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of seaweed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1초

IMF시대의 식생활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Food Life in IMF Age)

  • 이진영;이혜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3-352
    • /
    • 199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ternational Monetary Fund(IMF) Age on the household behavior of food consumption and analysis the related factors(demographic variables, family life style) to find out the reasonable consumer's consciousness and food market condi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 life style and food life style, considered as family life style, were classified into 7 types and 9 types respectively as family life style by factor analysis. 2. The rationality of using and disposing stage on food life has increased, the rationality of the planning stage on food life has decreased since the IMF age began. But the rationality of overall food consumption has hardly changed. 3. The amount of purchasing was decreased, discount store was favorite place to buy food, and safety and freshness were major determinants in purchasing for most of food items. But this was different with food items. The various information sources were used impartially to buy food, cash was used mainly, and the degree of using the discount ticket/coupon was a little low. 4. Income level is an influential factor on the rationality of the planning and purchasing stage on food life, while environment-oriented food life style has influenced on the rationality of using and disposing stage. The purchasing amount of grain products, meats, milk products, bread and snacks, drinks, alcoholic drinks, water and convenience goods has influenced by demographic variables, eating out had been influenced by general life styles, and fruits, healthy foods, processed foodstuffs, favorite foods, vegetables seaweeds, import foods and seafood had been mainly influenced by food life style since IMF age began.

  • PDF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양생물중의 조직결합 삼중수소 농도 (OBT Concentrations of Marine Organisms around Wolsung Nuclear Power Plants)

  • 김도성;박규준;임수경;김완;강희동;도시홍;김창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75-78
    • /
    • 2003
  •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의 해양생물(해조류와 패류) 시료를 채취하여 조직결합 삼중수소 (OBT) 방사능농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해조류의 OBT 방사능농도는 $0.372{\sim}2.72$ Bq/kg-fresh의 범위였으며, 패류의 OBT 방사능농도는 $0.239{\sim}2.02$ Bq/kg-fresh의 범위였다. 그리고 해조류의 OBT에 의한 내부피폭선량은 $3.4{\times}10^{-7}mSv/year$로 평가되었다.

천연식물성분이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Foods on the Inhibi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 이수정;신정혜;정미자;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5-100
    • /
    • 2000
  • 천연식물류인 차류(녹차, 두충), 약용식물(어성초, 백화사설초, 삼백초) 및 해조류(미역, 청각, 김) 추출물, 채소류(피망, 케일,오이, 양파) 및 과실류(토마토, 매실,자두,포도)쥬스 등을 이용하여 NDMA생성억제작용을 pH 1.2, 4.2 및 6.0의 반응용액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확인하였다 차류 및 약용식물류에서는 NDMA생성을 촉진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해조류 추출물은 차류 및 약용식물류 추출물과는 달리 NDMA의 생성을 다소간 억제시켰으며, 반응용액의 pH가 산성일수록, 추출물의 농도를 높일수록 NDMA생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컸다. pH 1.2에서 채소류쥬스는 57.6∼99.7%, 과실류쥬스는 35.9∼99.7%, pH 4.2에서 채소류쥬스는 55.0∼97.5%, 과실류쥬스는 21.3∼96.8%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 PDF

고등학교 급식식단의 엽경채류 식재료 사용 빈도 및 조리방법 분석 연구 (Analysis Study on the use of Frequency and the Cooking Method of Leaf and Stem Vegetables in High School Foodservice)

  • 민지현;이종경;김현정;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50-257
    • /
    • 2016
  • 본 연구는 지역별, 학교별, 계절별 고등학교 급식 식단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관련 주요 영향 인자를 도출하고자 식단 데이터를 수집하고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안전관리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급식식단 중 PHF(Potentially Hazardous Food) 해당여부,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 식단 조리방법에 관하여 빈도분석과 다중대응분석(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MCA)을 실시하였다.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의 각각 3개 고교, 총 6개 고등학교의 3, 6, 9, 12월 제공된 총 1,945개 식단의 빈도분석 결과, PHF에 해당하는 식단은 데친 나물류, 샐러드, 해조류, 닭튀김 등이 사용빈도가 높았다. 조리방법은 가열 여부에 따라 단순 가열, 단순 비가열, 혼합 여부에 따라 가열한 식재료와 가열한 식재료의 혼합, 비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 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으로 구분하였는데, PHF 제품 내 단순 비가열과 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과 같은 메뉴 유형도 33.1%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는 시금치, 부추, 상추, 양배추, 깻잎, 양상추, 치커리, 파, 브로콜리 순서로 나타났다. 전체 식단 중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 14종 370개의 데이터에 대한 MCA 결과 PHF에 해당하는 엽경채류에는 양상추, 청경채가, Non-PHF에 해당하는 엽경채류에는 브로콜리, 양배추, 치커리, 깻잎이 주로 사용되었다. 지역별로는 중부지역에서는 마늘쫑과 시금치가, 남부지역에는 미나리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향후 단체급식에서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생산단계에서 오염원 차단(GAP 인증), 저감 및 세척 공정 개발, 식재료별 조리방법에 따른 메뉴 데이터 베이스화, 미생물학적 안전성이 확보되는 조리방법을 활용한 식단 개발 및 검증이 필요하다.

인산염 농도 변화에 따른 톳(Hizikia fusiforme)의 무기비소(As (V)) 축적 및 생장률 변동 (Accumulation of inorganic arsenic, and growth rate by changing of phosphate concentration in Hizikia fusiforme)

  • 황운기;최훈;최민규;김민섭;최종우;허승;이주욱
    • 환경생물
    • /
    • 제37권2호
    • /
    • pp.189-195
    • /
    • 2019
  • 인산염 농도 변화에 따른 Hizikia fusiforme의 무기비소 축적량 및 생장률을 분석하였다. 무기비소에 14일간 노출하였을 때, 2 mg L-1의 높은 인산염 농도에서 무기비소 축적량이 증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인산염 농도가 0.02 mg L-1로 낮은 경우에 무기비소 축적량이 3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H. fusiforme는 인산염 농도가 낮은 경우 생장률이 14.5%, 무기비소(10 ㎍ L-1)에 노출되었을 경우 생장률이 대조구 대비 30% 감소하였다. H. fusiforme는 인산염과 무기비소를 구분하지 못하여 인산염의 농도가 낮은 경우 무기비소 축적량이 증가하게 되고, 축적된 무기비소는 광합성 저해 및 세포분열을 방해하여 생장률을 억제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양식생물인 H. fusiforme는 다른 해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기비소 축적량이 높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H. fusiforme의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