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aline paddy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답토양(沓土壤)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잠재생산력(潛在生産力)과의 관계(關係) (Potential Productivity and Soi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ddy Land)

  • 문준;엄기태;윤관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74-178
    • /
    • 1982
  • 답토양(畓土壤)의 형태적특성(形態的特性), 유형(類型) 및 적성등급(適性等級)과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해 무비구(無肥區)에서 4개년(個年)('76-'79)간(間)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특성(土壤特性)과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는 배수조건(排水條件)은 약간(若干) 불량(不良)한 토양(土壤)이 508kg/10a, 토성(土性)은 식양질(埴壤質)인 토양(土壤)이 538kg/10a, 유효토심(有效土深)은 100cm이상(以上)인 토양(土壤)이 513kg/10a 으로 각각(各各)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유형(類型)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는 보통답(普通畓) 525, 미숙답(未熟畓) 492, 사질답(砂質畓) 484, 습답(濕畓) 474, 염해답 263kg/10a으로 나타났다. 3. 적성등급(適性等級)과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는 1급지(級地) 532kg, 2급지(級地) 510, 3급지(級地) 464, 4급지(級地) 349kg/10a으로 나타났음.

  • PDF

논발생(發生) 담수조류(淡水藻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녹조류(綠藻類)의 동정(同定) 및 번식생태(繁殖生態) (Fresh-water Algae Occurred in Paddy Rice Fields III. Identification and Propagation of Green Algae)

  • 이한규;박재읍;류갑희;이정운;박영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5-351
    • /
    • 1992
  • 논에 발생(發生)하는 조류(藻類)의 생태(生態) 및 방제(防除)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1991년 전국(全國) 논에서 채집(採集)한 녹조류(綠藻類)에 대(對)하여 분류(分類) 동정(同定)하고 주요(主要) 조류(藻類)의 번식생태(繁殖生態)를 구명(究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전국(全國) 논에서 채집(採集)한 녹조류(綠藻類)에는 총(總) 16과(科) 29속(屬) 46종(種)이 동정(同定)되었다. 2. 서산(瑞山) 간척지(干拓地) 담수직파(湛水直播) 논에 대량(大量) 발생(發生)하는 조류(藻類)는 사상(絲狀) 녹조류(綠藻類)(Cladophora)이었으며 분지형(分枝形) 사상체(絲狀體)이고 대량(大量) 발생(發生)한 논에서는 구형집단(求刑集團)으로서 수면(水面)에 부유(浮遊)하고 있었다. 3. 벼 이앙후(移秧後) 수면(水面)에 나타나는 연색(緣色) 수화현상(水花現象)은 주로 부유성(浮遊性) 단세포(單細胞) 녹조류(綠藻類) Chlamydomonas, 부유성(浮遊性) 사상(絲狀) 녹조류(綠藻類) Stichococcus 등(等)에 기인(起因)하였다. 4. 그물말(Hydrodictyon)은 모체(母體)의 각(各) 세포(細胞)로부터 어린 망상체(網狀體) 1개(個)씩이 형성(形成)됨으로써 단기간(短期間)에 많은 개체(個體)로 증가(增加)하는 무성번식(無性繁殖) 주(主)로 하고 있었다. 5. 붓뚜껑말(Oedogonium)의 유성번식(有性繁殖)과 무성번식(無性繁殖) 과정(過程) 및 해캄(Spirogyra)의 유성번식(有性繁殖) 과정(過程)이 관찰(觀察)되었다.

  • PDF

임해 간척지에서 모래상토 층에 모세관수 차단 층의 도입이 염류 집적과 켄터 키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ruption Layer for Capillary Rise on Salt Accumulation and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Growth in Sand Growing Media over the Reclaimed Saline Soil)

  • 라하유;양근모;최준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6-116
    • /
    • 2010
  • 본 연구는 임해 간척지와 염분의 농도가 높은 관수조건에서 모세관수의 차단층이 염류집적과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생육지반으로는 표토 30 cm, 차단층 20 cm가 10 cm 두께의 간척지 토양위에 조성되었다. 표토로는 태안군 부남 호에서 준설된 모래가 사용되었으며 유기물은 부피비 5%로 혼합되었다. 30 cm직경의 PVC 주름관을 절단하여 지반구조 용기가 제작되었고 바닥은 PVC망사를 이용하여 토양의 이동을 차단하였다. 용기는 5 cm깊이의 저수조에 설치되었으며 저수조에는 $3-5\;dsm^{-1}$ 염도의 희석 바닷물이 채워졌다. 켄터키블루그래스는 뗏장을 사용하여 조성되었으며 $2\;Sm^{-1}$로 희석된 바닷물이 관수원으로 사용 되었고 일평균 5.7mm의 관수가 3일 간격으로 수행되었다. 차단층을 생략한 지반은 봄철에 염분의 집적이 최대를 보여 토양전기전도도가 $5.4\;dSm^{-1}$에 달하였으며 SAR은 34.0을 보였고 차단층설치구의 토양전기전도도 인 $4.6\;dSm^{-1}$과 SAR 8.24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염의 집적을 보였다. 차단층의 소재별 차이를 볼 때 콩자갈과 조사의 사용 시 토양중 Na농도가 가각 16%와 25% 감소하였고 토양전도도는 7%와 13%감소하였다. 차단층 처리구의 켄터키부루그래스 품질은 평균 가시적 평가 8.3을 보여 차단층을 생략한 처리구의 평균 가시적 평가 7.9 보다 높았다. 콩자갈과 조사 차단층 소재는 차단층을 생략한 경우에 비해 켄터키부루그래스의 가시적 품질을 각각 4.1%, 4.0% 증가 시켰으며, 뿌리의 길이를 50%와 38%, 뿌리의 건중을 35%와 17% 증가 시켰다. 상토층의 Na 함량도 콩자갈과 조사 차단층에 의해 각각 16%와 25% 감소하였으며 토양 전기전도도도 7%와 13% 감소하였다.

염해지 토양을 기반으로 조성된 모래 지반구조에서 관수용수의 량 및 염농도에 따른 토양내 염류 집적과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nity Level and Irrigation Rate on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Growth and Salt Accumulation in Sand Growing Media Established Over the Reclaimed Saline Soil)

  • 라하유;양근모;최준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9-88
    • /
    • 2011
  • 본 연구는 염해지 토양을 기반으로 조성된 모래 지반구조에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염해 경감을 위한 관수량 및 관수용수의 염 수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용기는 바닥에 10 cm 높이로 간척지 논토양을 설치 하였으며, 그 위에 20 cm 높이로 염류 차단을 위해 왕사를 설치하였다. 상토는 20 cm 높이로 세사를 설치 하였으며, 세사에 유기물이 부피비로 5%가 되도록 혼합하여 조성하였다. 상기 용기들은 전기전도도(ECw)가 3-5 $dSm^{-1}$ 수준인 물에 5 cm 깊이로 침지 처리하였다. 조성된 용기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멧장을 식재하였다. 관수용수의 염처리는 전기전도도가 각각 0, 2 and 3 $dSm^{-1}$의 농도로 수행되었다. 관수량은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일 증발산량 대비 70% (3.8 mm $day^{-1}$), 100% (5.7 mm $day^{-1}$), 그리고 130% (7.6 mm $day^{-1}$)의 3처리로 하였다. 관수는 3일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상토내 염류의 축적은 관수용수와 모세관 현상에 따른 염 집적이 원인이 되었다. 시험 2차년도 조사시 관수용수의 처리 농도(ECw)가 0, 2, 3 $dSm^{-1}$ 일 때 각 상토의 전기전도도는 (ECe) 3.86 $dSm^{-1}$, 4.7 $dSm^{-1}$ 그리고 5.1 $dSm^{-1}$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SAR은 19.2, 23.9, 27.5로 조사되었다. 관수 량의 경우는 염이 포함된 물을 증발산량의 100%와 130% 살포시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재배 토양내 ECe와 SAR 경감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 1년 차의 경우 관수량이 증가할수록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육량은 증가되었다. 2년차 조사에서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육이 염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돗물에 (0 $dSm^{-1}$) 비해 전기전도도가 2와 3$dSm^{-1}$인 물을 관수시 가시적 품질이 각각 3.2%, 16.5%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예지물의 건물중은 각각 6.4%, 39.3%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뿌리 건물중은 각각 5.5%, 5.0%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염해지 토양을 기반으로 조성된 모래 지반구조에서 토양개량제 종류에 따른 토양내 염류 집적과 켄터키 블루그래스(Poa pratensis L.)의 생육 (Effects of Several Amendment Materials on Salt Accumulation and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Growth in Sand Growing Media Established Over the Reclaimed Saline Soil)

  • 라하유;양근모;최준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8-216
    • /
    • 2011
  • 본 연구는 염해지 토양을 기반으로 조성된 모래 지반구조에서 토양개량제 종류에 따른 토양내 염류집적과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육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용기는 바닥에 10 cm 높이로 간척지 논토양을 설치 하였으며, 그 위에 20 cm 높이로 염류 차단을 위해 왕사를 설치하였다. 상토 층은 20 cm 높이로 세사를 설치 하였으며, 상토용 준설모래인 세사와 각각 부피 비율로 1) 피트모스 10% 혼합 처리(SP), 2) 일반토양 10%+bottom ash 10% 혼합 처리(SSoBA) 3) 밭흙(사양토) 20% 혼합 처리(SSo), 4) 피트모스 5%+제올라이트 5% 혼합처리(SPZ), 그리고 5) Bottom ash 20% 혼합처리 (SBa)구를 조성하였다. 또한 각각 처리에는 짚섬 처리구를 추가하여 짚섬의 염 용탈 효과를 조사하였다. 상기 용기들은 전기전도도(ECw)가 $3-5dSm^{-1}$ 수준인 물에 5 cm 깊이로 침지 처리하였다. 조성된 용기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뗏장을 식재하였다. 관수용수의 염 처리는 전기 전도도가 $2dSm^{-1}$의 농도로 하였다. 관수량은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일 증발산량 대비 100% ($5.7mmday^{-1}$)로 3일 간격으로 살수되었다. 피트모스 5%+제올라이트 5% 처리구에 짚섬 살포는 모래토양의 ECe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bottom ash 20% 처리구는 토양의 SAR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유기물 10% 혼합처리(SP)와 밭흙 20% 처리구에 짚섬 살포(SSoGp)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지상부 건물중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밭흙 20%에 짚섬 혼합구(SSoGp) 및 피트모스 5%+제올라이트 5%에 짚섬 혼합시(SPZGp)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뿌리 길이가 각각 26.1, 29.5 cm로 길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피트모스 10%(SP) 처리구와 bottom ash 20%+짚섬 혼합구(SBaGp)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가시적 품질이 각각 7.8, 7.7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밭흙과 bottom ash 처리구에 짚섬을 혼합시 줄기 생육이 증가되었으며, 피트모스, 밭흙 그리고 제올라이트 처리구에 짚섬 혼합시는 지하부 생육이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임해 간척지에서 모래상토 층에 모세관수 차단 층의 도입이 염류 집적과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illary Rise Interruption Layer on Salt Accumulation and Kentucky Bluegrass (Poapratensis L.) Growth in Sand Growing Media Established Over the Reclaimed Saline Soil)

  • 라하유;양근모;최준수
    • 한국잔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잔디학회 2011년도 제24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5-8
    • /
    • 2011
  • 본 연구는 임해 간척지와 염분의 농도가 높은 관수조건에서 모세관수의 차단층이 염류집적과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생육지반으로는 표토 30cm, 차단층 20cm가 10cm 두께의 간척지 토양위에 조성되었다. 표토로는 태안군 부남 호에서 준설된 모래가 사용되었으며 유기물은 부피비 5%로 혼합되었다. 30cm 직경의 PVC 주름관을 절단하여 지반구조 용기가 제작되었고 바닥은 PVC망사를 이용하여 토양의 이동을 차단하였다. 용기는 5cm 깊이의 저수조에 설치되었으며 저수조에는 $3-5dsm^{-1}$ 염도의 희석 바닷물이 채워졌다. 켄터키블루그래스는 뗏장을 사용하여 조성되었으며 $2Sm^{-1}$로 희석된 바닷물이 관수원으로 사용 되었고 일평균 5.7mm의 관수가 3일 간격으로 수행되었다. 차단층을 생략한 지반은 봄철에 염분의 집적이 최대를 보여 토양전기전도도가 $5.4dSm^{-1}$에 달하였으며 SAR은 34.0을 보였고 차단층설치구의 토양전기전도도 인 $4.6dSm^{-1}$과 SAR 8.24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염의 집적을 보였다. 차단층의 소재별 차이를 볼 때 콩자갈과 조사의 사용 시 토양중 Na농도가 가각 16%와 25% 감소하였고 토양전도도는 7%와 13%감소하였다. 차단층 처리구의 켄터키부루그래스 품질은 평균 가시적 평가 8.3을 보여 차단층을 생략한 처리구의 평균 가시적 평가 7.9 보다 높았다. 콩자갈과 조사 차단층 소재는 차단층을 생략한 경우에 비해 켄터키블루그래스의 가시적 품질을 각각 4.1%, 4.0% 증가 시켰으며, 뿌리의 길이를 50%와 38%, 뿌리의 건중을 35%와 17% 증가 시켰다. 상토층의 Na 함량도 콩자갈과 조사 차단층에 의해 각각 16%와 25% 감소하였으며 토양 전기전도도도 7%와 13% 감소하였다.

  • PDF

경기지역(京畿地域)의 논 잡초(雜草) 분포(分布) 및 군락변화(群落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urvey of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on Paddy Field in Kyonggi Area)

  • 김희동;박중수;서광기;문미화;조영철;박경열;최영진;유창재;심상우;노영덕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
    • /
    • 1997
  • 효과적(效果的)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확립(體系確立)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서 1995년 경기도(京幾道) 벼 식부면적(植付面積) 131,130ha를 대상(對象)으로 약 400ha당 1점씩 기준(基準)하여 340개 지점(地點)에서 답류형(畓類型), 이앙기(移秧期) 및 농업지대별(農業地帶別)로 구분(區分)하여 실시(實施)한 잡초분포(雜草分布) 조사결과(調査結果)와 '81년, '91년, '95년의 시기별(時期別) 잡초군락(雜草群落) 변화(變化)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방제(雜草防除)는 1회(回) 처리(處理)와 2회(回) 이상(以上) 체계처리(體系處理) 농가(農家) 비율(比率)이 34 : 66으로 '91년에 비하며 체계처리(體系處理) 농가(農家) 비율(比率)이 11% 증가(增加)하였으며, 1회(回) 처리(處理) 농가(農家) 중 Butachlor G. 처리농가(處理農家) 비율(比率)은 25%로 가장 높았다. 2. Butachlor G. 처리답(處理畓)에서는 일년생(一年生)보다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높았으며, '91년에 비해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 분포비율(分布比率)이 감소(減少)하였다. 3. 잡초분포(雜草分布)는 화본과(禾本科) 3종(種), 방동산이과(科) 5종(種), 광엽(廣葉) 및 기타(其他) 14종(種) 등(等) 총(總) 22종(種)이였으며, $m^2$당(當) 잡초본수(雜草本數)는 20.4개(個)였고, 잡초건물중(雜草乾物重)은 5.9g으로 초종분포(草種分布)가 '91년의 25종(種)보다 적었으며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도 감소(減少)하였다. 4. 일년생(一年生)가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38 : 62로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가 많아 '81년 분포(分布)와 비슷하였으나 '95년에 비하여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낮았다. 5. 주요(主要) 우고초종(優古草種)은 벗풀>올방개>피>가막살이>물달개비 순(順)으로 '81년의 물달개비>가래>너도방동산이>올미 및 '91년의 올방개>벗풀>피>너도방동산이>물달개비 순과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91년에 비하여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 피의 우점비율(優占比率)이 높아졌다. 6. 답유형별(畓類型別)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보통답(普通畓)>습답(濕畓)>염해답(鹽害畓) 순(順)이었다. 보통답(普通畓)에서는 벗풀>올방개 >피>가막살이, 습답(濕畓)에서는 벗풀>올방개>피>여뀌 순(順), 염해답(鹽害畓)에서는 새섬매자기>벗풀>올방개 순으로 나다났다. 7. 이앙기별(移秧期別) 잡초분포상태(雜草分布狀態)는 이앙기(移秧期)가 늦을수록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증가(增加)하였으며 5월 이앙답(移秧畓)에서는 벗풀>올방개>피>물달개비 6월 이앙답(移秧畓)에서는 올방개>벗풀>너도방농산이 순(順)으로 우점초종분포(優占草種分布)가 다르게 나다났다. 8. 경운방법별(耕耘方法別)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무경운이앙(無耕耘移秧)>추경(秋耕)>춘경(春景) 순(順)이었으며, 추경답(秋耕畓)에서는 벗풀>올방개>피>물달개비, 춘경답(春景畓)에서는 벗풀>올방개>피>가막살이, 무경운(無耕耘) 이앙답(移秧畓)에서는 피>올챙이고랭이>벗풀 순(順)으로 우점(優占)하였다. 9. 농업지대별(農業地帶別) 우점초종(優占草種)은 남부평야지대(南部平野地帶)는 피>올방개>벗풀>새섬매자기, 서부해안지대(西部海岸地帶)에서는 피>벗풀>올방개, 동부내륙지대(東部內陸地帶)에 벗풀>올방개>사마귀풀 순(順)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 PDF

볏짚 및 석고시용(石膏施用)이 간척답(干拓畓) 직파(直播)벼의 초기생육(初期生育) 장해(障害)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s of Rice Straw and Gypsum Applied to a Saline Soil on the Growth Status of rice Seedlings when Flooded Direct Sowing)

  • 황선웅;이춘수;이용재;곽한강;박내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39
    • /
    • 1990
  • 염농도(鹽濃度) 0.48%인 식질계(埴質系) 간척지(干拓地) 토양(土壤)에 볏짚과 석고(石膏)를 시용(施用)하고 담수(湛水)한 후 직파시간(直播時間)를 달리한 pot 시험(試驗)에서 벼 유묘(幼苗)의 초기(初期) 생육장해(生育障害) 원인(原因)을 조사(調査)하였다. 1. 발아(發芽)는 담수(湛水) 1일후(日後) 파종구(播種區)가 담수(湛水) 18일후(日後) 파종구(播種區)보다 양호(良好)하였고, 담수(湛水) 18일후(日後) 파종구(播種區)는 볏짚시용(施用)으로 발아율(發芽率)이 극히 불량(不良)하였다. 2.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볏짚시용(施用)으로 담수(湛水)중의 pH, $HCO_3{^-}$ 및 Volatile fatty acid 함량(含量)은 증가(增加)되었으나 EC, $SO_4$ 및 수용성(水溶性) 양(陽)이온의 총함량(總含量)은 감소(減少)되었으며, 석고(石膏)는 볏짚과 반대(反對)의 경향을 보였다. 3. 발아율(發芽率)과 담수(湛水)의 화학성분(化學成分) 간(間)에는 대부분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며, 특히 파종(播種) 7일(日) 후(後) 담수(湛水)의 화학성분(化學成分)과 가장 관계(關係)가 높았다. 4. 볏짚시용(施用)에 의한 유묘(幼苗) 발아장해(發芽障害)는 담수(湛水)의 pH 상승(上昇)에 의한 $HCO_3{^-}$의 생성(生成) 및 점토(粘土)의 분산(分散)과 관계(關係)가 깊었으며, 발아후(發芽後) 유묘(幼苗)의 생육장해(生育障害)는 석고시용(石膏施用)으로 담수(湛水)의 EC, $SO_4$ 및 수용성(水溶性) 총양(總陽)이온등의 급격한 증가(增加)로 인한 염류장해(鹽類障害)로 추정(推定)된다. 5. 중탄산(重炭酸)의 생성(生成)은 담수(湛水)의 pH와 유의성(有意性) 있는 2차(次) 곡선적(曲線的) 회귀관계(回歸關係)를 보였으며 pH 7.5 이상일 때 급격한 증가현상(增加現象)을 보였다.

  • PDF

침출액량(浸出液量)을 달리할 경우(境遇)에 있어서의 토양(土壤)의 pH. (The Soil pH in Relation to the Ratio of Soil and Solution)

  • 오왕근;박영선;위재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7-30
    • /
    • 1969
  • 토양(土壤)의 이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이 다른 20점(點)의 전답토양(田畓土壤)(전(田) 10점(點), 답(畓) 10점(點))을 공시(供試)하여 증류수(蒸溜水), N-KCl 및 0.01 M $CaCl_2$ 등(等) 3가지 침출액(浸出液)으로 토양(土壤)과 침출액(浸出液)의 비율(比率)을 달리하여 토양(土壤) pH를 측정(測定)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증류수(蒸溜水)로 침출(浸出)하여 측정(測定)한 토양(土壤) pH는 증류수량(蒸溜水量)이 많아짐에 따라서 높아졌고 그 차이(差異)는 답토양(畓土壤)에서 보다 전토양(田土壤)에서 더 컸다. 2. N-KCl로 침출(浸出)하여 측정(測定)한 토양(土壤) pH는 N-KCl량(量)이 많아짐에 따라서 약간(若干) 높아지는 경향(傾向)이다. 3. $0.01\;M-CaCl_2$로 침출(浸出)하여 측정(測定)한 토양(土壤) pH는 염류토양(鹽類土壤)을 제외(除外)하고서는 $0.01\;M-CaCl_2$량(量)에 따라서 변화(變化)가 없었다. 4. 염류토양(鹽類土壤)에서는 침출용액(浸出溶液)이 많아짐에 따라서 pH가 높아졌는데 이것은 고염농도(高鹽濃度)로 인(因)한 접착전위(接着電位)의 저하(低下)때문인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 PDF

뚝새풀(Alo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s (Kom.) Ohwi.)의 생리생태적(生理生態的) 특성(特性) 및 방제(防除) - 1. 발아(發芽) 및 출아(出芽) 특성(特性)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Alo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s (Kom.) Ohwi. - 1. Gernmination and Emergence Under Several Environmental Conditions)

  • 임일빈;이선룡;허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44
    • /
    • 1994
  • 뚝새풀의 발생(發生)에 있어서 온도(溫度), 광(光), pH, 염농도(鹽濃度) 등(等) 환경(環境)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뚝새풀의 종자(種子)는 휴면성(休眠性)이 있었으며 휴면타파(休眠打破)는 $30^{\circ}C$ 건조처리(乾燥處理)에서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발아율(發芽率)은 $15^{\circ}C$ > $10^{\circ}C$ > $20^{\circ}C$ > $5^{\circ}C$의 순(順)으로 높았으며, $25^{\circ}C$ 이상(以上)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극히 낮았다. 3. 뚝새풀의 발생(發生)에는 광(光)이 크게 관여(關與)하지 않았으며 암상태(暗狀態) 하(下)에서 더 양호(良好)한 편이었다. 4. 실온보존(室溫保存) 종자(種子)는 건조종자(乾燥種子)를 $30^{\circ}C$에서 1일(日) 처리(處理)로도 80% 이상(以上) 발생(發生)되었으며, 30일(日) 이상(以上) 처리(處理) 시(時)는 50% 이하(以下), 60일(日) 처리(處理) 시(時)는 전혀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5. 간척지(干拓地)에서 염농도(鹽濃度) 0.25% 이상(以上)의 포장(圃場)에서는 발생(發生)이 극히 적었다. NaCl 농도(濃度) 0.5% 이상(以上)의 용액(溶液)에서는 발아(發芽)가 저조하였으나 0.7%에서도 70% 정도(程度) 발아(發芽)되었다. 6. pH 2.0에서는 발아(發芽)되지 않았으며, pH 6.0-pH 12.0 범위(範圍)에서는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이 거의 없었다. 7 답전윤환답(畓田輪換畓)에서 대두(大豆) 3년(年) 연속(連續) 재배시(栽培時) 발생량(發生量)은 현저(顯著)히 낮아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