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practice

검색결과 1,305건 처리시간 0.024초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들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행위 (Radiological Operating Technicians's Protective Behaviors on Radio-medical Measures in Hospitals)

  • 한은옥;문인옥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9-77
    • /
    • 2007
  • Background & Objectives: International radiation protection committe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adiation protection from medical practices because the exposure to the radiation in medical practice is higher than any other exposure. The factors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radiation safety of the medical workers engaged in radiation were analyzed in order to improve radiation safety technology. Metho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1200 radiation workers in medical institution from July 23 through September 4 and collected for analysis. Results: Different level of safety measures were practiced by age, marital status, career, and medical facility.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s of safety measures were practiced in the age group of 50s and married persons. The workers who have more than 20 years experience have higher level of safety measures. The workers of health centers have higher level of safety measures to compare with other workers. The factors which give more concerns on safety practice were self efficacy, practice and knowledge in order. Conclusion: Safety conscious operators should get additional education program to maintain higher level of safety. The operators who do not have much safety concern should be intensive training program for self efficacy and safety.

  • PDF

초등학생들의 학교안전생활 실천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f Primary School Students' Practicing Safety Procedure during Their School Life)

  • 박필남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5-95
    • /
    • 2003
  • This paper surveys and researches primary school students' situation of their school lif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accident prevention teaching and the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avoid accidents to occur beforehand. We selected m primary students out of the six primary schools in Taebaek City at which the nursing students of Kangwon Tourism College practiced school health. We used SPSS Win for analyzing data. We carne up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ercentage using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item, the mean difference using T-Test, and the different factors using one-way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6th grade students don't practice safety procedures than the 5th grade students during outside the school. The older the student is, the less it practices safety procedures. 2. Boys practice safety procedures better than the girls during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3. Hot -tempered students don't practice safety procedures properly. 4. Most of the students who often use the health room of the school have high scores in safety procedures test and as a result, these students practice safety procedures thoroughly. 5. The grade of safety living activity is the highest during gymnastic class. Next is when the students use the stairs when they are going up and clown. Then, the use of science room In the playground is the lowest grade of safety for living activity.

대학생의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위에 관한 연구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김상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279-289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위를 분석하여 둘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4년제 대학교 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안전의식은 평균 177.5점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안전의식이 가장 높은 분야는 화재 안전, 가장 낮은 분야는 응급처치 분야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중 성별(t=2.778, p=0.00)과, 학년(F=5.443, p=0.01)에 따라 안전의식 정도가 차이가 있었다. 안전의식 수준에 비해 안전 생활실천행위는 63.26점으로 중간점수이나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년(F= 5.777, p=0.01)에 따라 안전실천에 차이가 있었다.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595. p<.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안전교육과정의 확대와 활성화 및 안전의식과 안전실천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역량과 환자안전관리 행위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Practice)

  • 박정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16-223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역량이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환자안전관리 행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참여자는 1년 이상 학생 간호사로 임상 실습을 받은 293명의 4학년 간호대학생이다. 데이터는 2018년 4월 26일부터 5월 9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역량은 평균 $2.90{\pm}0.38$점 (환자안전 지식 $2.68{\pm}0.65$, 환자안전 기술 $3.26{\pm}0.56$, 환자안전 태도 $2.75{\pm}0.40$)이었다. 환자안전관리 행위 점수는 평균 $4.13{\pm}0.57$점이었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및 환자안전관리 행위 간의 상관관계에서, 기술 및 관리 행위는 r=.337, p<.001, 태도 및 관리 행위는 r=-.150, p=.010, 지식 및 관리 행위는 r=.171, p=.003이었다. 대학생의 환자안전 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 기술(${\beta}=.307$, p<.001), 화재에 대한 안전사고 경험(${\beta}=-.127$, p=.026), 환자안전 태도(${\beta}=-.121$, p=.026), 환자교육에 대한 안전사고 경험(${\beta}=-.119$, p=.034)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5.7%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고, 환자안전관리 행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학령기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on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in School-Age Children)

  • 채명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713-2725
    • /
    • 2015
  • 다양한 요인들이 발달과정에 있는 아동이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데 영향을 주므로,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안전생활 실천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경상도,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소재의 초등학교 5, 6학년 510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안전생활 실천행동 영향요인은 안전교육 도움정도(${\beta}=.254$, p<.001), 학업스트레스(${\beta}=-.222$, p<.001), 학년(${\beta}=.201$, p<.001), 성별(${\beta}=-.180$, p<.001)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3.9%였다. 그러므로,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고취시키기 위해 학업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기 위한 효율적인 관리와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3종 시설물 지정 업무 담당자의 지식과 태도가 업무 실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Knowledge and Attitude of Class-III Facility Designator on Work Practice)

  • 임창우;정현지;신승현;원정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5-26
    • /
    • 2023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he person in charge of designating a Class III facility was analyzed to improve its practice. As a field of knowledge, system knowledge and technical knowledge were considered, and attitudes were divided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A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KAP)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was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ractice in designating the Class III facility were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of knowledge and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in the field of attitudes.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were the two factors that most influenced the practice of designating a Class III facility. It is though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the greater the ability to practice designating the Class III facil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influencing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were analyzed by safety inspection.

보육시설의 안전관리 실천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Practice of Child-Care Centers)

  • 이수재;이진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5
    • /
    • 2006
  •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보육시설의 안전관리 실천 실태를 점검하고 그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시설 안전 환경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침(2005)의 안전관리 영역 척도와 관련이 있는 문헌 고찰을 토대로 한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안전관리 실천에 관한 사항을 6개 하위 영역으로 나누고 하위 문항을 구성해 작성한 설문지를 가지고 전라북도 보육 시설장 10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장들의 안전관리 실태 조사에서 실내시설 안전관리와 비상사태 대처방안 영역에서 다른 영역들에 비해 안전관리 실천 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보육시설의 안전관리 실천에 대한 각 하위 영역별 평균을 비교해 보았을 때 안전지도 및 교육 항목에서 1.82점으로 가장 실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내시설 안전관리 항목이 1.59점으로 가장 실천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과 시설장의 관련 변인에 따른 안전관리 실천을 비교한 결과 보육시설 유형별, 시설장의 성별, 시설장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 PDF

신임 경찰공무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간의 관계 (The Correlation of Safety Consciousness and Practice of Safety Behavior in A New Police Officer)

  • 이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00-409
    • /
    • 2017
  • 본 연구는 신임 경찰공무원으로서 교육기간 중인 신임 경찰공무원 81명을 대상으로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경찰공무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를 편의 표집하였으며, 90명이 표집되었고, 이 중 81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안전의식은 4.29점으로 높은데 반해 안전행동 실천은 48.71점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화재안전의식은 나이와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재난안전행동 실천은 성별과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의식은 안전행동 실천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국민의 안전을 담당하는 경찰공무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파악해 보았으므로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경찰공무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기술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의 지원과 더불어 이들을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안전관련 교육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DEVELOPMENT OF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CFD IN NUCLEAR REACTOR SAFETY

  • Mahaffy, Joh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77-381
    • /
    • 2010
  • In 2007 the Nuclear Energy Agency's Committee on the Safety of Nuclear Installations published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the use of CFD in Nuclear Reactor Safety.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document' contents and highlights a few of its recommendations. The document covers the full extent of a CFD analysis from initial problem definition and selection of an appropriate tool for the analysis, through final documentation of results. It provides advice on selection of appropriate simulation software, mesh construction, and selection of physical models. In addition it contains extensive discussion of the verification and validation process that should accompany any high-quality CFD analysis.

영유아 안전관리 부모교육의 효과 (Effect of Safety Education for Mothers with Infants)

  • 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221-228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promoting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actice for mothers with infants. Method: This education was provided at two public health centers in Kyunggi Province.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were 95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4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After the group education sessions on safety management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the mean scores for knowledge and practice of safe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mothers. Also, after the safety education,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ceived a higher priority in safety in child care than they had before the education program. Conclusion: The education for mothers with infants regarding the child safety was effective in promoting knowledge and practice of safety for inf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