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 Teaching Efficac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 교사의 변인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상관 분석 (An Correlation Analysis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 Variables)

  • 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13-21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초등 현직 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검사지(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E-TEBI) 조사 결과에 따라 교사의 성별, 지역, 경력, 연수 경험 및 시간, SW 교육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SE-TE)에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SW 교육에 대한 태도였으며, 그 다음의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연수 경험 및 시간이었다. 성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역과 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초등 교사의 SE-TE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SW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수 경험을 제공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 PDF

현직 초등 교사의 변인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SE-TE) 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Variables of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소율;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들의 성별, 지역, 교육 경력, 연수 경험의 유무 및 시간, SW 교육에 대한 태도를 변인으로 선정하여, 변인에 따른 SW 교육 교수효능감(SE-TE)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수 경험의 유무 및 시간과 SW 교육에 대한 태도가 SW 교육 교수효능감에 가장 상관과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들의 SE-TE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SW 교육 연수 기회의 확대 및 지속적인 연수의 제공과 효율적인 연수 시간의 운영, 그리고 교사의 개인적 SW교육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연수가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했다.

초등 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EPL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of Teachers' Training Course about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to Enhance Informatics Teaching Efficac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소율;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5-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SW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 EPL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TPACK 프레임워크의 요소를 고려하여 개발하였고, 실험집단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정보 교수효능감 사후검사의 t검정 결과, t=4.13(p<.001)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의 종속표본 t검정 결과 t=4.57(p< .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다. 실험집단은 SW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을 이론적인 습득만 하는 것이 아니라,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와 실습 기회가 연수 과정 전반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정보 교수효능감 함양에 효과적이었다고 분석된다. 이는 향후의 SW교육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서도 TPACK 프레임워크 요소를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비 정보과 교사의 SW 교육 교수효능감 함양을 위한 팀 프로젝트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eam Project base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Software Teaching Efficacy of Non-professional Teachers in Informatics)

  • 이소율;이은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387-38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비 정보과 교사들의 효과적인 SW 교육 교수효능감 함양을 위하여 팀 프로젝트 기반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 내용은 융합교육 및 팀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학, 과학, 정보 등이 융합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습한 뒤, 직접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의 설계 및 개발과 발표, 동료 평가 및 피드백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10주간 비 정보과 교사들에게 처치되었고, 사전-사후 t-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실험은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추후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하여 향상에 대한 통계적 비교가 필요로 된다.

  • PDF

SW교육 기초 연수를 수강하는 초등학교 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 분석 (Analysis on the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SW Education Basic Training)

  • 전용주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69-172
    • /
    • 2018
  • 본 연구는 SW교육 기초연수를 수강하는 SW교육 초급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고, 그 현황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수강자의 SW교육 교수효능감을 신장시킬 수 있는 연수를 기획 및 수행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SW교육 기초연수에 참가한 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 중에서 교사 자신의 교수능력에 대한 개인적 판단인 개인효능 영역에서 연령, SW교육 경험에 따라 큰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SW교육 기초연수에서 5년 미만의 저경력 또는 20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와 SW교육 경험이 전혀 없는 교사의 개인효능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이를 연수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Computational Thinking 증진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의 효과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Learner-Centered Learning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 김수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23-33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SW 교육의 목표인 Computational Thinking(CT)의 증진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컴퓨터 비전공자들이 CT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쉽고 재미있는 교육내용과 함께 적절한 교수학습 전략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비전공자를 위한 CT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인 협력, 공유, 자기주도학습 등의 요소를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CT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은 컴퓨터 비전공 학습자들의 재미와 흥미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후속 학습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은 CT 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백워드 설계 기반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SE-T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SE-TE) of In-service Teachers on Backward Design based TPACK-P Teachers' Training Program)

  • 이소율;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13-12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정보 교육 수업 전문성 함양을 위하여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TPACK-P 교육 프로그램에 백워드 설계의 이해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설계하였다. 이를 비정보과 교사를 대상으로 32시간의 교사 연수를 실시한 결과, 교사들은 SW교육 교수 효능감 측정도구(SE-TEBI)의 사후 검사 결과가 사전 검사에 비해 SE-TE 전체 값(t=-3.541, p<.01) 및 하위 범주인 개인효능(t=-3.559, p<.01), 결과기대(t=-2.258, p<.05)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백워드 설계 기반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정보 교육에 대한 수업 전문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교사들의 개인효능(PSETE)이 결과기대(SEOE)보다 낮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수업에 대한 자신감의 부족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수업 자신감을 촉진할 수 있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비 정보과 교사를 위한 로봇활용 SW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정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W teachers'training course using robots for non-informatics teachers on informatics teaching efficacy)

  • 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95-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비 정보과 교사를 위한 로봇활용 SW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비 정보과 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정보 교수효능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전에 비해 사후의 검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비 정보과 교사를 위한 로봇활용 SW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정보 교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 PDF

초등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 측정 검사도구 개정을 위한 방향성 고찰 (A directional study of revising infor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19-220
    • /
    • 2017
  • 2015개정 교육과정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초등에서도 정보 교육이 실시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초등 교사의 정보 교수 역량 정도를 살펴보거나 연수 후 연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검사도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 개발된 초등교사의 정보 교수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정보 교수효능감 검사도구 개정의 네 가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초등 SW교육 핵심교원 양성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분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Training Program for Core Teachers of Elementary SW Education)

  • 박세영;전용주;서정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1-4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SW교육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초등 SW교육 핵심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전국 단위 직무연수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개발 방향 설정, 파일럿 연수 진행, 연수 최종안 적용 및 추가보완의 과정을 거쳤으며,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을 교육부 주관 2019년 동계 및 하계 직무연수에 적용 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SW교육 교수효능감, 만족도 조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