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emangeum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4초

새만금 풍력발전 시범단지의 경제성 평가 재검토 연구 (A study of revaluation for wind power systems in Saemangeum demonstration site)

  • 이유나;신희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70-375
    • /
    • 2012
  • 국가개발연구원(KDI)에서는 새만금에 40MW 용량의 국산 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사업에 대한 KDI의 비용편익 분석 결과 순 현재가치가 0보다 작고, B/C 비율은 0.73으로 경제적 타당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비용과 편익을 화폐가치로 환산해 내는 비용편익분석은 여러 가지 외부효과로 인해 사업의 타당성 연구자들에 의해 주관적인 결과물이 나오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새만금 풍력발전 시범단지의 경제성 평가 재검토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경제성 평가 항목에 대하여 여러 가지 쟁점을 제시하고, 그 중에서 대기오염물질 저감 비용과 학습효과(learning effect)로 인한 비용 절감 편익을 추가적으로 산정하였다. 여기서 학습효과의 학습속도(learning rate) 를 세 가지 시나리오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두 가지의 추가 편익을 KDI의 기존 예비타당성 조사 분석에 추가한 순 현재가치는 상당한 양의 값이 나왔고, B/C 비율은 8.8 로 편익이 비용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이러한 항목들의 포함 여부에 따라 타당성 결과가 현저하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향 후 비용편익 분석이 정책 결정에 적절히 반영되기 위해서는 외부효과를 고려한 환경 비용, 그리고 학습효과와 같은 추가적인 사항들이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 시장에 기반하지 않은 이러한 외부효과로 인한 항목들은 대상과 시기에 따라 매우 다른 결과를 보여주기에 이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 PDF

우리나라 갯벌의 경제적 가치 (Economic value of the Koeran mudflat wetland)

  • 최미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9-104
    • /
    • 2004
  • 새만금 간척사업을 둘러싸고 "개발이냐 보전이냐"에 관한 사회적 논의 이후 1998년 습지보전법을 제정한 바 있다. 그 후 갯벌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만 아직까지 우리사회는 갯벌의 일반적 가치를 제시할 만한 연구의 폭과 깊이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압막 - 상태 - 영향 - 반응(P - S - I - R)을 활용하여 갯벌 생태 변화를 예측한 다음 갯벌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정책적으로 유용함을 제안한다. 한편, 우리 갯벌 가치와 관련한 선행연구결과를 검토한 결과 이를 우리 갯벌의 가치로 환산하여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한계를 감안하면서 단순평균값으로 갯벌의 가치를 도출한 결과 갯벌의 수산물생산편익은 ha당 4.994백만원, 수질정화편익은 ha당 9.757백만원의 가치를 갖는다.

  • PDF

연약지반상 PHC파일 항타력 증대장치 개발에 관한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HC pile driving force increase device on soft ground)

  • 김종길;이용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219-224
    • /
    • 2020
  • 본 연구는 연약지반상에 PHC 파일 시공시 발생하는 인장파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 균열에 의한 파일 파손 방지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선굴착 공법을 대체할 장비 개발에 목적이 있다. 연약지반상에 PHC 파일 항타 중 해머타격시 발생하는 인장파에 의해 인장 균열이 발생하며, 이는 결국 부실시공으로 이어진다. 항타시 발생하는 인장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약층에서는 별도의 항타력 증대 장치를 이용하여 인장파 발생을 방지하여 파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비 개발시 시공 속도 향상, 시공비 절감 및 소형장비를 사용할 수 있어 매연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친환경 공법이다. 본 개발 장비는 대심도 연약지반이 분포하는 새만금 간척지, 동남아시아 건설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비이다.

有限要素法을 이용한 海水流動解析 (II) (Analysis of Tidal Flow using the Frequency Domain Finite Element Method (II))

  • 권순국;고덕구;조국광;김준현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3-84
    • /
    • 1992
  • The TIDE,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simulation of tidal flow in shallow sea was tested for its applicability at the Saemangeum area. Several pre and post processors were developed to facilitate handling of the complicated and large amount of input and output data for the model developed. Also an operation scheme to run the model and the processors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of calibration test using the observed data collected at 9 points within the region, linearlized friction coefficients were adjusted to be ranged 0.0027~0.0072, and water depths below the mean sea level at every nodes were changed to be increased generally by 1 meter. Comparisons of tidal velocities between the observed and the simulated for the 5 stations were made and obtained the result that the average relative error between simulated and observed tidal velocities was 11% for the maximum velocities and 22% for the minimum, and the absolute errors were less than 0.2m/sec. Also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R.M.S. error between the velocities of observed and simulated was 0.119 m/sec and the averag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70 showing close agreement. Another comparison test was done to show the result that R.M.S. error between the simulated and the observed tidal elevations at the 4 stations was 0.476m in average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anged 0.96~0.99. Though the simulated tidal circulation pattern in the region was well agreed with the observed, the simulated tidal velocities and elevations for specific points showed some errors with the observed. It was thought that the errors main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IDE Model which was developed to solve only with the linearized scheme.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to improve the simulation results by the model, a new attempt to develop a fully nonlinear model as well as further calibration and the more reasonable generation of finite element grid would be needed.

  • PDF

자연강우에 의한 간척지토양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the reclaimed tidal land soils by precipitation)

  • 김재영;손재권;구자웅;최진규
    • 농촌계획
    • /
    • 제8권1호
    • /
    • pp.3-14
    • /
    • 2002
  •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by times of the reclaimed tidal land soils and soil surface water, underground infiltration water with precipitation-runoff on natural meteological condition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se environment-friendly farm land in the reclaimed tidal lands. The soils used in this study were saline-alkaline soils with the high $Na^+$ and $Mg^{++}$ content. A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utflow loading of nutriments through outflow water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by precipitation during the survey period, nutriments equivalent to T-N $1{\sim}2\;kg\;10a^{ -1}$ and T-P $0.01{\sim}0.02\;kg\;10a^{-1}$ from in the unripened tidal lands were discharged. Besides, the results of comparison losses of cation through outflow water showed $Na^+>\;K^+>\;Mg^{++}\;>\;Ca^{++}$, and the highest appeared water discharge of $Na^+$. In case of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soils water discharge of cations showed $Ca^{++}$ 1.3 kg $10a^{-1}$, $Mg^{++}$ 1.6 kg $10a^{-1}$, $Na^+$ 17.7 kg $10a^{-1}$, and $K^+$ 3.2 kg $10a^{-1}$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koheung reclaimed tidal lands soils water discharge of cations showed $Ca^{++}$ 18.1 kg $10a^{-1}$, $Mg^{++}$ 31.2 kg $10a^{-1}$, $Na^+$ 320.8 kg $10a^{-1}$ and $K^+$ 51.2 kg $10a^{-1}$ respectively.

방사무늬김 황백화 발생에 해양환경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a discoloration outbreak of Pyropia yezoensis)

  • 이상용;김영희;이지은;유현일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535-544
    • /
    • 2019
  • 김 황백화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김양식장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양식환경 특성과 황백화 피해 엽체의 형태 및 세포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금강 하구역에 위치한 개야도에서는 황백화가 확인되지 않았고 새만금방조제 주변의 도청리, 비안도, 무녀도와 선유도에서 황백화가 발생하였다. 김의 황백화 피해는 2011년 11월, 2014년 4월과 11월에 확인되었으며, 황백화 피해 엽체는 엽체 퇴색과 세포 내 액포 비대가 발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황백화는 DIN과 DIP의 농도가 각각 5 μM와 0.4 μM 이하에서 발생하였다. 용존무기질소(DIN)와 용존무기인(DIP)의 비를 통해 결핍된 용존무기영양염을 확인한 결과 DIN 결핍은 양식 초기, 낮은 DIP 농도는 양식 말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Inoculation with Bacillus licheniformis MH48 Promotes Nutrient Uptake in Seedlings of the Ornamental Plant Camellia japonica grown in Korean Reclaimed Coastal Lands

  • Park, Hyun-Gyu;Lee, Yong-Seong;Kim, Kil-Yong;Park, Yun-Serk;Park, Ki-Hyung;Han, Tae-Ho;Park, Chong-Min;Ahn, Young Sa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11-20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inoculation with Bacillus licheniformis MH48 as a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PGPR) could promote nutrient uptake of seedlings of the ornamental plant Camellia japonica in the Saemangeum reclaimed coastal land in Korea. B. licheniformis MH48 inoculation increased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in soils by 2.2 and 20.0 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without bacterial inoculation. In addition, B. licheniformis MH48 produced auxin, which promoted the formation of lateral roots and root hairs, decreased production of growth-inhibiting ethylene, and alleviated salt stress.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uptake of seedlings subjected to bacterial inoculation was 2.3 and 3.6 fold higher, respectively, than the control. However, B. licheniformis MH48 inocul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of seedlings. Our results suggest that inoculation with B. licheniformis MH48 can be used as a PGPR bio - enhancer to stimulate fine root development, promote nutrient uptake and alleviate salt stress in ornamental plant seedlings grown in the high-salinity conditions of reclaimed coastal land.

둥지형 동적결합 조석 모형을 이용한 황해 및 동중국해의 조석모형 (Modeling of Tide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using Dynamically Interfaced Nested Tidal Model)

  • 최병호;홍성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43-258
    • /
    • 2005
  • 경도상 $1/12^{\circ}$, 위도상 $l/15^{\circ}$의 해상도를 갖는 최병호(1990)의 2차원 황해 및 동중국해의 조석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한반도 주변해역의 정밀수심 DB(최병호 등, 2002)를 기초입력으로 하여 격자세분화 기법과 서로 다른 격자체계하에서의 다른 계간시간간격을 사용하는 해안 및 하구역 모형으로의 개선을 통하여 모형의 효율성, 사용성 및 모형영역내의 세격자 영역의 위치적 이식성을 향상시킨 둥지형 동적결합 조식모형체계를 수립하였다. 수립된 모형체계의 타당성과 적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새만금 해역을 세밀격자로서 해상시킨 수치모형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치와 관측치의 비교를 통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수립된 체계는 황해와 동중국해 대륙붕해영역내에서 위치적 이식성이 용이한 조석예보체계로서 발전될 수 있다.

생태계기반 연안관리를 위한 생태모델 개발방향에 대한 기술적 검토 - 새만금 외해역 및 금강 하구역 사례 (Technical Reviews on Ecosystem Modeling Approach and its Applicability in Ecosystem-Based Coastal Management in Saemangeum Offshore and Geum River Estuary)

  • 김해철;김용훈;장원근;류종성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3-244
    • /
    • 2015
  • 생태계기반 관리를 위해서는 정책적 활용도가 높은 생태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생태모델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복잡한 생태적 과정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며, 생태학자, 모델개발자, 이해당사자 그리고 관리자 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생태모델의 이론적 배경, 미국과 유럽의 생태모델의 최근 기술동향, 그리고 새만금 및 금강 하구역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환경현안을 다루기 위한 생태모델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술동향에서 소개된 내용은 역학모델 중심의 생태순환모델과 통계모델이며 이들의 정책 활용 잠재성을 토의하였다.

익산 밭경지 특성을 고려한 초생대 유출 및 유사 저감효과 모의 (Simulations of Reduction Effects on Runoff and Sediment for VFS Applications by Considering Uplands Characteristics in Iksan)

  • 이슬기;장정렬;최경숙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5호
    • /
    • pp.89-99
    • /
    • 2014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VFS (vegetative filter strip) applied for Iksan area in Saemangeum watershed. This study simulated runoff and sediment load from different types of uplands using VFSMOD-W. The general upl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rea was investigated to build reasonable scenarios of the simulation.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designed by various areas, shapes, and slopes of uplands. Grass mixture was selected as VFS vegetation and the size of VFS was fixed as 10 % of uplands area. Additionally 50mm, 100mm, 150mm of daily rainfall were applied for the runoff and sediment simulation. As results, the calculated runoff and sediment loads were obtained $20.7{\sim}1,030.6m^3$ and 568.4~675,731.4 kg for the range of 0.1~1.0 ha of uplands with 7 % and 15 % slopes. The reduction effects on runoff and sediment were obtained 5~10 % and 21.0~47.7 % respectively from VFS applications. The VFSMOD-W simulations showed that runoff tended to increase as upland area and amount of rainfall increased while sediment increased when slope, length and area of uplands and amount of rainfall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rainfall amount and upland size are the critical factors for the generation of runoff and sediment load. In order to support this conclusion, further studies such as, long term monitoring, field experiments, and to calibrate and evaluate the model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