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monella Enteritidis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42초

Salmonella Enteritidis가 접종된 비세척 계란의 품질 유지를 위한 적절 유통온도 (Appropriate Distribution Temperature for the Quality of Unwashed Eggs Inoculated with Salmonella Enteritidis onto Shells)

  • 안지훈;이희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32-337
    • /
    • 2023
  • 본 연구는 계란의 품질 유지를 위한 온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고 실제 유통 환경에서 난각에 Salmonella Enteritidis가 오염된 비세척란의 적절한 온도 관리 방법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Salmonella Enteritidis가 접종된 비세척란은 총 7일간 25℃ 항온보관 및 5가지의 다른 온도변화조건에서 보관하였다. 온도변화조건은 계란을 초기 25℃에서 보관 중 온도를 10℃ 또는 35℃로 변화하였다. 보관 중 기실의 높이, 중량감소율, 비중 및 농후난백 비율을 1일 간격으로 평가하였다. 기실의 높이, 중량감소율, 비중은 25℃ 보관 3일 및 4일차에 10℃로 온도를 낮추었을 때 초기값이 유의적으로 보존되었다. 농후난백 비율은 초기 값과 비교하였을 때 보관 조건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25℃ 보관 3일 및 4일차에 10℃로 낮추는 것이 실제 유통 시 비세척란의 안전관리에 적합함을 시사하였다.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를 이용한 계란에서의 Salmonella enteritidis 오염 연구 (Studies on Salmonella enteritidis Contamination in Chicken Egg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 장금일;박종현;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71-777
    • /
    • 1999
  • CSLM 기술을 이용하여 Salmonella enteritidis에 의한 계란 오염 과정을 관찰하여 난막의 3중막 구조, cuticle 층 그리고 5가지 필름 피복의 침투 방어효과를 조사하였다. 난막을 구성하는 fiber의 지름은 각각 outer membrane $1.5{\sim}7.2\;{\mu}m$, inner membrane $0.8{\sim}2.0\;{\mu}m$이었고, limiting membrane을 구성하는 입자의 지름은 $0.1{\sim}1.4\;{\mu}m$이었으며, 두께는 각각 평균 10.0, 3.5, $3.6\;{\mu}m$이었다. 난각과 접해 있는 outer membrane은 다음 층인 inner membrane과 부분적으로 중첩되어있고, limiting membrane의 입자들은 매우 밀집되어 inner membrane과 중첩된 상태로 존재하였다. Cuticle층은 전체 계란 표면적 중 $40{\sim}80%$ 를 덮고 있었으며, 두께는 평균 $6.0\;{\mu}m$이었고 피복 필름들의 평균 두께는 자각 mineral oil $5.0\;{\mu}m$, dextrin $3.6\;{\mu}m$, gelatin $3.9\;{\mu}m$, starch $2.5\;{\mu}m$, chitosan $2.2\;{\mu}m$이었다. 필름 피복에 의한 Salmonella enteritidis 생육 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 chitosan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trisodium phosphate (TSP), cetylpyridinium chloride (CPC) 처리, 5종의 필름 피복 처리와 무처리한 계란표면에 Salmonella enteritidis를 접종한 후 내부 전이 과정을 CSLM을 이용하여 다색영상화(multi-color imaging)와 시간당 투과 균수에 대한 plate count로 비교한 결과, 난각이나 3중막 구조의 난막보다는 cuticle 층이 Salmonella균의 오염을 차단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itosan 피복이 cuticle 층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피복 필름중에서 chitosan이 최외부 방어막인 cuticle층이 결손된 난각 부위를 피복하는데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irst Report on Isolation of Salmonella Enteritidis from Eggs at Grocery Stores in Korea

  • Kim, Young Jo;Song, Bo Ra;Lim, Jong Su;Heo, Eun Jeong;Park, Hyun Jung;Wee, Sung Hwan;Oh, Soon Min;Moon, Jin S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9-243
    • /
    • 2013
  • Salmonella Enteritidis is responsible for causing foodborne diseases upon consumption of egg products. While cases of S. Enteritidis isolation from eggs have been reported in other countries, no such cases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in Korea. In this study, we report the first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 Enteritidis from domestically distributed eggs in Korea. Eggs were collected from eight countrywide grocery stores during different seasons between 2011 and 2012. Egg contents and washing solution of egg shells were incubated in buffered peptone water, and the enriched broth was further enriched in tetrathionate broth and Rappaport-Vassiliadis. The secondary enriched broth was streaked on xylose lysine desoxycholate agar. The suspected colonies were confirmed to S. Enteritidis by a biochemical test, serotyping, and PCR test. Genetic relatedness among the isolates was analyzed using Diversilab Salmonella kit. Three strains of S. Enteritidis were isolated from egg contents and egg shells collected from grocery stores of the Eumseong-city in the fall of 2011. All three stains showed resistance to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nalidixic acid, and ampicillin by the disk diffusion method. In addition, the isolates showed more than 99% DNA homology, indicating that they were presumably identical strains. Therefore, there is a requirement to monitor and control against S. Enteritidis from eggs in Korea.

식중독환자에서 분리한 Salmonella Enteritidis 다제내성 플라스미드의 내성유전자 집락의 구조해석 (Organiza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 Cluster of Multi-Drug Plasmid in Clinically Isolated Salmonella Enteritidis Strain)

  • 정서연;손창규;곽경탁;김병천;박완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9-305
    • /
    • 2002
  • 2001년 경북지역의 설사환자로부터 분리된, Salmonella Enteritidis SY9 균주로부터 ampicillin, chloramphenicol, sulfonamide, streptomycin, tetracycline에 내성을 가지는 40 kb plasmid를 분리하였다. pCAST2 라고 명명한 이 다제내성 plasmid로부터 sulfonamide, streptomycin, tetracycline 내성유전자를 가지는 약 7 kb의 Sacl 단편을 클로닝 하였다. 이 7 kb 단편 염기서열의 내성유전자의 구조는 sulII-strA-strB-tetR-tetA의 집락으로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 배열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성유전자 집락을 검출할수 있는 primer를 제작하여 PCR 분석을 통해서 이들 구조를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PCR 분석을 통한 구조 비교로, 이 집락이 2002년 8월에 경북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Salmonella 균주에서도 발견됨을 확인하였다.

Establishment of a live vaccine strain against fowl typhoid and paratyphoid

  • Cho, Sun-Hee;Ahn, Young-Jin;Kim, Tae-Eun;Kim, Sun-Joong;Huh, Won;Moon, Young-Sik;Lee, Byung-Hyung;Kim, Jae-Hong;Kwon, Hyuk Joo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41-246
    • /
    • 2015
  • To develop a live vaccine strain against fowl typhoid and paratyphoid caused by Salmonella serovar Gallinarum biovar Gallinarum (Salmonella Gallinarum) and Salmonella serovar Enteritidis (Salmonella Enteritidis), respectively, several nalidixic acid resistant mutants were selected from lipopolysaccharide (LPS) rough strains of Salmonella Gallinarum that escaped from fatal infection of a LPS-binding lytic bacteriophage. A non-virulent and immunogenic vaccine strain of Salmonella Gallinarum, SR2-N6, was established through in vivo pathogenicity and protection efficacy tests. SR2-N6 was highly protective against Salmonella Gallinarum and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fer than Salmonella Gallinarum vaccine strain SG 9R in the condition of protein-energy malnutrition. Thus, SR2-N6 may be a safe and efficacious vaccine strain to prevent both fowl typhoid and paratyphoid.

Salmonella enteritidis의 편모항원에 대한 난황항체의 ,생산 x Production of Egg Yolk Antibodies against Flagella Antigen of Salmonella enteritidis

  • 김정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61-167
    • /
    • 1998
  • 가금 및 가축의 살모넬라중을 일으키는 에서 편모항원을 순수분리하고 이를 면역원으로 산란계에 면역하여 난황 중에 형성된 항체와 혈청간에 면역 반응을 조사하고 생산된 에 대한 특이난황 항체의 특이성 검사와 항체회수율 검사를 실시한 결과S. enteritidis는 다음과 같다. 1. S. enteritidis에서 순수 분리한 flagella protein 의 분자량은 54.6 kDa으로 나타났다. 2. 산란계의 혈청중 항체가 형성은 면역 후 2주경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6주경에 최고의 항체가 수준에 도달하였다. 반면에 난황중 항체가는 면역 후 4주경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6주경에 혈청항체가 수준과 동일하게 도달되며, 10주 이후에는 혈청항체가 수준보다 높게 형성되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3. S. enteritidis의 flagella protein을 면역원으로 산란계에 면역하여 생산된 난황항체는 주로 S. enteritidis 균주에서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며 E. coli (Kl2:K99, K88+, 987P) 균체에서는 반응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한개의 난으로부터 분리한 IgY의 함량은 106 mg이었으며 회수율은 88.3%였다.

  • PDF

Genotypic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Enteritidis Isolated from Food-Poisoning Cases and Chickens by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 Suh Dong Kyun;Song Jae Cha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3
    • /
    • 2005
  • A total of 22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Enteritidis (S. Enteritidis) isolates from human and chicken sources were analyzed by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using XbaI restriction enzyme to assess the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strains from different sources. PFGE permitted the resolution of XbaI restriction fragments of the 22 S. Enteritidis into 6 distinct PFGE types (PFT), designated PFT1 to PFT6, and 2 subtypes within PFT2, and allowed to detect between 9 and 10 bands with fragments sizes in the range of $25\~635\;kb$. Four of twelve isolates from human showed an identical PFGE patterns with 2 isolates from chickens. Also, another one isolate from human showed an identical PFGE patterns with other 5 isolates from chickens. Only one isolate from chicken, however, showed a different pattern compared to other PF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poradic human food-poisoning cases infections caused by S. Enteritidis in this study were due to the consumption of contaminated chicken meats and that a clonally highly similar strains exist and spread between human and chicken sources.

  • PDF

Lactobacillus spp의 Salmonella enteritidis KU 101에 대한 보호 효과와 L. casei YIT 9018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염기배열 특성 (Protective Activities of Lactobacillus casei YIT 9018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KU101 and Characteristics of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Sequence)

  • 배진성;윤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473-482
    • /
    • 2003
  • Lactobacillus spp. 급여에 의하여 Salmonella enteritidis 감염에 의한 치사율의 저하 성향, 시험관내 억제활성, 장액 내의 총 IgA 농도변화와 Lactobacillus casei.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의 sequence를 측정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actobacillus spp. 5균주는 시험관내 Salmo- nella enteritidis 억제활성 측정 결과 모든 시험균주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억제활성의 차이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으며, 억제활성의 차이는 L. helveticus CU 631 > L. rhamnosus GG ATCC 53103 > L. johnsonii C-4 > L. acidophilus ATCC 4356 > L. casei YIT 9018 인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spp. 급여에 의하여 Salmonella enteritidis challenge에 의한 치사율 저하효과는 Lb. helveticus CU 631은 대조구의 생존률 62%에 대하여 100%로서 가장 높은 치사율 저하효과를 나타내었고, L casei YIT 9018, L johnsonii C-4의 생존률이 70%와 50%를 나타내었다. Lactobacillus spp.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의 sequence를 측정하고 gene bank에 등록된 균주의 sequence와 비교한 결과 homology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2021년 경남지역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Enteritidis 원인 식중독의 분자역학적 특성 분석 (Molecular Epidemiological Analysis of Food Poisoning Caused by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Enteritidis in Gyeongnam Province of Korea)

  • 장혜정;하연경;유선녕;김소영;엄지연;하강자;김동섭;이상률;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6-63
    • /
    • 2023
  • 2021년 국내에서 가장 많은 수의 식중독 환자가 Salmonella로 인해 발생하였고, 전 세계적으로도 꾸준한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9월 중 경상남도에서 발생한 2건의 Salmonella 원인의 식중독에 대한 사례 보고 및 분리된 Salmonella 균주의 분자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학교 급식 사례는 동일 섭취원 588명 중 29명(4.9%)이 설사 및 복통 증상을 보였고 36명(환자 29, 조리 종사자 7)에 대한 검사 결과, Salmonella Enteritidis가 환자 17명(47.2%)에서 검출되어 주원인으로 판단되었다. 식품 및 환경 검체 35건에서는 S. Enteritidis가 검출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회사 내 발생 사례는 동일 섭취원 2,900명 중 87명 (3.0%)이 설사, 복통, 발열 증상을 보여 50명(환자 40, 조리 종사자 10)을 검사를 했고, 그 결과 환자 28명 (56.0%)에서 S. Enteritidis가 검출되었다. 그중 4명은 Vibrio cholerae (NAG)와 S. Enteritidis가 중복 검출되었고 1명은 V. cholerae (NAG)만 검출되었다. 이는 S. Enteritidis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주원인으로는 S. Enteritidis로 판단되었다. 식품 및 환경 검체 125건 중 보존식에서는 S. Enteritidis가 불검출이었으나, 회사에서 단체로 배달 주문하여 섭취한 토스트에서 S. Enteritidis가 검출되었다. PFGE 유전학적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환자와 식품에서 분리된 S. Enteritidis 균주가 동일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앞서 발생한 경남지역 학교 사례와 타 지역 사례의 환자 분리 균주와도 동일한 유형으로 확인되어 문제성이 더욱 제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S. Enteritidis 원인 식중독의 분자역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역학적 관리 및 식중독 예방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Protection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Gallinarum, and Salmonella Enteritidis Infection in Layer Chickens Conferred by a Live Attenuated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 Lee, John Hwa
    • IMMUNE NETWORK
    • /
    • 제15권1호
    • /
    • pp.27-36
    • /
    • 2015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on conferred by a live attenuated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ST) strain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Gallinarum (SG), and Salmonella Enteritidis (SE) infection in layer chickens. Birds were orally primed with the attenuated ST strain at 7 days of age and then boosted at 4 weeks post prime immunization (PPI). Sequential monitoring of plasma IgG and mucosal secretory IgA (sIgA) levels revealed that inoculation with ST induced a significant antibody response to antigens against ST, SE, and SG. Moreover, significant lymphoproliferative responses to the 3 Salmonella serovars were observed in the immunized group. We also investigated protection against virulent ST, SE, and SG strain challenge. Upon virulent SG challenge, the immuniz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mortality compared to the non-immunized group. The reduced persistence of the virulent ST and SE challenge strains in the liver, spleen, and cecal tissues of the immunized group suggests that immunization with the attenuated ST strain may not only protect against ST infection but can also confer cross protection against SE and SG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