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Assessment

검색결과 5,534건 처리시간 0.036초

Metalaxyl-M 및 dinotefuran 입제의 쑥갓 중 잔류 특성 및 위해성 평가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Risk Assessments of Metalaxyl-M and Dinotefuran in Crown Daisy)

  • 송민호;유지우;김진찬;이광헌;고락도;금영수;이지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8-114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soil-treated metalaxyl-M and dinotefuran in crown daisy and to evaluate the risks from intake of the residual pesticides in the crop. METHODS AND RESULTS: The pesticide granules were treated in soil on two levels, and the plants samples were collected 51 days after seeding. The analytes were extracted and partitioned using the QuEChERS extraction packet (MgSO4 4 g, NaCl 1 g). The quantitative methods for metalaxyl-M and dinotefuran were validated in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Risk assessments of the pesticides were performed using Korea national nutrition statistics 2019. CONCLUSION(S):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metalaxyl-M in crown daisy were 0.09-0.10 mg/kg (for the treatment at 6 kg/10 a) and 0.17-0.19 mg/kg (12 kg/10 a), respectively.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dinotefuran in the crop were 0.53-0.75 mg/kg (3 kg/10 a) and 1.17-1.26 mg/kg (6 kg/10 a). The amounts of pesticides were less than MRL (Maximum Residue Limits) according to the Korean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HI (Hazard Index) of metalaxyl-M and dinotefuran for consumers was 0.0075% and 0.2250%, respectively. For females in the age between 50-64, the major consumer group, the HIs of the pesticides were <3%. Considering the consumption of crown daisy, they are not considered to be of toxicological concern.

폐채석장 부지 활용을 위한 유휴 공간의 태양광 발전 잠재량 분석 (Analysis of Photovoltaic Potential of Unused Space to Utilize Abandoned Stone Quarry)

  • 김한진;구지윤;박형동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6호
    • /
    • pp.534-548
    • /
    • 2021
  • 서울 시내를 비롯한 국내 곳곳에 채굴이 종료된 다수의 폐채석장이 존재한다. 폐채석장은 낙석 등의 안전 문제와 공간 활용도 문제로 인해 항상 개발 대상 구역으로 거론되는데, 폐채석장 인근에 현재 국가적 지원을 받는 태양광 에너지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사당 IC 인근 폐채석장 부지를 대상으로, 사면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과 낙석 방지 시설에 부착하는 방식 등 두 가지 상황에 대해 각각 분석했다. 관련 안전 기준 및 사례가 없어 지형 정보와 적절한 가정을 통해 사면에 직접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한 발전 잠재량을 추산했다. ArcGIS로 나타낸 DEM(Digital Elevation Model) 등 지형 고도 정보로부터 실제 폐채석장 절개면 부위의 표면적을 Python 프로그래밍을 통해 연산하여 설치 가능한 패널 용량과 각도를 계산하였다. 또, 낙석 방지 시설에 태양광 조사 방향으로 태양광을 설치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가상의 방지벽에서의 발전 잠재량을 분석해보았다. 두 가지 방식의 발전량 도출은 모두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프로그램 SAM(System Advisor Model)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자원 생산이 끝난 폐채석장이 다시 한번 재생에너지 자원 생산지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양약 및 한약 병용의 간과 신장에 대한 안전성: 후향적 관찰 연구 (Hepatic and Renal Safety of Concurrent Use of Conventional and Herbal Medication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김세윤;김형석;강도영;고준혁;김종연;김고운;김보형;조재흥;송미연;정원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1-140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ncurrent use of conventional and herbal medications affects liver and kidney function, by examining blood test dat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590 in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s between 2013 and 2017. We investigated cases of drug-induced liver injury (DILI) according to the Roussel Uclaf Causality Assessment Method criteria and cases of drug-induced kidney injury (DIKI) based on the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definition. Results One case (0.17%) of DILI and one case (0.17%) of DIKI were identifi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rum laboratory data were observed after the concurrent use of both types of medications (p<0.05). The kappa coefficients ranged from 0.26 to 0.72, indicating that the values after the concurrent use of conventional and herbal medications showed a fair similarity to the baseline values of the patients. The linear regression test showed that female sex and high body mass index (BMI) were risk factors for an increase in the serum blood levels of liver function parameters. Conclusions The concurrent use of conventional and herbal medication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is relatively safe; however, clinicians should exercise caution when prescribing these medications to female patients and patients with a high BMI because of their potential effect on hepatic function.

Optimal Duration of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Stent-Assisted Coil Embolization of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 : A Prospective Randomized Multicenter Trial

  • Ban, Seung Pil;Kwon, O-Ki;Kim, Young Deok;Kim, Bum-Tae;Oh, Jae Sang;Kim, Kang Min;Kim, Chang Hyeun;Kim, Chang-Hyun;Choi, Jai Ho;Kim, Young Woo;Lim, Yong Cheol;Byoun, Hyoung Soo;Park, Sukh Que;Chung, Joonho;Park, Keun Young;Park, Jung Cheol;Kwon, Hyon-Jo;Korean NeuroEndovascular Society,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6호
    • /
    • pp.765-771
    • /
    • 2022
  • Objective : Stent-assisted coil embolization (SAC) has been increasingly used to treat various types of intracranial aneurysms. Delayed thromboembolic complications are major concerns regarding this procedure, so dual antiplatelet therapy with aspirin and clopidogrel is needed. However, clinicians vary the duration of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SAC, and no randomized study has been performed.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afety and efficacy of long-term (12 months) dual antiplatelet therapy and short-term dual antiplatelet therapy (6 months) after SAC for patients with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 (UIAs). Methods : This is a prospective, randomized and multicenter trial to investigate the optimal duration of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SAC in patients with UIAs. Subjects will receive dual antiplatelet therapy for 6 months (short-term group) or 12 months (long-term group) after SAC. The primary endpoint is the assessment of thromboembolic complications between 1 and 18 months after SAC. We will enroll 528 subjects (264 subjects in each group) and perform 1 : 1 randomization. This study will involve 14 top-performing, high-volume Korea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coil embolization. Results : The trial will begin enrollment in 2022, and clinical data will be available after enrollment and follow-up. Conclusion : This article describes that the aim of this prospective randomized multicenter trial is to compare the effect of short-term (6 months) and long-term (12 months) dual antiplatelet therapy on UIAs in patients undergoing SAC, and to find the optimal duration.

단일 병원 인체조직은행에서 채취한 신선 동결 대퇴골두의 폐기율 분석 (Analysis of the Disposal Rate of Fresh Frozen Femoral Head in the Bone Bank of a Single Hospital)

  • 이재영;이동훈;전진화;이기행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05-309
    • /
    • 2021
  • 목적: 단일 병원 조직은행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병력 및 투약 이력 조회 시행 후 기증된 대퇴골두의 폐기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본원에 기증된 대퇴골두 총 340개를 대상으로 식약처 조직은행 표준 모델을 토대로 작성된 본원 조직은행 표준운영지침에 따른 항목별 폐기율 및 폐기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채취된 대퇴골두 323개 중 총 107개(33%)가 폐기되었고, 그 중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채취된 대퇴골두는 142개 중 65개(46%)가 폐기되었다.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는 이유는 치매 병력 관련, 핵의학 검사 시 사용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투여와 관련되었다. 결론: 현재의 기증 조직 적합성 선별방식으로 채취된 조직을 폐기할 시에는 사용 가능한 조직을 폐기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기준 및 선별 방식 마련이 필요하다.

생활화학제품의 흡입노출평가에 사용되는 노출계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xposure Factors Used in the Assessment of Inhalation Exposure to Household Chemicals)

  • 윤충식;권태홍;오기택;김민정;김부욱;신철웅;이기영;조경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95-205
    • /
    • 2022
  • Background: The biggest concern when using household chemical products is the health risk from inhalation exposur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imating inhalation exposure factors in several countries/organizations and to present some examples. Methods: We attempted to use PRISMA-ScR for a systematic review, but no major reports were found. We used the Google search function instead to find 'exposure factor handbook'. As for the results, inhalation exposure factors from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Canada, the EU, Australia, Japan, and China were compared. Results: The basic concept and origin of exposure factors was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s Exposure Factor Handbook. Its latest version is 2011, but several chapters have been updated in 2017, 2018, and 2019. South Korea's Exposure Factor Handbook was updated in 2019, more recently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and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South Korea, the average daily respiratory rate is 14.62 m3/day for adults and 12.73 m3/day for children. It is difficult to compare breathing rate by country because each country divides age groups differently and uses different methods to estimate it. Information on household chemical products, space used, and ventilation rate are in the exposure factor handbook in some countries and not in others. It is not in the handbook in South Korea, but in the notice from the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ub-regulation of the Chemical Product Safety Act. Conclusions: The exposure factors registered in South Korea's exposure factor handbook have been systematically studied and reflect the most recent data. When using data not in the relevant handbook, data from other countries might be applied, but it should be determined whether the nature and quality of the original data have been managed.

의약품 중 잠재적 불순물 관리를 위한 분석법 연구 동향 (Analytical methods to manage potential impurities in drug substances)

  • 박경민;김원미;안수현;이하림;황수현;이원웅;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35권3호
    • /
    • pp.93-115
    • /
    • 2022
  • 의약품의 제조, 유통, 보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불순물은 의약품의 품질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며 반응성이 높은 불순물의 경우 인체에 대한 발암성(변이원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를 위해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ICH)에서는 "잠재적 발암 위해를 제한하기 위한 의약품 중 DNA 반응성(변이원성) 불순물의 평가 및 관리"에 대한 내용을 담은 M7(R1)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채택을 권고하였다. 하지만 가이드라인에서도 잠재적 불순물에 대한 분류, 섭취 허용량, 관리방안 등과 대표적인 불순물 14 종에 대한 가이드라인 적용을 소개하는데 그치고 있어 제약회사와 규제 당국에서 실제 관리를 위한 의약품 중 잠재적 불순물의 분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총설에서는 비의도적 변이원성 불순물의 정의와 ICH M7(R1) 가이드라인에 소개된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는 한편 현재까지 보고된 주요 잠재적 불순물의 분석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식약처를 비롯한 감독 기관과 제약회사 등에서 의약품 중 잠재적 불순물 관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다.

터널 스캐닝 다중 촬영 영상의 특징점 기반 접합 알고리즘 성능평가 (Performance of Feature-based Stitching Algorithms for Multiple Images Captured by Tunnel Scanning System)

  • 이태희;박진태;이승훈;박신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30-42
    • /
    • 2022
  • 최근, 국내의 도심지와 수도권을 잇는 급행철도 사업, 간선도로 및 고속도로의 지중화 사업 등과 같이 교통 인프라 건설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지하 터널 및 산 터널의 시공이 활발해지고 있다. 터널 시공이 늘어남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로 인한 안전진단, 유지보수 및 관리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력에 의한 외관조사의 단점을 해결하고 터널 안전점검의 자동화를 위하여 터널 스캐닝영상을 통한 안전점검을 제시한다. 터널 스캐닝영상을 통한 안전점검은 기존 인력에 의한 외관조사에 비해 조사기간과 인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조사자의 안전사고와 교통체증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터널 스캐닝영상 기반 안전점검을 위해서는 터널 스캐닝영상의 접합을 통하여 평면전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스캐닝영상 기반 안전점검의 필수기술인 터널 스캐닝 다중 촬영 영상 접합에 적합한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터널이미지 접합에 유리한 알고리즘을 찾기 위하여 OpenCV에서 제공하는 특징점 검출 및 매칭 알고리즘 중 실수기술자와 높은 정확도를 갖는 SIFT, 이진기술자를 갖고 연산속도가 빠른 ORB, BRISK 총 3가지 알고리즘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터널이미지는 크게 콘크리트부, 조명부와 타일부로 나누어 터널이미지의 특성을 반영하였다. 터널이미지 접합에 유리한 알고리즘은 특징점 검출 개수, 연산속도, 특징점 매칭의 정확성, 영상접합 결과를 종합하여 판별하였다. 접합성능은 SIFT알고리즘이 가장 좋았으며 ORB, BRISK도 짧은 연산시간과 준수한 성능을 보였다. 연산시간보다 정확도가 중요시되는 정밀한 평면전개 이미지 생성에 SIFT가 활용될 수 있고 ORB와 BRISK도 준수한 접합결과를 보여줘 대용량 영상에서 빠른 영상처리 속도가 요구되는 작업이 필요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뇌졸중으로 인한 운동 관련 후유증의 한의 치료 연구에서 뇌졸중 시기 및 평가 척도에 대한 국내 문헌 고찰 (A Review of the Stroke Stage and Outcome Measures in Stroke Motor Sequelae Clinical Studies in Korea)

  • 이지은;천세은;전민결;신용진;임정태;신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56-679
    • /
    • 2022
  •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fidelity of stroke stage reporting, the timeliness of the outcome measures, and the use of the core outcome set. Methods: We searched the literature using 6 domestic databases. We selected studies that used Korean medicine interventions and targeted stroke patients with motor sequelae. We examined whether the included studies reported the stroke stage and whether they used the outcome measures in the appropriate period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of the "Stroke Evidence Database to Guide Effectiveness". We also confirmed the use of the essential assessment tools suggested by the core outcome set. Results: Overall, 77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with 16 (21%), 55 (71%), and 6 (8%) published on the acute, subacute, and chronic phases, respectively. Only 11 of the studies directly mentioned the stroke stage. The most commonly used assessments were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Modified Barthel Index, and Manual Muscle Testing. Only 5 studies failed to apply the stage-related outcome measures at the recommended period. The outcome variables used inadequately were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ies,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an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mong the core outcome set items, some studies used liver and renal function tests, but no herbal medicine safety reporting was conducted. Conclusions: In future studies, we propose to ensure accurate reporting of the stroke stage with reliable outcome measures to deliver better clinical and research outcomes. Furthermore, in future clinical studies on stroke, a standard protocol that reflects the core outcome set should be developed.

아토피피부염 피부건조 증상 개선에 대한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임상연구 (Efficacy and Safety of a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Microneedle Patch for Dry Skin in Atopic Dermatitis : A Single-blinded, Split-bo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송지훈;이기현;정민영;최정화;박수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8-95
    • /
    • 2023
  • 목적 :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피부장벽의 주요 구성성분인 각질층을 관통할 수 있어 일반적인 경피를 통한 약물 전달 수단보다 더 효율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본 임상연구는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피부 건조 증상에 대하여 용해성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외용제를 병행하여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단일 기관, 연구자 주도, 평가자 눈가림, 인체 분할 연구로 설계된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으로, 피부건조 증상이 있는 아토피피부염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한 명의 피험자에서 2곳의 시험 병변을 선택한 후, 무작위 배정으로 각각 시험 병변과 대조 병변을 결정하여 2주 동안 매일 양측 병변에 모두 아로마 크림을 도포한 다음, 시험 병변에만 용해성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추가로 부착하였다. 결과 : 1차 유효성 평가지표인 local scoring atopic dermatitis(L-SCORAD) index는 치료 후에 시험 병변이 대조 병변보다 유의성 있게 호전되었다. 2차 유효성 평가지표 중 피부 건조감 VAS와 피부 수분 함유량도 시험 병변이 대조 병변보다 유의성 있는 개선을 보였다. 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 scale, 소양감 VAS, 경피수분손실량에 있어서는 시험 병변과 대조 병변 모두 치료 후에 유의성 있게 호전되었으나, 두 병변 간의 차이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안전성도 확인되었다. 결론 : 용해성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외용제 병행치료는 외용제만 사용하였을 때보다 L-SCORAD index 및 피부 건조감 VAS, 피부 수분 함유량에 있어서 아토피피부염의 증상을 유의성 있게 개선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