcohol dehydrogenase gene (ADC1) promoter.

  • PDF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에서 분리된 수생균 (Saprolegnia parasitica)에 대한 천연유황수의 항균 활성 및 처리에 대한 어류 안전성 (Fish Safe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Natural Sulfur Solution on Aquatic Microorganisms (Saprolegnia parasitica) Isolated from Misgurnus mizolepis)

  • 이승원;이승협;이상종;김미희;이혜현;추샛별;김경희;이희정
    • 환경생물
    • /
    • 제35권2호
    • /
    • pp.116-122
    • /
    • 2017
  • 말라카이트 그린과 메틸렌 블루 같은 기본 염료는 1930년대부터 물 곰팡이 감염을 통제하는 소독제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 염료의 발암성 및 생체 내부 축적이 보고된 후 공중보건을 위해 이 염료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유황수의 Saprolegnia parasitica의 감염에 대한 치료 효과와 어류에서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천연유황수의 항진균성 시험에서 S. parasitica 균사체의 성장이 50 ppm 또는 그 이상의 농도에서 억제되었다. 미꾸라지의 치어와 미성어에 대한 천연유황수의 급성 독성 시험에서 무 영향농도(NOEC)는 100 ppm, 최저 영향농도(LOEC)는 125 ppm 그리고 반수치사농도($LC_{50}$)는 치어에서 125 ppm, 미성어에서 250 ppm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물벼룩을 이용한 천연유황수의 생태 독성 시험에서는 100 ppm 이하의 농도에서 물벼룩의 유영저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천연유황수는 50 ppm 농도에서 미꾸라지에 대한 S. parasitica의 감염을 방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100 ppm 농도까지 미꾸라지에 급성독성 그리고 물벼룩에 생태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므로 미꾸라지 양식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수생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말라카이트 그린 및 메틸렌 블루 같은 발암성 소독제를 대신하여 천연유황수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다른 어종 양식에서도 천연유황수를 친환경 소독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종의 연어과 어류와 수정난으로부터 분리한 물곰팡이병 원인 진균의 분류와 약물 효과 (Identification and chemotherapeutic effects of the fungi from three salmonid species and their eggs)

  • 지보영;이덕찬;김나영;정승희;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7-160
    • /
    • 2007
  • 2005년 11월과 12월에 걸쳐 연어 수정란 (ChS-E0511, 강원 양양), 무지개송어 수정란 (RaT-E0511, 경남 밀양), 무지개 송어 성어 (Rat-A0512, 강원 평창) 및 산천어 자어 (MaS-F0512, 강원 평창)에서 물곰팡이를 분리하였다. 분리 곰팡이의 분류 결과, 형태학적 및 유전학적 연구를 통하여 4종 모두 Saprolegnia parasitica로 확인되었으며, 연어 수정란으로부터 분리된 ChS-E0511 균주는 조란기 (oogonia)와 무성아 (gemmae)를 형성하므로 S. parasitica group 1으로 분류되었다. 분리균주인 ChS-E0511을 이용하여 다양한 약물의 성장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사용금지 약물인 malchite green에 대한 약물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손바닥선인장 (Opuntia ficus-indica) 추출물 (MBT-01108), 2-bronopol (BNP) 및 sodium chloride 등에 대한 무지개송어 수정란의 상대발안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국내 연어과 어류의 질병과 관련한 곰팡이는 S. parasitica로서 2가지 이상의 group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약물들에 대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양식 어류와 이들 난에 대한 항곰팡이성 약물들의 효과 비교 (Comparative Efficacy of Antifungal Agents for Aquaculture Fish and their Eggs)

  • 지보영;이덕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4-40
    • /
    • 2009
  • In fresh water fish hatcheries and farms, Saprolegniales often cause serious mortality to the fish and their eggs. Malachite green is an effective antifungal agent, but is carcinogenic to fish and humans. Alternative antifungal agents are needed. Presently, we tested various concentrations of MBT-01108 (Opuntia ficus-indica extracts)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bronopol, formalin and sodium chloride (MBT-01108 mixture) on in vitro mycelial growth and in vivo remediation of adult eel, Anguilla japonica, infected with Saprolegnia sp. and fertilized egg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to evaluate the compounds' antifungal efficacy on eyed-egg and hatching rates. MBT-Oll08 mixtures incorporating bronopol and formalin at respective concentrations of 50 and 30 parts per million (ppm), and 100 and 20 ppm were most effective in controlling Saprolegnia in vitro and in vivo (P<0.05). Repeated daily exposures to 50 ppm and 100 ppm MBT-01108 were more effective than exposure every 2-3 days post-fertilization for the inhibition of Saprolegnia infec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eggs as compared with control (0 p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