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ple Correlation Coefficient

검색결과 578건 처리시간 0.023초

Correlation Between Lateral Photovoltaic Effect and Conductivity in p-type Silicon Substrates

  • Lee, Seung-Hoon;Shin, Muncheol;Hwang, Seongpil;Park, Sung Heum;Jang, Jae-W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6호
    • /
    • pp.1845-1847
    • /
    • 2013
  • The lateral photovoltaic effect (LPE) can be observed in semiconductors by irradiating a light spot position between electrodes on sample's surface. Because lateral photovoltaic voltage (LPV) is sensitively changed by light spot position, a LPE device has been tried as a position-sensitive detector. This study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LPV and conductivity in p-type silicon and nano-structured Au deposited p-type silicon (nano-Au silicon), respectively. Conductivity measurement of the sample was carried out using the four-wire method to eliminate contact resistance, and conductivity dependence on LPV was simultaneously measured by changing the light irradiation position. The result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conductivity and LPV in the p-type silicon samp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7.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LPV and conductivity for the nano-Au silicon sample was 0.41.

A Simple Geometric Approach to Evaluating a Bivariate Normal Orthant Probability

  • Lee, Kee-Won;Kim, Yoon-Tae;Kim, U-Ju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6권2호
    • /
    • pp.595-600
    • /
    • 1999
  • We present a simple geometric approach which uses polar transformation and elementary trigonometry to evaluating an orthant probability in a bivariate normal distribution. Figures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situation for varying correlation coefficient. We derive the distribution of the sample correlation coefficient from a bivariate normal distribution when the sample size is 2 as an application.

  • PDF

Effect of Outliers on Sample Correlation Coefficient

  • Kim, Chooongrak;Park, Byeong U.;Park, Kook L.;Whasoo Bae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285-294
    • /
    • 2000
  • In analyzing bivariate date the sample correlation coefficient is often used, and it is quite sensitive to one or few isolated cases. In this article we derive a formula for the effect of $textsc{k}$ observations on the samples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deletion method. To give a reference value for the isolated cases the asymptotic distribution fo the formula is derived. Also, we give some interpretations on several types of isolated cases and an example based on a real data set.

  • PDF

유한모집단에서 가중평균에 포함된 가중치의 효과 (Weighting Effect on the Weighted Mean in Finite Population)

  • 김규성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7권2호
    • /
    • pp.53-69
    • /
    • 2006
  • 표본조사에서 가중치는 설계 단계와 분석 단계에서 만들어지고 부여될 수 있다. 설계 단계의 가중치는 추출확률이나 응답률 등과 같은 표본 데이터 획득 지표에 관련되어 있고 분석 단계의 가중치는 모집단 수치나 다른 보조 변수정보 등과 같은 외적인 정보와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최종가중치는 설계 단계의 가중치와 분석 단계의 가중치의 곱으로 만들어진다. 이 논문에서는 분석 단계에서 부여되는 가중치에 초점을 맞추어 가중평균으로 모평균을 추정할 때 가중평균에 포함된 가중치가 모평균 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유한모집단에서 각 조사단위에 조사변수와 가중치가 쌍으로 있고 표본추출확률이 균등한 경우를 가정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가중평균의 편향과 평균제곱오차를 구하여 가중평균은 모평균의 편향 추정량임을 보였고, 편향의 방향과 크기는 조사변수와 가중치의 상관관계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였다. 즉, 만일 가중치와 조사변수가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면 가중평균은 모평균을 과대 추정하게 되고, 만일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면 모평균을 과소 추정하게 된다. 그리고 두 변수의 상관계수가 크면 편향은 증가한다. 가중평균에 대한 이론적인 수식 유도와 함께 편향의 크기와 평균제곱오차의 크기를 수치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모의실험에서는 상관계수가 -0.2과 0.6사이에 있는 9개의 가중치를 생성하였고, 표본수는 100부터 400까지 고려하여 편향의 크기와 평균제곱오차의 크기를 수치적으로 구하였다. 하나의 결과로써 상관계수가 0.55이고 표본수가 400인 경우에 가중평균의 편향의 제곱이 평균제곱오차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무려 8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중평균의 편향이 어떤 경우에는 매우 심각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

표본자료의 왜곡도 영향을 고려한 GEV 분포의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방법 비교 검토 (Comparison on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Considering Skewness of Sample for the GEV Distribution)

  • 안현준;신홍준;김수영;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161-170
    • /
    • 2014
  • 수공구조물의 설계 시 적절한 확률수문량을 추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확률수문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표본으로서의 수문자료를 잘 표현할 수 있는 확률분포형을 찾아야 한다. 이와 같이 수문자료에 통계적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확률분포형을 찾기 위해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며, 적합도 검정 중 하나인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 그 사용법이 간단하며 높은 기각능력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왜곡도 계수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도시위치공식을 이용하여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통계량을 유도하고 그 기각능력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존에 왜곡도 계수를 고려하지 않은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 방법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유도된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에 의한 기각능력이 기존의 검정 방법들 보다 뛰어났으며, 특히 표본 크기가 작을수록, 발생 분포형이 형상 매개변수를 가질 경우 기각능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ing the tidal connection between in and around galaxy clusters

  • 송현미;이정훈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53.1-53.1
    • /
    • 2011
  • We analyze the halo and galaxy catalogs from the Millennium simulations at redshifts z=0, 0.5, 1 to determine the alignment profiles of cluster galaxies in terms of the matter density correlation coefficient and discuss a cosmological implication our result has for breaking parameter degeneracies. For each selected cluster, we measure the alignment between the major axes of the pseudo inertia tensors from all satellites within cluster's virial radius and from only those satellites within some smaller radius. Then we average the measured values over the similar-mass sample to determine the cluster galaxy alignment profile as a function of top-hat scale difference at each redshift. It is shown that the alignment profile of cluster galaxies is well approximated by a power-law of the nonlinear density correlation coefficient that is independent of the power spectrum normalization and bias factor. The alignment profile of cluster galaxies is found to have higher amplitude and lower power-law index when averaged over the larger-mass sample and to have rather weak redshift-dependence.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picture that the satellite galaxies retain the memory of the external tidal fields right after merging and infalling into the clusters but they gradually lose the initial alignment tendency as the cluster's relaxation proceeds. Demonstrating that the nonlinear density correlation coefficient varies sensitively with the density parameter and neutrino mass fraction, we discuss a potential power of the cluster galaxy alignment profile as an independent probe of cosmology.

  • PDF

혼동행렬의 상관계수를 이용한 최적분류점 (Optimal threshol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confusion matrix)

  • 홍종선;오세현;최예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1호
    • /
    • pp.77-91
    • /
    • 2022
  • 의학통계와 신용평가 분야에서 혼합분포함수를 판별하는 최적분류점 추정하기 위하여 판별력을 측정하는 다양한 정확도 측도들이 존재한다. 최근에 혼동행렬 빈도수로 표현되는 Matthews의 상관계수와 정밀도와 재현율의 조화평균인 F1 통계량의 정확도 측도들이 최적분류점을 추정하는데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정확도 측도들 중에서 표본크기에 의존하는 정확도 측도들은 두 표본크기 차이가 많은 경우에 최적분류점을 설정하는데 적절하지 않음을 발견한다. 그리고 대안적인 정확도 측도로 혼동행렬의 비율들의 함수인 상관계수를 정의하고, 이를 최대화하는 분류점을 최적분류점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의 유용성과 활용성에 대하여 토론한다.

상호상관 PIV기법을 위한 빠르고 정확한 FFT 알고리듬의 개발 (Development of Fast and Exact FFT Algorithm for Cross-Correlation PIV)

  • 류권규;김동수;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0호
    • /
    • pp.851-859
    • /
    • 2005
  • 정규 상호 상관 (상관계수)은 입자영상유속계(PIV) 분석에서 형태 분석을 위한 가장 정확하고 적합한 척도이다. 그러나 상관계수는 주파수 영역에서 그에 상당하는 간단한 수식 표현이 없기 때문에, 빠르지만 부정확한 척도들이 종종 이용된다. 이러한 척도 중에서 선정된 세 가지 방법과 상관계수법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상관계수법을 제외한 나머지 척도들은 모두 종종 부정확한 결과를 도출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관계수법은 계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관계수법을 계산하는 빠르고 정확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상관계수의 분산을 계산하는 Fn 알고리듬과 분모를 계산하는 순차가감법을 결합한 것이다. 시험 결과 이 방법은 상관계수를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

한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 개선 (Revision of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in Korea)

  • 공동수;박영준;전용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1-269
    • /
    • 2018
  • In 1997, the environmental score (Q) corresponding the tolerance value of Korean benthic macroinvertebrate species and the related biotic score, the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ESB) were proposed; ESB was similar to Beck's biotic index or Chandler's biotic sc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ise the Q values of individual species and the assessment scheme of ESB based on the taxonomic performance and ecological information accumulated since then. The original ESB was renamed as TESB (total ESB), and AESB (average ESB) was newly proposed. AESB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TESB (for a given station) by the number of species present in the sample. In this study, TESB showed a positively skewed distribution, while AESB showed a negatively skewed distribu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ESB and the concentration of $BOD_5$ was a little stronger than that of the original ESB. TESB showed a very strong corre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r = 0.98) with Margalef's species richness, of which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than that of AESB (r = 0.85). AESB showed a strong correlation (r = -0.79) with the concentration of $BOD_5$, while TESB showed a weaker correlation (r = -0.67). Applying TESB and AESB together in an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 may be comprehensive because the physical and chemical states of the environment can be evaluated together. AESB is less dependent on the sample size, while TESB tends to increase as the sample size increases. In th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 using TESB,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methods on monitoring.

ESTIMAT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N A BIVARIATE NORMAL DISTRIBUTION USING MOVING EXTREME RANKED SET SAMPLING WITH A CONCOMITANT VARIABLE

  • AL-SALEH MOHAMMAD FRAIWAN;AL-ANANBEH AHMAD MOHAMMAD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4권2호
    • /
    • pp.125-140
    • /
    • 2005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estimation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bivariate normal distribution, based on a sample obtained using a modification of the moving extreme ranked set sampling technique (MERSS) that was introduced by Al-Saleh and Al-Hadhrami (2003a). The modification involves using a concomitant random variable. Nonparametric-type methods as well as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re considered under different settings. The obtained estimators are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at are obtained based simple random sampling (SRS). It appears that the suggested estimators are more effic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