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Culture

검색결과 1,439건 처리시간 0.038초

김치 유래 GABA 생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발효 및 항상화 특성 (Fermented Proper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GABA 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 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0-446
    • /
    • 2021
  • GABA는 식물, 동물 및 미생물 등 자연계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항고혈압, 이뇨, 진정, 수면유도 및 항스트레스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식품, 의약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 부터 분리한 GABA 형성 유산균을 옥수수 수염 추출물에 적용하여 발효 특성과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신규 L. plantarum LAB459의 분리와 동정은 생화학적 특성, 당자화성 및 16s rRNA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그리고 TLC와 HPLC 분석을 통해 분리된 L. plantarum LAB459가 GABA 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탈지유가 포함된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대해 발효를 수행한 결과, 동결 건조된 발효물에 약 1 ㎍/mg 수준의 GABA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물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분석은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L. plantarum LAB459는 다양한 식품 발효의 스타터 또는 식품 소재와 의약품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의 사회적 이슈 도출을 위한 뉴스 빅데이터 분석 연구 (Analysis of News Big Data for Deriving Social Issues in Korea)

  • 이홍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3-182
    • /
    • 2019
  • 복잡해지고 있는 현대 사회의 뉴스 키워드를 시간적 흐름에 따른 빈도수와 상관관계로 분석하는 것은 이슈들에 대한 대응과 해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0년(2009~2018)간의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회적 키워드의 흐름과 주요 이슈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정치적 이슈, 교육 사회문화, 젠더갈등 그리고 사회적 사건이 주요 이슈들로 제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슈의 변화와 흐름을 연구하기 위해 이를 5년 기준으로 양분하여 변화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이슈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그 대응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국민생활과 밀접한 키워드(경제, 경찰)는 시간의 흐름에 관계없이 우리 사회에서 매우 중요하게 논의되는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또한 '안전'과 같은 키워드는 최근 들어 빈도수에 비해 증가율이 감소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가 안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일인가구를 둘러싼 신문기사분석 : 가족학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Critical analysis on discour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n newspapers: Implications to family studies)

  • 김영주;변유정;차승은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7-87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recent discourse on single-person households (SPH) that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Specifically, we analyzed articles in five major daily newspapers, which are representative of the media in Korean society, and examined the types of titles, subjects, and contents of articles in which SPH were mentioned. Method: For this purpose, 538 articles on SPH or "living alone" that appeared in the five major Korean newspapers during 2011-2017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s. Results: Our analysis revealed eight major topics(living arrangement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financial instruments; food, clothing, and housing culture; policy; welfare; relationships; safety; values and attitud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urge of articles portraying neutral images of SPH in Korean newspapers, thereby emphasizing the recent growth in the number of SPH and the information relating to this population group. Although negative images of SPH continue to exist in the discourse, in recent times we found these attitudes to have become less prevalent compared to neutral images or even positive discourse. We also found that the discourse on these topics and arguments can be divided into four themes-the diversity of SPHs, the solo economy for single households, safety issues, and social relationships. Conclusion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family studies relating to SPH are discussed.

진단참고수준 기반 두부 방사선검사의 최적 목표노출지수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Optimal Target Exposure Index for Skull Radiography Based on Diagnostic Reference Level)

  • 박혜민;윤용수;김은혜;정회원;김정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6호
    • /
    • pp.599-605
    • /
    • 2021
  •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62494-1 has defined the exposure index (EI) that have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dose incident on the image receptor, and target exposure index (EIT), deviation index (DI). In this study, an appropriate EIT for skull radiograph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DRL) and changes in DI were confirmed. Entrance surface dose (ESD) and EI were obtained using the computed radiography system displayed the EI as per IEC on console and skull phantom by experiment based on the national average exposure conditions announced in 2012 and 2019. And appropriate EIT was established by applying the DRL in 2012 and 2019. As a results, the E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RL, and the exposure condition that becomes the ideal DI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IT also has a difference of about 1.41 times. DRL is recommended to optimize the patient dose,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in real time at medical institutions whereas EI and DI are displayed on the console at the same time as exposure. When the EIT is set based on the DRL and the DI is closed to an ideal value, it is useful as a patient dose management tool. Therefore, when the EIT is periodically managed along with the revision of the DRLs, the patient dose can be optimized through the EI, EIT and DI.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Control of Pseudomonas kribbensis and Pantoea vagans that cause Soft-rot Disease Isolated from Chinese Cabbages

  • Lee, Kang Wook;Kim, Geun Su;Kim, Jeong A;Kwon, Do Young;Lee, Jin Ju;Kim, Il Chul;Kim, Sang Gu;Kim, Tae Seok;Lee, Sang Y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5-62
    • /
    • 2022
  • 세균성 무름병은 배추와 같은 채소의 주요 질병중의 하나이며, 특히 김치의 주원료인 배추의 저장에 있어서 발생할 경우, 품질 저하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우리는 무름병이 발생한 배추로부터 원인이 되는 세균들을 분리하였고, 해당 세균이 신선한 배추 조직에 인위적으로 접종하였을 경우, 무름병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원인균 2종을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kribbensis와 Pantoea vagans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원인 세균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아염소산수 처리와 항균활성 유산균의 배양 상등액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본 테스트에 사용한 항균활성 유산균은 리스테리아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과 Pseudomonas 속 계열을 저해하는 Lactobacillus plantarum PL203 유산균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제어 테스트는 정상 배추 조직에 무름병 원인균 2종을 각각 105 cfu/g 이 되도록 접종한 후, 차아염소산수를 농도별로 분무하거나 항균활성 유산균 배양상등액을 0.5 mL 분무한 후, 25℃에서 5일간 배양한 결과, 차아염소산수 120 ppm 이상 첨가한 구간과 항균활성 유산균 배양 상등액을 처리한 구간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배추 무름 원인세균을 완전하게 제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공장의 근로자 불안전상태 예방을 위한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Method for Preventing Workers' unsafe Behavior in Chemical Plant)

  • 백주홍;임동휘;김민섭;설지우;유병태;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
    • /
    • 2022
  • 화학공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발생원인은 다양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발생되는 산업재해의 96%는 근로자의 불안전행동에 의해 발생된다.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에서는 근로자의 불안전행동에 의한 사고의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하여 산업현장에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근로자의 불안전 행동을 20개의 요소로 구분하여 발표한 바 있으며,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근로자의 불안전행동을 제어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불안전행동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사업장의 사고조사 이력 정보를 토대로 현장에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주요 불안전행동 유형을 분석 하였다. 주요 불안전행동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Swiss Cheese Model을 이용하여 불안전 행동을 유발하는 근본원인을 분석하였으며, 각 근본원인별 관리방법을 제안하였다.

Radiation risk percept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residents living near nuclear power plants: A nationwide survey in Korea

  • Sung, Hyoju;Kim, Jung Un;Lee, Dalnim;Jin, Young Woo;Jo, Hyemi;Jun, Jae Kwan;Park, Sunhoo;Seo, Songw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1295-1300
    • /
    • 2022
  •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est in researching risk perception of radiation to implement successful risk communication, particularly given the recent worldwide nuclear policy movement regarding nuclear energ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risk perception among residents living near normally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in South Korea by identifying factors associated with risk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face-to-face interviews for 1200 residents aged 20e84 years by gender- and age-stratified random sampling. Risk perception was associated with trust perception in nuclear safety, but was not highly correlated with benefit perception for utilizing nuclear power. Relatively high risk perception was observed in women, older age groups, and residents not having experience of nuclear-related education or work. This association remained after adjusting for other factors including benefit perception, trus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ddition to the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isk perception was also associated with a residential district's own unique context, indicating that a strategy of risk communication should be developed differently for residents facing nuclear-related circumstances. Given that risk perceptio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social values such as safety culture and economic setting,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radiation risk perception.

치매안심센터 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 Importance and Work Performance of Nurses in the Dementia Relief Center)

  • 장현정;마예원;박혜선;임선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7-202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establish basic data for stable operation of dementia relief center as a part of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for dementia and to establish the role of the professional workforce. Methods : This study is a survey study involving 126 nurses working at 19 dementia relief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3.0. Results : The importance tasks that nurses think of were Dementia Diagnosis, Counseling, Register and Classification and Dementia Preventive Projects. In addition, tasks that showed high performance were in the order of Dementia Diagnosis, Counseling, Register and Classification, Management of Dementia subjects. As a result, the final items of work areas and contents included 45 subcategories of work content for eight work areas.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overall work area and content of nurse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 description suitable for nurses who are med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dementia safety cent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 description suitable for nurses who are med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dementia safety centers. In connection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systematic and continuous program to manage dementia patients and thos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community.

목장형 유가공장의 미생물 분석 및 저감기술 적용 평가 (Evaluation of Microbial Analysis and Application of Reduction Technology in a Dairy Factory)

  • 김종희;이은선;김부민;함준상;오미화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03-210
    • /
    • 2023
  • Bacterial contamination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functionality, and safety of dairy products. Adherent populations of bacteria, referred to as biofilms, grow on the surfaces of dairy processing equipment and are the primary cause of dairy contamination. In addition, microorganisms present in the farm environment and dairy factory can contaminate the Clear-In-Place (CIP) line through raw milk transport pipes; therefore, exhaustive management is required. In dairy manufacturing facilities, biofilm formation is controlled using CIP systems that primarily require sodium hydroxide and nitric acid. However, the leakage or incomplete removal of these potently active compounds can be harmful to humans.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the eradication of Escherichia coli and other bacteria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combinations of sodium hypochlorite (NaClO) and citric acid, which are recognized by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s food disinfectants. When considered in the CIP system of the field manufacturing process, E. coli was not detected (compared to detection before treatment), and other bacteria were detected at 0-32 culture-forming units (CFU)/cm2. The residual amount of chlorine ions after CIP treatment was similar to that in tap wat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components of the fermented dairy products. Therefore, the NaClO/citric acid CIP system can be safely applied in dairy manufacturing processes.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의 특징 분류 (Classification of Characteristics in Two-Wheeler Accidents Using Clustering Techniques)

  • 허원진;강진호;이소현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217-233
    • /
    • 2024
  • 최근 배달문화의 확산으로 이륜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륜차 운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륜차 운행은 혼잡한 교통상황이나 경제적으로 효율적이지만 이륜차 난폭 운전과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이륜차에 대한 교통 법규로 이륜차 사고는 새로운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륜차는 차체 특성 상 치사율이 높기 때문에 이륜차 사고가 발생하면 그 심각성 및 위험이 크다. 그러므로, 이륜차 사고에 대한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륜차 사고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륜차 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K-prototype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륜차 사고의 특성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이륜차 사고 특성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마다 사고발생 도로, 주요 위반법규, 사고 유형, 사고 발생 시간 등에서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기반으로 이륜차 사고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한다. 각 사고 특성에 따른 단속 방법 및 규율을 개정함으로써 수도권 지역의 이륜차 사고 발생을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는 도로 안전성 향상에 기여한다. 더불어, 머신러닝 기법을 도시교통 및 안전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관련 문헌확장에도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