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ccharomyces

검색결과 1,703건 처리시간 0.023초

간장발효에 관여하는 효모에 관한 연구 (제2보) -간장 덧 중에 생육하는 효모에 대하여- (Studies on the Yeasts for the Brewing of Soy Sauce(2)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yeasts in the soy sauce mash-)

  • 이택수;이석건;신보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2호
    • /
    • pp.171-180
    • /
    • 1970
  • 간장덧중에 생육하는 효모를 경시적으로 계수 및 분리동정 하고 TTC 정색에 의하여 유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장덧 1ml중에 생육하는 일반효모의 수는 담금직후 $127{\times}10^3$, 1개월후 $86{\times}10^3$, 3개월후 $356{\times}10^3$, 6개월후 $1250{\times}10^3$, 2년후 $65{\times}10^3$ 개로 나타났고 내염성효모수는 담금직후 0, 1개월후 $40{\times}10^3$, 3개월후 $81{\times}10^3$, 6개월후 $358{\times}10^3$, 2년후 $23{\times}10^3$개 로서 일반효모와 내염성효모 다 같이 담금초에서 숙성기 까지 상승하였다가 후숙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간장덧으로 부터 경시적으로 임의 분리한 50주의 효모를 동정한 결과 Saccharomyces rouxii 10주, Saccharomyces marxianus 1주, Saccharomyces rosei 3주, Saccharomyces fermentati 1주, Saccharomyces mellis 6주, Saccharomyces acidifaciens 1주, Saccharomyces pastori 1주, Pichia polymorpha 3주, Hansenula anomala 2주, Hansenula saturnus 1주, Hansenula suaveolens 2주, Nadosonia fulvescens 5주, Debaryomyces hansenii 8주, Debaryomyces nicotianae 1주, Debaryomyces kloeckeri 1주, Torulopsis sake 2주, Torulopsis holmii 1주, Candida pelliculosa 1주등 7속 18종으로 동정 되었다. (3) 담금기간에 의한 효모의 분포는 담금초에 Saccharomyces rouxii, Saccharomyces marxianus, Saccharomyces rosei, Pichia polymorpha, Hansenula suaveolens, Hansenula saturnus, Debaryomyces hansenii, Torulopsis sake, Candida pelliculosa, Debaryomyces nicotianae, Nadsonia fulvescens 등이 생육하고 숙성기에 Saccharomyces rouxii, Saccharvmyces rosei, Saccharomyces fermentati, Saccharomyces mellis, Saccharomyces pastori, Hansenula anomala, Saccharomyces acidifaciens, Debaryomyces hansenii 등이 생육하고 후숙기에는 Saccharomyces rouxii, Saccharomyces mellis, Nadsonia fulvescens, Debaryomyces hansenii, Debaryomyces kloeckeri, Torulopsis sake, Torulopsis holmii 등이 생육하였다. (4) 담금초기에는 TTC white 효모가 많이 나타났고 발효기 와 후숙기에는 TTC red 효모가 50% 이상을 차지 하였다. (5) 동정한 이들 효모를 TTC 정색에 따라 유별한 결과 Saccharomyces mellis, Saccharomyces pastori는 TIC red로, Saccharomyces acidifaciens는 red pink. Hansenula saturnus, Debaryomyces kloeckeri, Torulopsis holmii는 pink, Saccharomyces marxianus, Nadsonia fulvescens는 white로 각각 나타났고 기타는 전보의 결과와 같았다. Saccharomyces rouxii대부분이 red였으나 red pink로 나타난 것도 있었다, (6) 간장덧중에 생육하는 효모의 종류는 국중에 생육하는 효모의 종류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국효모는 대부분이 내염성이 없었고 간장덧중의 효모는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라 내염성 효모수가 증가 되었다.

  • PDF

김치로부터 분리한 효모가 생산하는 휘발성 화합물이 김치의 풍미에 미치는 효과

  • 김혜자;양차범;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2-518
    • /
    • 1996
  • Eleven strains had been previously isolated from kimchi and identified in our laboratory. The ability of each strain in aroma production was investigated by sensory evaluation. Among them Saccharomyc s sp. YK-17, Saccharomyces sp. YK-18, Saccharomyces sp. YH-3 and Saccharomyces fermentati YK-19 produced fruity flavour. Especially, Saccharomyces fermentati YK-19 produced apple and pineapple-like flavours. Pichia media YK-11, Saccharomyces sp. YK-20 and Pichia chambardii YH-4 produced wine-like flavour. Debaryomyces sp. YK-6, Debarymyces coudertii YK-10, Saccharomyces sp. YK-12 and Pichia haplophilia YH-5 produced alcoholic flavours. Using the good flavour producing strains as starters, various groups of kimchi were fermented, an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uch as odor, taste and total acceptability were evaluated. The acidic odor, moldy odor and taste were reduced by adding starter, while the fresh sourness odor and taste similar to fruity fiavour were increased by starter.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odor, taste and total acceptability were increased in the starter-added groups, such as Pichia edia YK-11, Saccharomyces sp. YK-17, and Saccharomyces,fermentati YK- 19. Saccharomyces fermentati YK-19 added kimchi group was higher siginificantly (P<0.05) than the others at the total acceptability. Volatile compounds of the culture broth of Saccharomyces fermentati YK-19 were analysed by gas chromatography, and 6 species of esters and 4 species of alcohols were identified. Among them, the ester substances which broth largely responsible for the apple-like flavour in the sensory evaluation, were found to be ethyl 2-methyl butvrate, ethyl pentanoate and ethyl acetate.

  • PDF

전분분해활성과 알코올 발효능을 보유한 효모의 육종 (Breeding of Yeast Strain with Starch Utilizing and Alcohol Fermenting Ability by Protoplast Fusion)

  • 주민노;홍성욱;김관태;염성관;김계원;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8-164
    • /
    • 2008
  • Saccharomyces diastaticus KCTC 1804 균주와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 균주를 이용하여 전분분해활성과 알코올 발효능을 동시에 가지는 효모융합체를 개발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 균주의 단수체 유도를 통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 KH-12 균주를 획득하였다. EMS를 사용한 돌연변이 유발을 통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 KH-12 균주의 Met 영양요구성 변이주를 획득하였다. Lyticase 처리로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 $(Met^-)$, Saccharomyces diastaticus KCTC 1804$(Trp^-)$ 균주의 원형질체 형성률은 각각 90.5%, 97.7%로 관찰되었다. 원형질체 융합은 polyethylene glycol 4,00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이때 원형질체 융합율은 $1.79{\times}10^{-4}$으로 관찰되었다. 원형질체융합과정을 통해 총 1,000주의 융합체를 획득하였고, 획득한 융합체의 전분분해능과 알코올발효능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전분배지 YPS24에서 알코올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효모융합체인 FA 776을 최종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효모융합체 FA 776은 10세대 계대배양 후의 revertent 복귀율이 4.64%로 유전적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효모융합체의 total DNA 함량을 비교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로부터 분리된 단수체 효모 KH-12는 26.56 fg/cell, Saccharomyces diastaticus KCTC 1804 균주는 25.40 fg/cell이었고, 이들을 사용해서 얻어진 융합체 FA 776의 DNA함량은 42.67 fg/cell이었다. 전분배지 YPS24배지에서 60시간 발효하였을때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 균주는 알코올 생성하지 못하였지만 효모융합체 FA 776은 13 mg/mL의 알코올을 생성하였다. 이는 전분이용성 효모인 Saccharomyces diastaticus KCTC 1804 균주에 비해 1.86배나 향상된 알코올 발효능을 나타냈다.

Ammonium thiocyanate 농도가 주정효모(Saccharomyces brenerei Hefe-Rasse XII, Saccharomyces formosensis No. 396 IAM) 및 맥주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IAM)의 발효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ammonium thiocyanate on the fermentation of the yeasts.(Saccharomyces brenerei-Hefe-Rasse XII, Saccharomyces formosensis No. 396 IA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IAM))

  • 조운복;이상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9-35
    • /
    • 1968
  • There are many reports on the effect of salts to the fermentation of the yeasts, but there are a few reports on the effect of the ammonium thiocyanate(NH$_4CNS$) on the fermentation of the yeasts(Saccharomyces brenerei-Hefe-Rasse X11, Saccharomyces formosensis No. 396 IA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IAM). A study has been made on the effects of the ammonium thiocyanate on the fermentation of the above yeas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belows: 1) The addition of 0. 00001 mol. of ammonium thiocyanate makes the fermentation of the yeast(Sacch. formosensis No. 39 IAM) facilitate, but has not influenced the another yeast (Sacch. brenerei-Hefe-Rasse XII). 2) The addition of 0. 001 mol. of ammonium thiocyanate makes fermentation of Rases XII the fastest, but the on other yeast (Sacch. formosensis No - 396 IAM) was accelerated by the addition of 0. 1 mol., and it seems to have abnormal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0. 0001 mol. The addition of ammonium thiocyanate(0. 00001-0. 001 mol.) inhibited the fermentatirn of the yeast(Sacch. cerevisiae IAM), but the concentration of 0. 1 mol. does not interrupt the fermentation of Sacch. cerevisiae IAM and increased the fermentation. 3) The order of effects to the fermentation of each yeast is Sacch. brenerei-Hefe-Rasse XII, Sacch. formosensis No. 396 IAM, Sacch. cerevisiae IAM.

  • PDF

야생 효모 종류에 따른 알코올 발효 특성 (Characterization of Ethanol Fermentation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 백성열;이유정;김명동;이재형;문지영;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7-235
    • /
    • 2015
  •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 12 균주의 주류 제조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알코올 발효에 관여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알코올 및 당 내성을 조사한 후, 당화액을 제조하여 pH, 고형분 함량, 적정산도, 아미노산도, 알코올, 유기산 및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였다. S. cerevisiae 효모의 알코올 내성은 10%에서 보였으나 non-Saccharomyces 효모는 P. kudriavzevii N77-4를 제외하고 내성이 낮았다. 당 내성은 H. opuntiae HP1-2, C. tropicalis Y447을 제외한 효모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야생 효모를 이용한 알코올 발효액의 pH는 3.01−3.61, 고형분 함량은 8.73−13.10°Brix로 S. cerevisiae보다 non-Saccharomyces가 높았다. 적정산도는 0.25−0.33%로, 아미노산도는 1.61−2.61 g/100 ml으로 non-Saccharomyces 효모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함량은 2.25−8.5%로 S. cerevisiae에 비해 non-Saccharomyces 효모가 매우 낮았다. 야생 효모로 알코올 발효시 유기산은 사과산, 초산, 호박산 등이 증가하였고, 그 중 P. kudriavzevii N77-4는 낮은 초산 함량과 높은 사과산 및 호박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당화액을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DF1의 오른쪽 범주에 속했으며, 효모 발효액은 DF1의 왼쪽 범주에 속하여 발효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non-Saccharomyces 효모에서 ethyl acetate가, S. cerevisiae 효모는 ethanol 화합물이 높은 향기성분을 나타내었다.

메주에서 분리한 고온성 효모 Sccharomyces cerevisiae OE-16 의 생리적 특성과 알코올발효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thanol Fermentation of Thermo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from Traditional Meju)

  • 김나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90-495
    • /
    • 1999
  • A thermo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was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was investigated on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thanol fermentation ability.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were able to grow up to 45$^{\circ}C$ and 40% of glucose.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was also resistant to 15% of KCl 1,200ppm of Pb2+, Hg2+ and 500ppm of potassium sorbate. From 20% glucose media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produced 83.4g per liter of ethanol at 3$0^{\circ}C$ and 9.5g per liter of ethanol at 4$0^{\circ}C$ for 72 hours.

  • PDF

대두유에서의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혼합배양에 관한 연구 (Study on Mixed Culture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in Soymilk)

  • 유주현;오두환;공인수;박영서;임홍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1-135
    • /
    • 1988
  • Lactobacillus acidophilus KFCC12731과 Saccharomyces cerevisiae KFCC32017을 두유 배지에 접종하여 산생성 조건을 검토하였다. L. acidophilus를 단독배양하는 것보다 S. cerevisiae와 혼합배양하는 것이 산생성이 많았다. 이 두 균을 대두유 배지에 혼합배양하였을 경우 최적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두유에 sucrose를 1,5% 또는 skim milk를 2.0~3.0% 첨가하고 L. acidophilus와 S. cerevisiae의 접종비율은 OD 600 값으로 3 : 7~8 : 2가 되게 접종하여 34$^{\circ}C$에서 12시간 이상 배양할 때 산생성이 최대가 되었다.

  • PDF

대두유를 이용한 Lactobacillus casei와 Saccharomyces uvarum의 젖산발효 조건

  • 유주현;구본탁;염도영;이정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0.2-530
    • /
    • 1986
  • 젖산균 Lactobacillus casei와 Saccharomyces uvarum을 사용하여 대두유중에서의 최적 젖산발효조건을 검토하였다. 젖산발효 중의 온도의 영향은 Saccharomyces uvarum과의 혼합배양에서 37-4$0^{\circ}C$가 가장 좋았다. 배양시간은 24시간일때, Lactobacillus casei 와 Saccharomyces uvarum 의 접종비는 2:1일때 산생성이 가장 좋았다. Sucrose와 skim milk의 혼합배양시 대두유의 젖산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sucrose의 경우 1.0% 첨가하였을 때 산생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skim milk를 첨가했을 때는 첨가하지 않고 배양했을 때와 비교하여 별다른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 PDF

질산염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발효작용에 미치는 영향

  • 김상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5.3-115
    • /
    • 1979
  • 중금속을 함유한 13종의 질산염을 명 농도별로 첨가하여 주정효모 Saccharomyces cerevisine의 주정생산과 발효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일반적으로 중금속을 함유한 질산염은 그 첨가량이 0.0001mo1. 보다 고농도일수록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발효작용을 점차 억제하였다. 2. Nickel nitrate, chromium nitrate들의 0.0001 moi.의 첨가는 Saccharomyces cerevisiae의 alcohol 발효작용을 약간촉진시켰다. 3. Cadmium nitrate 0.001mo1. 이상, cupric nit-rate, nickel nitrate, cobalt nitrate 0.01mo1. 이상, 그리고 silver nitrate, mercurous nitrate, manganese nitrate, zinc nitrate, lead nitrate, chromiun nitrate, ferric nitrate, bismuth nitrate 0.1mol. 의 농도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 의 발효작용은 완전히 조지되었다.

  • PDF

Saccharomyces uvarum과 Zymomonas mobilis간의 경쟁적 상호작용 (Possible Competition between S. uvarum and Z. mobilis)

  • 이재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4-396
    • /
    • 1982
  • 발효로부터 생성되는 에타놀에 의해서 균체성장속도가 제한되는 연속식 배양 시스템에서, 에타놀 생성균주인 Saccharomyces uvarum과 Zymomonas mobilisrks의 경쟁적 상호 작용을 연구한 결과 Zymomonas mobilis가 Saccharomyces uvarum에 비하여 에타놀에 대한 내성(耐性)이 크기 때문에 Zymomonas mobilis 만이 생존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