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Prevention Practice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3초

Optimization of ship inner shell to improve the safety of seagoing transport ship

  • Yu, Yan-Yun;Lin, Yan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5권3호
    • /
    • pp.454-467
    • /
    • 2013
  • A practical Ship Inner Shell Optimization Method (SISOM), the purpose of which is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seagoing transport ship by decreasing the maximum Still Water Bending Moment (SWBM) of the hull girder under all typical loading conditions,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objective of SISOM is to make the maximum SWBM minimum, and the section areas of the inner shell are taken as optimization variables. The main requirements of the ship performances, such as cargo hold capacity, propeller and rudder immersion, bridge visibility, damage stability and prevention of pollution etc., are taken as constraints. The penalty function method is used in SISOM to change the above nonlinear constraint problem into an unconstrained one, which is then solved by applying the steepest descent method. After optimization, the optimal section area distribution of the inner shell is obtained, and the shape of inner shel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timal section area. SISOM is applied to a product oil tanker and a bulk carrier, and the maximum SWBM of the two ships i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hanging the shape of inner shell plate slightly. The two examples prove that SISOM is highly efficient and valuable to engineering practice.

산업안전보건교육 기관의 운영에 따른 교육 만족도 조사결과 사례 보고 (Case Report on the Survey Resul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Institute)

  • 김현영;허미진;신인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03-609
    • /
    • 2019
  • Objectives: This case report aim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raining quality for occupational accident prevention by conducting surveys on customers'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course management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Institute (OSHTI) of KOSHA. Methods: Surveys were conducted through phone calls, customer service documents, an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1, 2018 to December 31, 2018. Results: The surveys showed an answer rate of 97.36% and handling rate of 97.47% in 2018, an increase of 1.15% compared to 2017. The number of monthly inbound calls in 2018 was 5,902, rising 0.10% year-on-year, and the average inbound calls per day in 2018 was 289, a decline from 291 the year before. The number of provisions of customer service in 2018 was 68,952, increasing 1.89% year-on-year. The number of inquiries on the training curriculum was 58,744 in 2018, an increase of 3.98% compared to the 56,498 recorded in 2017. Inquiries on job training centers were the most common, numbering 27,114 (39.32%), followed by e-learning 18,470 (26.79%) and expert courses 13,160 (19.09%). Of the 149 answers to the customer service survey, 'Nothing to complain about' accounted for 86 (56.72%) and 'Diversifying training time and programs' numbered 22 (14.77%). Conclusions: Customer satisfaction in 2018 increased compared to that in 2017. However, there is a need to reflect the demands of customers for diversifying training time and programs, offer practice-centered training, and collect opinions on providing information in order to maintain high quality training course management.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안전한 생활' 교과서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afe Life' Textbook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장덕진;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03-109
    • /
    • 2023
  • '안전한 생활' 교과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의 안전 의식 함양을 위하여 64시간의 시수로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교재에 해당하는 교육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대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과 개념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빈도와 중요도를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안전한 생활' 교과서는 주제 측면에서 '생활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방법 측면에서는 '체험' 및 '연습' 등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교구 측면에서는 '카드놀이' 및 '붙임딱지'가 많이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중심의 안전교육의 기조를 유지하되 다양한 안전교육 영역 반영과 교수학습자료·방법의 다양화를 시사점으로 제언한다.

실습생의 충돌위험도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rainees' Awareness of Collision Risks)

  • 김소라;박상원;심효상;김종성;박영수;김대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8-498
    • /
    • 2022
  • 항해사 교육과정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충돌 예방에 관한 교육은 실습생에게 중요한 교육 및 실습 과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습생의 체계적이고 정량화된 충돌 예방 실습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실습생의 충돌위험도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충돌위험을 판단하는 요소를 도출하고 실습생 대상 설문조사로 실습생 관점의 충돌위험도를 시나리오별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PARK Model을 이용하여 현직 항해사가 느끼는 충돌위험도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실습생 및 현직 항해사는 충돌위험요소 중 타선과의 거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나리오별 위험도 경향은 유사했으나 실습생의 평균 위험도(5.39)가 현직 항해사의 평균 위험도(5.20)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는 현직 항해사보다 실습생이 더 낮은 위험도를 체감하였고 이는 실습생의 항해 경험 부족으로 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해당 연구는 실습생의 충돌 위험도 및 현직 항해사의 위험도 차이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여 충돌 예방 실습 교육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edication Injection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among Health Service Providers in Korea

  • Lee, Hyeong-Il;Choi, Ji-Eun;Choi, Sol-Ji;Ko, Eun-Bi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2-65
    • /
    • 2019
  • Purpose: Outbreaks resulting from medication injections have recently been on the rise in Korea despite various established guidelin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egree to which healthcare professionals are aware of safe injection practice guidelines and to account for the adherence to and the deviation from safe injection guidelines formulated by healthcare providers. Methods: In November 2016, a cross-sectional anonymous questionnaire cover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jections,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of safe injection practices, and adherence to and barriers to safe injection guidelines was issued to healthcare providers who administer medication injections or manage and supervise these injections (N=550).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via enter method was performed to def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adherence of safe injection practices. Results: On average, respondents adhere to 17 of the 24 guideline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found that those who were more likely to adhere to safe injection guidelines either underwent a patient safety training experience within the last year, provided care in a setting characterized by a highly developed patient safety culture, or were employed as physicians or nurses, as opposed to some other type of care provider. Barriers to safe injection guidelines were attributable to; thoughts of waste to discard leftover medicine, provisions that made adherence cumbersome, a weak culture of compliance, and insufficient amounts of injectable medicine, products, and educ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ntrollable factors like training experience of healthcare providers and patient safety cultur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dherence to safe injection practices. It was suggested that the training of healthcare providers on safe injection practices be a continuous process to promote patient safety. Additionally, there should be an increased focus o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to improve patient safety culture from a prevention rather than post-management perspective.

상선 충돌사고 분석을 이용한 인적과실 예방 충돌회피모델 연구 (Study on the Human Error Prevention Collision Avoidance Model using Merchant Ship Collision Accident Analysis)

  • 김도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18-92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12년(2010~2021년)간 발생한 상선의 충돌사고 668건을 조사하여 충돌의 원인요인을 조사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항해사의 인적과실 예방 충돌회피(HEPCA)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통계연보 및 충돌사건 재결서를 조사하여 상선의 충돌 원인요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분석 도구인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1단계 분석으로 상선 충돌사고 668건을 대상으로 충돌원인을 분석하였고, 2단계 분석에서는 식별된 최대빈도 원인요인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충돌원인은 항해사의 인적과실이 98 %인 것으로 식별되었으며, 빈도 높은 요인 순서는 경계소홀 > 항행법규위반 > 조선 부적절 순이었다. 경계소홀의 원인 요인은 주로 상대선 초인 후 지속감시 소홀이었으며 상대선박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한 원인은 주로 당직시간에 다른 작업을 한 요인이었다. 분석결과를 적용하여 인적과실 예방을 위한 HEPCA 모델을 제안하였고, 이를 재결서의 충돌사건에 적용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해기사 교육기관 및 실무에서 항해사의 인적과실로 발생하는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적 오류 연구의 동향과 과제: 어떻게 하고 있으며, 무엇이 필요한가? (A State-of-the-Art Report on the Current Human Error Studies: What and How to Cope with)

  • 이용희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
    • /
    • 2011
  • While human error has been one of the main technical issues from the early era of human factors engineering, it still remains hot and somewhat vague due to the various types of the concepts and words on human errors in practice. There may be some technical limitations hindering human error prevention activities. This paper introduces the human error activities described in the papers if this issue of ESK Journal according to a few criteria proposed for more effective technical review. And two basic technical issues are discussed on the concepts, perspectives, and classifications about human errors. Each activity shows its own artifacts associated with the safety purpose and the nature of the industry. This paper also provides a set of new technical bases proposed for a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human errors by considering the dependability, representativeness, and structuredness of human errors. Additionally, this paper includes some new challenges over the current prevention-oriented activities; positive utilizations of human errors to training/education, advertisements, fun and entertainments, and nudges.

무인항공기(UAV)를 활용한 건설현장 가시설물 안전관리 (Safety Management of Steel Pipe Scaffold using UAV)

  • 전병희;김남균;전계원;최봉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59-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무인항공기(UAV) 촬영을 통하여 얻어진 사진측량 자료를 이용하여 작업발판 등의 가설시설물 설치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내 건물보강공사를 위한 가시설물이다. 검토대상은 강관비계의 띠장방향 비계기둥 간격, 장선방향 비계기둥 간격, 띠장 간격이다. 무인항공기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검토한 결과 장선방향 비계기둥 간격은 기준을 잘 준수하여 설치되어 있었으나, 띠장방향 비계기둥 간격과 띠장 간격은 기준에 미달된 개소도 다수 발견되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특히 띠장 간격은 대부분 지점에서 기준에 미달되어 있었다. 무인항공기촬영으로 3차원 자료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측량이 가능하여, 타 시설물에 가려져 있거나 내부에 위치한 시설물도 측량이 가능하였다. 무인항공기 촬영을 통하여 신속하게 현장의 상태를 자료화할 수 있으며, 현장인력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측량을 수행할 수 있었다. 가시설물의 설치기준은 작업자의 안전확보를 위해 반드시 준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아직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장공정관리에 무인항공기 등을 활용하여 정기적으로 점검을 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식중독 경험 및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조사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 박경진;천석조;박기환;홍종해;김정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9-145
    • /
    • 2003
  • 본 조사는 한국 소비자들의 식중독 경험여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및 식품안전과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있어서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11월 일반성인 총 1,040명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4%는 연 1회 이상 식중독을 경험하고 있으며, 0.3%는 식중독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이 발생한 원인장소로는 일반음식점에서의 음식 섭취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부주의가 21.2% 등으로 나타났으며, 원인식품으로는 고기 등의 육류 및 가공품이 41.7%, 생선 등 어패류 및 가공품이 18.7% 등으로 나타났다.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에서는 콜레라(75.5%), 비브리오(73%), 이질(65.5%), 장티푸스(51.8%), 살모넬라증(47.5%)의 순으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리스테리아증(9.9%), 브루셀라중(8.3%)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모르거나 음식물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모델로 구분 즉, Model 1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Model 2는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Model 3은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고, 각 모델들은 조사자의 일반사항에서 나타난 변수와 식중독 경험여부 별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Model 1)은 여러 변수 중 교육수준(OR 0.536), 결혼상태(OR 0.529)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거 식중독 경험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OR 1.714).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Model 2)에서는 교육수준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OR 0.702),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Model 3)에서는 교육수준(OR 0.816)과 성별(OR 0.650)이 중요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식중독 경험이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정도는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품안전에 있어 경험과 지식은 실제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내환경에서 생물학적 인자에 대한 노출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Biological Agents in Indoor Environments)

  • 박주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39-248
    • /
    • 2009
  • The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 in the United States concluded in its 2004 report that excessive indoor dampness is a public health hazard and that its prevention should be a public health goal. Water damage in buildings, such as leaks from roofs, walls, or windows, may increase indoor moisture levels. Excessive dampness may promote microbial proliferation in indoor environments, increase occupants' exposure to microbial agents, and eventually produce adverse health effects in building occupants. Epidemiological studies to demonstrate the causal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indoor microbial agents and health effects require reliable exposure assessment tools. In this review, I discuss various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to assess human exposure to biological agents in indoor environments,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recent trends in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