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NaCl)

검색결과 1,024건 처리시간 0.034초

발효오이의 산패예견표의 개발 (Development of Preservation Prediction Chart for Long Term Storage of Fermented Cucumber)

  • 김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16-1621
    • /
    • 2007
  • 발효된 오이의 산패는 원하지 않는 미생물의 2차적 생장에 의한 결과이며 장기보관을 원하는 발효오이 식품은 일반적으로 고농도의 염을 사용한다. 염의 농도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산패를 방지할 수 있는 pH의 범위를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합의 pH와 NaCl 농도를 갖는 발효오이즙(FCS) 배양액에 3가지 종류의 산패액을 각각 접종하여 발효오이의 산패여부를 조사하였다. pH3에서는 NaCl의 첨가가 없더라도 산패는 일어나지 않는데 비하여 pH 5.0에서는 4%의 NaCl에서도 모두 산패가 진행되었다. pH 3.5, pH 4, pH 4.5 에서는 0%와 2% NaCl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발효오이의 산패를 예견할 수 있는 조견표를 작성하였다. 조견표의 사용은 발효오이의 장기보관을 위한 적절한 산도와 염의 농도의 선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저식염 속성 정어리 발효 액화물 가공에 관한 연구(III) - 마쇄육의 발효 액화에 미치는 가수.가온 전처리 및 식염첨가 방법의 영향 -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Rapid- and Low Salt-Fermented Liquefaction of Sardine (Sardinops melanoslicta)(III) -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 on Water Adding, Heating, and NaCl Added to the Fermented Liquefaction of Chopped Whole Sardine -)

  • 박춘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5-100
    • /
    • 2000
  • This study was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of rapid- and low salt-fermented liquefaction of sardine (Sardinops melanoslicta).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such as water adding, heating, and intermittent NaCl adding on fermented liquefaction of chopped whole sardine were investigated. The divisions of the experimental samples by pretreatment methods were as follows; Sample A (water adding and heating): chopped whole sardine adding 20% water and then adding 3 and 5% NaCl consecutively at the intervals of 3 and 6 hrs during heating for 9 hrs at $50^{\circ}C$ and then fermented at $33^{\circ}C$ for 90 days. Sample B (preheating): chopped whole sardine with 8% NaCl and heating at $50^{\circ}C$ for 9 hrs and then fermented at $33^{\circ}C$ for 90 days. Sample C (control): neither pretreatment methods of water adding nor preheating on chopped whole sardine with 13% NaCl and then fermented at $33^{\circ}C$ for 90 days. Comparison of the appropriate fermentation period, yield of hydrolysate, chemical composition of fermented liquefied products were carried out. The highest content of amino nitrogen appeared at 60 days in the sample A, 75 days in the sample B, and 90 days in the sample C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appropriate fermentation period of the sample A was shorten 15 days than the sample B and 30 days than the sample C in the processing of sardine. The product A was lower NaCl (8.5%) and lower histamine content (25mg/100g) than the sample B and C. Possibly, three kinds of pretreatment methods such as water adding, heating, and intermittent NaCl adding, might be recommend as the processing of rapid- and low salt-fermented liquefaction product of chopped whole sardine.

  • PDF

염농도에 따른 보리 유묘의 생리반응 (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Seedlings to Salt Stress)

  • 이석영;김충수;조진웅;강윤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65-671
    • /
    • 1996
  • NaCl이 함유된 배지에서 보리가 자랄 경우 문제가 되는 생리적 현상들 - 광합성 능력, 엽록소 함량. 식물체의 체액 유출량, 유출액 중 단백질 함량 등 - 및 이들의 변화양상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포유출액의 전기전도도나 Na함량은 수경액의 NaCl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세포액 유출양상으로 볼 때 NaCl에 의한 해는 건조나 동결에 의한 해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 유출되는 속도가 완만하였다. 2. 엽록소 함량, 광합성 능력은 수경액의 NaCl농도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 받지 않았으나 배지의 NaCl 농도가 높을 경우 근활력은 무처리구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다 3. 아미노산 함량은 염해에 의해 증가, 감소, 변화가 없는 군 등 3군으로 나눌 수 있었으나 잎과 뿌리의 변화양상은 일치하지 않았다. 4. 식물체의 건물중 K, Na, 당함량은 NaCl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는 당이, NaCl의 농도가 100mM인 경우 Na이 가장 높았다. 5. 배지의 NaCl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잎에서는 Na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뿌리에서는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K의 경우 배지의 Na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지상부 K함량 감소는 약 63%이었던데 비해 뿌리에서는 92%였으며 Na과 K을 합한 양은 수경액의 NaCl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잎에서는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뿌리에서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 PDF

Atriplex gmelini(가는갯능쟁이)의 내염성과 항산화 효소 반응 (The Responses of Antioxidative Enzymes and Salt Tolerance of Atriplex gmelini)

  • 배정진;윤호성;추연식;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5호
    • /
    • pp.273-280
    • /
    • 2003
  • 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Atriplex gmelini(가는갯능쟁이)의 염 내성이 항산화 효소의 활성증가에 의한 것인가를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농도의 염 처리에 의한 광계 Ⅱ 양자효율 및 항산화 효소의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A. gmelini는 100 mM NaCl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지상부 건물함량(대조구의 116%) 및 최적의 생장을 보였으며, 300 mM NaCl처리에 의해서도 체내 수분함량과 건물량의 감소를 보이지 않아 염에 대한 높은 내성을 보였다. 단기간(2, 4일)의 염 처리시 외부 염 농도 구배에 따른 Fv/Fm값(양자효율)의 증가, Fo/Fm값(스트레스지표)의 감소 및 SOD, APX, GR과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 증가를 나타내어 광화학적 스트레스 혹은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손상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400 mM NaCl을 처리한 식물의 경우, 비록 대조구(0 mM NaCl)에 비해 높은 항산화 효소 활성값(SOD 171%, APX 114%, GR 134%)을 보였지만 생장감소(잎, 줄기 각각 30%, 16%) 및 고농도 염에 의한 활성의 감소양상을 나타내었다. 흥미롭게도, H₂O₂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또 다른 효소인 CAT의 활성이 염에 의한 빠른 감소(200, 300, 400 mM NaCl 처리구의 경우 각각 대조구의 38%, 22%, 15%)를 보여, A. gmelini는 염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 제거와 염분 내성에 ascorbate-glutathione cycle의 APX, GR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염 처리 6일 후, Fv/Fm값의 감소, Fo/Fm값의 증가 및 항산화 효소의 활성감소를 보여 광화학적 저해 및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손상을 나타내었다. A. gmelini는 단기간의 염 처리(염 처리 2, 4일)시, 염에 의해 유도된 ROS증가에 대해 항산화 시스템의 활성 강화를 통해 균형을 이루지만, 6일 이상의 지속적인 염에 의해서는 항산화 효소의 활성감소와 광화학적 손상으로 인한 ROS증가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MgCl2-CaCl2-NaCl 혼합용융염에서 Mg2+ 이온의 전기화학적 거동 (Electrochemical Behavior of Mg2+ Ions in MgCl2-CaCl2-NaCl Molten Salt)

  • 류효열;정상문;김정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939-9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MgCl_2-CaCl_2$-NaCl 혼합용융염에서 $Mg^{2+}$ 이온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평가하였다. $MgCl_2-CaCl_2$-NaCl 용융염에서 순환전압전류법 측정을 통해 $Mg^{2+}$이온의 환원전위를 측정하였고, $MgCl_2$의 농도 변화 및 용융염의 온도변화에 따른 환원전위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각 660, 680, 700, 720 및 $740^{\circ}C$의 온도에서 $Mg^{2+}$ 이온의 확산계수를 계산한 결과 $8.79{\times}10^{-6}$, $9.56{\times}10^{-6}$, $1.17{\times}10^{-5}$, $1.4{\times}10^{-5}$$1.77{\times}10^{-5}\;cm^2\;s^{-1}$로 측정되었다. 또한 Arrhenius 식을 통해 $Mg^{2+}$ 이온의 확산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70.28\;kJ\;mol^{-1}$로 계산되었다.

Agar 배지를 이용한 건조 및 염 처리에 대한 벼 식물체의 근계 변화 (Changes of Root System in Rice (Oryza sativa L.) Plant Under Salt- and Drought- Stressed Agar Medium Conditions.)

  • 강동진;석정용일;김길웅;이인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6-399
    • /
    • 2004
  • 본 실험은 고체배지를 이용한 새로운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건조 및 염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체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뿌리신장률, 근단구조, 물질생산 등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PEG 및 NaCl 처리조건에서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벼 식물체의 뿌리신장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PEC 및 NaCl 처리에 따른 벼 식물체의 뿌리는 methyl-lignin 축적에 의한 리그닌화가 진행되었으며, 수분결핍을 극복하려는 기작으로 표피세포를 변형시킨 근모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또한 PEG 및 NaCl 처리에 의한 벼 식물체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 생산량의 현저한 감소는 지상부보다 지하부에서 뚜렷하였으며, 그 결과 PEG 및 NaCl 처 처리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TR율의 증가를 보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건조 및 염 처리를 한 고체배지를 이용함으로써 벼의 경우 스트레스 처리 전 약 2주간 유묘를 생육시키는 양액재배에 비해 발아기의 각종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체 반응의 관찰과 내성 특성 검정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몇가지 사료작물(飼料作物)의 내염성에(耐鹽性)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Salt Tolerance of the Several Forage Crops)

  • 김충수;김량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183-189
    • /
    • 1984
  • 본(本) 실험(實驗)은 몇가지 사료작물종자(飼料作物種子)의 내염발아성(耐鹽發芽性)과 아울러 발아한계염분농도(發芽限界鹽分濃度) 및 내염성(耐鹽性) 사료작물(飼料作物)을 탐색(探索)코져 수행(수行)되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發芽率)은 염농도(鹽濃度) 0.4% 까지는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약간(若干)의 감소(減少)를 보였으나 0.8%에서는 급격(急激)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2.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는 염분농도(鹽分濃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완만(緩晩)한 증가(增加)를 나타냈다. 3. 유묘장(幼苗長) 및 근장(根長)은 0.4% 염농도하(鹽濃度下)에서는 대비구(對比區)에 비해 약간(若干) 감소(減少)되었으나 0.8%에서는 급격(急激)한 감소(減少)를 보였고 1.2%에서는 발아후(發芽後) 곧 생육(生育)이 정지(停止)되었다. 4. 식물체내(植物體內)의 NaCl함량(含量)은 내염성(耐鹽性)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나타냈던 바 염분농도(鹽分濃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식물체내(植物體內) NaCl함량(含量)도 높아졌으나 그 정도(程度)는 작물(作物)에 따라 달랐다. 5. 사료작물(飼料作物)의 발아한계염농도(發芽限界鹽濃度)는 0.4% 내지 0.8% 범권(範圈)이었으며 내염발아성(耐鹽發芽性)이 가장 강(强)한 작물(作物)은 perennial ryegrass였고 tall fescue, creeping red fescue, orchardgrass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 PDF

Continuous ion-exchange membrane electrodialysis of mother liquid discharged from a salt-manufacturing plant and transport of Cl- ions and SO42- ions

  • Tanaka, Yoshinobu;Uchino, Hazime;Murakami, Masayoshi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3권1호
    • /
    • pp.63-76
    • /
    • 2012
  • Mother liquid discharged from a salt-manufacturing plant was electrodialyzed at 25 and $40^{\circ}C$ in a continuous process integrated with $SO_4{^{2-}}$ ion low-permeable anion-exchange membranes to remove $Na_2SO_4$ and recover NaCl in the mother liquid. Performance of electrodialysis was evaluated by measuring ion concentration in a concentrated solution, permselectivity coefficient of $SO_4{^{2-}}$ ions against $Cl^-$ ions, current efficiency, cell voltage, energy consumption to obtain one ton of NaCl and membrane pair characteristics. The permselectivity coefficient of $SO_4{^{2-}}$ ions against $Cl^-$ ions was low enough particularly at $40^{\circ}C$ and $SO_4{^{2-}}$ transport across anion-exchange membranes was prevented successfully. Applying the overall mass transport equation, $Cl^-$ ion and $SO_4{^{2-}}$ ion transport across anion-exchange membranes is evaluated. $SO_4{^{2-}}$ ion transport number is decreased due to the decrease of electro-migration of $SO_4{^{2-}}$ ions across the anion-exchange membranes. $SO_4{^{2-}}$ ion concentration in desalting cells becomes higher than that in concentration cells and $SO_4{^{2-}}$ ion diffusion is accelerated across the anion-exchange membranes from desalting cells toward concentrating cells.

벼의 salt stress에 의해 유도된 산화 stress에 대한 ascorbate peroxidase 반응 (Responses of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Ascorbate Peroxidase Induced by Salt Stress in Rice (Oryza sativa L.))

  • 구정숙;임경남;전현식;이진범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173-1180
    • /
    • 2010
  • Salt stress가 벼 잎 내 광합성 효율과 ascorbate peroxidase (APX)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염 농도가 증가(NaCl, 100-300 mM) 할수록 Fv/Fm 값이 감소한 반면, $H_2O_2$ 양과 APX 활성은 증가하였다. APX isoforms 중 APX 1 (stromal)은 300 mM NaCl 처리 시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반면, chilling이나 drought 처리 시에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gel 상에서의 서로 다른 APX isoforms의 활성이 유전자 발현에서도 확인이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수행하였다. 구획별 APX isoforms의 RT-PCR 수행 결과, cytosolic/thylakoid bound APX 발현양은 증가한 반면, stromal APX 발현은 매우 감소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salt에 의해 구획별로 APX 활성이 영향을 받음을 나타낸다.

Extrinsic Role of Gibberellin Mitigating Salinity Effect in Different Rice Genotypes

  • Muhammad Farooq;Eun-Gyeong Kim;Yoon-Hee Jang;Kyung-Min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4-284
    • /
    • 2022
  • The overall effects of gibberellic acid (GA3) with NaCl on different rice genotypes are inadequately understood. The present study determines the effect of different GA3 concentrations on the morphophysiological, molecular and biochemical effects of 120 mM NaCl salt stress in rice seedlings. Salt stress reduced germination percentages and seedling growth and decreased bioactive GA content. It also downregulated the relative expression of a-amylase-related genes - OsAmy1A, OsAmy1C, and OsAmy3C in the salt-sensitive IR28 cultivar. Salt stress differentially regulated the expression of GA biosynthetic genes. Salt stress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in all rice genotypes tested, except in IR28. GA3 (50 and 100 µM) mitigates the effect of salt stress, rescuing seed germination and growth attributes. GA3 significantly increased bioactive GA content in Nagdong and pokkali (50 µM) and Cheongcheong and IR28 (100 µM) cultivars. The a-amylase genes were also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GA3. Similarly, GA3 upregulated OsGA2oxl and OsGA2ox9 expression in the Cheongcheong and salt-sensitive IR28 cultivar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salt stress inactivates bioactive GA - inhibiting germination and seedlings growth - and decreases bioactive GA content and GSH activity in IR28 and Pokkali cultivars. Further, GA3 significantly reversed the effects of 120 mM NaCl salt stress in different rice genotypes. The current study also suggests if we know the coastal area water NaCl concentration we can apply the exogenous GA3 accordingly. Thus, we would be able to grow rice cultivars near the coastal area and reduce the rice damage by salin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