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nity distribution

검색결과 535건 처리시간 0.032초

2008년도 아산만 해수 중 유기인계 농약 분포 (Organophosphorous Pesticide Distribution in Seawater from Asan Bay, Korea in 2008)

  • 최진영;양동범;이성규;방재현;홍기훈;신경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03-212
    • /
    • 2010
  • Distribution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OPs) was studied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08 in the seawater of Asan Bay, Korea. Among the 29 types of OPs det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IBP(S-benzyl O,O-diisopropyl phosphorothioate), ranging from <1 ng/l to 377 ng/l, was the most abundant. Other commonly observed OPs concentrations in the study area included diazinon (Diethyl 2-isopropyl-4-methyl-6-pyrimidinyl phosphorothionate; <1~307 ng/l), azinphos ethyl (3,4-Dihydro-4-oxo-3-benzotriazinylmethyl O,O-diethyl phosphorodithioate; <1~1997 ng/l), malathion (1,2-Di(ethoxycarbonyl)ethyl O,Odimethyl phosphordithioates; <1~3013 ng/l), demeton-O (Diethyl 2-(ethylthio)ethyl phosphorothionate; <1~2403 ng/l), and DDVP (2,2-dichlorovinyl dimethyl phosphate; <1~283 ng/l). Seasonal distribution of OPs in seawater is dependent on the OP application period. In August, OPs concentrations were gener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salinity of seawater, implying progressive dilution of pesticides in the estuarine system. OPs were deposited into Asan Bay from Asan and Sabkyo Lakes as well as surrounding tributaries. Ten OPs, including diazinon, were detected in the suspended particles of Asan Bay.

C. polykrikoides 적조의 시공간분포와 중규모 해양환경 변동간의 관계성 (Relationships betwee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and Meso-scale Variation of Oceanographic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Waters)

  • 서영상;장이현;김학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9-150
    • /
    • 2003
  • 한국 연근해역의 중규모 해양 환경변동이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시공간 분포 변동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하계 한국 연안역에서 적조가 최초로 발생한 전남 고흥 나로도 연안의 해양환경 상태는 최근 7년(1995~2001) 동안 열염전선대에 위치하였다. 대규모 적조발생은 7년 동안 매 홀수해(1995, 1997, 1999, 2001)에 나타났는데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표면 수온 및 염분의 큰 변동 또한 격년 주기로 나타났다. 저온 고염(홀수해), 고온 저염(짝수해)의 중규모적 해황 변동에 따라 적조의 공간분포 규모가 크게 변동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동해연안으로 유입 확산되는 C. polykrikoides 적조의 분포와 이동상황은 동해남부 연안에서 발생하는 냉수대의 시공간 변동 규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 PDF

섬진강 하구역 잘피(Z. marina)서식지의 해양환경 특성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eagrass Habitat in Seomjin River Estuary)

  • 지형석;서희정;김명원;이문옥;김종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6-244
    • /
    • 2014
  • This study considered a seagrass habitat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 marine environment of seagrass locate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rough an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the water depth, field observation, and three-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using an EFDC model. The seagrass habitat was usually distributed at D.L(-) 0.5~0.0 m, and was hardly seen in the intertidal zone higher than that range. The distribution of the water temperature was within the range of $7.0{\sim}23.2^{\circ}C$, and the seagrass was demonstrated to have a strong tolerance to changes in the water temperature. In addition, the salinity distribution was found to be 27.2~31.0 psu, with suspended solids of 32.1 mg/L, which were higher tha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Huh et al., 1998), implying that there may be a reduction in the amount of deposits caused by the suspended solids. As for the sedimentary facies, they were comprised of 62.7% sand, 19.1% silt, and 18.2% clay, indicating that the arenaceous was superior and the sedimentary facies were similar to that of Dadae Bay. According to a numerical experiment, the maximum tidal current was 75 cm/s, while the tidal residual current was 10 cm/s, confirming that it sufficiently adapted to strong tidal currents. The erosion and deposition are predicted to be less than 1.0 cm/year. Thus, it is judged that the resuspension of sediments due to tidal currents and the changes in sedimentary facies are insignificant.

동경만의 생태계모델 결과와 위성자료의 비교연구 (Comparison Study between Results of Ecosystem Model and Satellite Data in the Tokyo Bay)

  • 이성애;스키모리 야스히로;김영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0-27
    • /
    • 2004
  • 일본 동경만의 흐름양상과 생물플럭스의 분포특성을 역학-생태계모델을 통해 구현하고, 위성자료에서 얻어진 영상과 비교 분석하였다. 모델의 초기치와 경계치는 2001년 3월의 관측값들을 이용하였다. 운용된 모델 결과에서 얻어진 동경만의 흐름양상과 염분분포 등은 선행연구들과 대체로 일치하며 모델의 재현성을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었다. NOAA/AVHRR에서 추정된 SST는 모델결과에 비해 전체적인 분포양상은 아주 유사하였으나, 만입구에서 $2.5^{\circ}C$정도, 내만에서 $0.5^{\circ}C$ 정도 높게 추정되었다. 위성에서 얻어진 클로로필-a 분포는 모델결과의 식물플랑크톤분포와 그 양상이 비슷하나, 농도는 상당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불일치에 관해서는 앞으로도 계속적인 연구가 수행될 예정이다.

  • PDF

기수역 인공하천에서 시공간적 수질분포 특성 연구 (A study on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Artificial Rivers of the Brackish Water Zone)

  • 김윤정;최옥연;한인섭
    • 한국수처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9-9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aserch is to analyze the chara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space through the operation of ARA River in Artificial Rivers of the Brackish Water Zone. The spatial distribution measured water temperature and salt levels for the surface, middle and deep layers by dividing the four areas of Incheon, Sicheon, Gyeyang and Gimpo. Water temperature did not vary much by water depth and branch, and its purpose is to maintain stable water environmen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operation. To examin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Arachon, we measured DO on the Incheon branch, Sicheon, Gyeyang and Gimpo branch twice a month, and on the surface, the temperature level, The water temperature did not vary much by depth and location, and the water temperature in January and March tended to rise from Incheon to Gimpo, with the average difference of 1.1 degrees during the same period. The salinity difference between Incheon and Gimpo sites was 3.3 psu deep and 5.4 psu deep. In particular, floodgates from July to September are found to be less than 10psu overall, which is considered to be a gas due to the effects of floods and the inflow of Gulpo Stream. D.O. is located in some areas due to summer rains. The hypoxic layer has been identified.Analysis of seasonal data shows that water temperature and DO are strongly correlated in autumn. It was found that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t levels in the fall showed a weak correlation.

Ecophysiology of the kleptoplastidic dinoflagellate Shimiella gracilenta: I. spatiotemporal distribution in Korean coastal waters and growth and ingestion rates

  • Ok, Jin Hee;Jeong, Hae Jin;Kang, Hee Chang;Park, Sang Ah;Eom, Se Hee;You, Ji Hyun;Lee, Sung Yeon
    • ALGAE
    • /
    • 제36권4호
    • /
    • pp.263-283
    • /
    • 2021
  • To explore the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leptoplastidic dinoflagellate Shimiella gracilenta, we determined its spatiotemporal distribution in Korean coastal waters and growth and ingestion rates as a function of prey concentration. The abundance of S. gracilenta at 28 stations from 2015 to 2018 was measur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Cells of S. gracilenta were detected at least once at all the stations and in each season, when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1.7-26.4℃ and 9.9-35.6, respectively. Moreover, among the 28 potential prey species tested, S. gracilenta SGJH1904 fed on diverse prey taxa. However, the highest abundance of S. gracilenta was only 3 cells mL-1 during the study period. The threshold Teleaulax amphioxeia concentration for S. gracilenta growth was 5,618 cells mL-1,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e highest abundance of T. amphioxeia (667 cells mL-1). Thus, T. amphioxeia was not likely to support the growth of S. gracilenta in the field during the study period. However, the maximum specific growth and ingestion rates of S. gracilenta on T. amphioxeia, the optimal prey species, were 1.36 d-1 and 0.04 ng C predator-1 d-1, respectively. Thus, if the abundance of T. amphioxeia was much higher than 5,618 cells mL-1, the abundance of S. gracilenta could be much higher than the highest abundance observed in this study. Eurythermal and euryhaline characteristics of S. gracilenta and its ability to feed on diverse prey species and conduct kleptoplastidy are likely to be responsible for its commo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군산연안 다매체 환경에서 과불화화합물(PFASs)의 농도분포 및 수산물 섭취를 통한 인체위해도 평가 (Concentrations and Composition Profiles of Perfluoroalkyl Substances (PFASs) in Coastal Environments from Gunsan, Korea: Assessment of Exposure to PFASs through Seafood Consumption)

  • 이봉민;윤세라;최민규;이성규;이원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14-523
    • /
    • 2022
  • Concentrations of perfluoroalkyl substances (PFASs) were measured in seawater, sediment, and biota collected from Gunsan coast, Korea to investigate their occurrence, distribution, and risk of exposure to humans through seafood consumption. The total concentrations of PFASs in seawater, sediment, and biota ranged from 5.97 to 74.9 ng/L, 0.01 to 13.3 ng/g dry weight, and 0.02 to 5.73 ng/g wet weight, respectively. Predominant PFAS compounds differed across matrices, indicating that the distribution of PFASs in multiple environmental samples is governed by their carbon-chain length. The concentrations of PFASs in seawater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linity (P<0.01), suggesting terrestrial input (including land-used PFASs) as the major source of PFAS contamination in coastal environments. The estimated daily intakes (EDIs) of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 sulfonate (PFOS) through seafood consumption were 0.05 and 0.06 ng/kg body weight/day, respectively. The EDIs of PFOA and PFO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lower those the proposed by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d Canada guidelines, indicating limited health risk for Korean population from PFASs through consumption of seafood from Gunsan coastal environment.

섬진강 하구역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 분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in Seomjin River Estuary)

  • 강성효;이정호;박성완;신현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43-255
    • /
    • 2014
  • 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역에서 저서다모류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 및 환경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4월부터 2013년 2월까지 24개의 정점을 대상으로 소조시 만조 때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질환경요인으로 염도, 수온, 용존산소, pH 등을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지역은 세 해역으로 구분하였다. 각 정점별 환경 특성 차이에 따라 Saline Water Zone(SWZ), Brackish Water Zone(BWZ), Fresh Water Zone(FWZ)으로 정의하였다. SWZ은 대개 30 psu를 상회하였으며, BWZ에서는 염도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FWZ에서는 거의 0 psu를 보였다. SWZ에서는 수온의 계절 변동이 가장 적었으며, DO는 가장 낮은 값을, pH는 시공간적 변동이 거의 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반면 FWZ에서는 수온의 계절 변동이 심하였으며, DO는 가장 높은 값을, pH는 시공간적 변동이 가장 심하였다. 표층퇴적상은 SWZ에서는 니질(Mud)함량이 높았으며 BWZ에서는 사질(Sand)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FWZ에서는 사질(Sand)이나 자갈(Gravel)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유기물함량과 황화물량은 SWZ에서 높은 값을, Chl-a 량은 FWZ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조사해역은 염도가 낮으며 유기물 함량, 황화물량이 낮고 조립한 퇴적상을 보이는 Fresh Water Zone과 염도가 높으며, 유기물함량, 황화물량이 높고, 세립한 퇴적상을 보이는 Saline Water Zone으로 조사지역의 환경이 뚜렷이 대비됨을 보여주고 있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저서다모류의 출현종수와 서식밀도는 Salline Water Zone에서 가장 높았으며, Brackish Water Zone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였고, Fresh Water Zone에서 매우 낮았다. Brackish Water Zone의 경우 서식밀도의 계절 변동이 매우 심하였는데, 이는 Prionospio cirrifera의 극우점 출현에 의한 것이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저서다모류 중 매 계절 상위 5.0%의 점유율을 보이는 우점종은 총 6종이었다. 이 중 Lumbrineris longifolia, Prionoispio cirrifera, Tharyx sp.는 매 계절 주요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그 외에 Hediste sp., Praxillella affinis, Tylorrhynchus sp.가 조사 시기에 따라서 우점종으로 출현하기도 하였다. 우점 출현 다모류들은 특징적으로 분포하는 해역이 뚜렷이 구분되었다. Saline Water Zone의 대표적인 종은 Lumbrineris longifolia, Tharyx sp., Mediomastus sp.이었다. Saline Water Zone에서부터 Brackish Water Zone까지의 해역에 폭넓게 걸쳐 출현하는 종은 Prionospio cirrifera, Aricidea sp., Heteromastus filiformis이었다. 그리고 Brackish Water zone의 내륙쪽 정점 일부와 Fresh Water Zone에서는 특징적으로 Tylorrhynchus sp., Hediste sp.가 우점 출현하였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채집된 저서다모류의 출현종 조성과 정점간 유사도지수에 근거하여 집괴분석(Cluster Analysis) 및 비계량적 다차원척도법(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을 실시한 결과, 모든 계절에서 Saline Water Zone과 Fresh Water Zone에 위치하는 정점들은 각각 대표적인 하나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반면 Brackish Water Zone의 경우는 계절에 따라 수개의 정점군으로 세분되었다. 저서환경 요인과 저서다모류군집의 생태학적 요인들 간의 Pearson 상관관계분석과 주성분분석(PCA) 결과, 염도, 퇴적상, 유기물함량, DO 등이 저서다모류군집의 제반 생태학적 지수(출현종수, 서식밀도, 주요 종의 출현량, 생태지수)의 공간 분포를 결정짓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환경요인임이 확인되었다.

하계 동중국해에서의 용존 및 입자유기탄소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 김수강;최영찬;김진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4-131
    • /
    • 2008
  • 2003년 8월과 2004년 9월 제주도 남서부해역과 중국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실시된 본 연구는 용존무기영양염류와 용존 및 입자유기탄소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하계에 동중국해의 영양염의 분포 형태는 수괴 및 식물플랑크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하계에 동중국해내 수괴들은 중국의 연안해역을 제외하고 상하수직혼합이 잘 일어나지 않아 표층수에는 영양염의 유입이 감소하고, 저층수에는 표층에서 유입되는 유기물이 분해되어 영양염의 축적이 일어나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Chlorophyll a의 농도가 높은 해역에서 영양염의 농도가 낮은 값을 보였으며, Chlorophyll a의 농도가 감소하는 수심이하에서 영양염의 농도가 증가함을 보여 높은 생물활동에 의한 무기영양염류 등이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해역내 용존유기탄소의 분포는 염분이나 수온에 대해 다소 산만한 분포를 보여 수괴에 따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양자강 영향 정점에서 $100{\mu}M$이상의 높은 값을 보인 반면, 제주도 남서부 해역에서는 낮은 농도를 보였는데, 이것은 양자강 유출수가 동중국해 용존유기탄소의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해역 입자유기탄소의 분포특성은 양자강 유출수가 영향을 미치는 중국연안해역에서 평균 $9.23{\mu}M$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대마난류수의 영향을 받는 제주도 남동부해역에서 $3.04{\mu}M$로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중앙부해역에서 $7.23{\mu}M$의 입자유기탄소량을 나타내, 양자강 유출수가 자생적 기원이외의 입자유기탄소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 남서부해역에서의 입자유기탄소는 Chlorophyll a의 농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여 자생적 기원으로 볼 수 있지만 그 해역에서의 염분도가 저염(30%o 이하)을 나타내고 있어 자생적 기원보다는 육상기원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이른 여름 동중국해 대륙사면의 해양환경과 소형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연직분포 특성 (Vertical Profiles of Marine Environments and Micro-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Continental Slope Area of the East China Sea in Early Summer 2009)

  • 윤양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1-162
    • /
    • 2013
  • 2009년 이른 여름 동중국해 동부의 대륙사면을 대상으로 해양환경과 소형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사하였다. 수온약층은 뚜렷하지 않고 수심에 따라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염분은 표층에서 낮고 비교적 깊은 수심까지 균일한 분포를 보이나, 중간 수층이하에서는 수심과 비례하여 150~200 m에서 최댓값을 보인 다음 감소하였으나, 변화 폭은 크지 않았다. sigma-t의 변화는 수온에 의해 지배되어, 표층에서 수심과 함께 완만히 증가하여 약 500 m에서 표층보다 약 3 $kg/m^3$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광량은 해수 표층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보상심도는 약 100 m 수심에 위치하였다. 엽록소 a의 연직분포는 수온이나 염분보다 광량에 더욱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심도에서 최댓값을 나타내었다. 소형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56속 103종으로 비교적 다양하였고, 세포밀도 역시 엽록소 a가 최댓값을 나타내는 수심에서 112.0~470.0 cells/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에서 극우점하는 종은 없고, 낮은 점유율로 다양한 종이 출현하지만, 일부 정점에서 규질편모조류인 Octactis octonaria나 규조류인 Leptocylindrus mediterraneus에 의해 26%의 우점율은 나타내는 것은 이례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방된 빈영양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등 미소생물의 군집 해석은 표층, 중층 및 저층과 같은 일정 수심 간격의 조사가 아닌, 해양환경의 연직분포나 엽록소 최대층의 파악과 같은 연속관측의 결과와 연계된 생태연구가 필수적임을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