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EP 분석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7초

Corm Steep Liquor를 이용한 젖산균이 생산배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Medium of Lactic Acid Bacterial Cells by Using Corn Steep Liquor)

  • 안영태;김근배;인영민;정석근;함준상;김동운;이경욱;김선기;김현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1-191
    • /
    • 2000
  • 젖산균의 생장을 위한 질소, 탄소 공급원으로서 corn steep liquor의 이용 가능성을 시험하고 반응 표면 분석(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이용하여 젖산균의 최적 생상 배지 조성을 연구하였다. 반응 표면 분석에서 L.fermentum의 생장배지에 첨가되 corn steep liquor와 yeast extract의 농도(p<0.01) 그리고 corn steep liquor와 yeast extract의 교호작용(P<0.05)이 L.ferm-entum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생균수가 최대인 corn steep liquor의 함량은 10.77%, yeast extract는 3.39%.Tween 80은 1.69%으로 예측되었다. 한편, Lc, lactis ssp. lactis 의 생장배지는 corn steep liquor 의 농도(P<0.01) 그리고 corn steep li-quor와 $\beta$-glycerophosphate disodium salt의 교호작용(P<0.05)인 Lc. lactis ssp. lactis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생균수가 최대인 corn steep liquor의 함량은 3.5%, $\beta$-glycerophosphate disodium salt는 4.38%로 예측되었다. MRS broth와 예측된 최적 배지에서 L.fermentum의 젖산과 초산의 생성량은 각각 0.166, 0.114과 0.273, 0.081 M이고 M 17glc broth와 최적배지에서 Lc. lacti ssp. lactis의 젖산과 초산의 생성량은 각각 0.089, 0.003과 0.189, 0.003M이었다. 따라서 corn steep liquor는 L. fermentum와 Lc. lactis ssp, lactis 의 생장을 위해 질소 또는 탄소 공급원으로서 배지에 첨가 될 수 있는 우수한 농업 부산물로 판단되었다.

  • PDF

STEEP 분석을 통한 도심항공교통(UAM) 디자인 활용방안 (Design Application for Urban Air Mobility(UAM) by STEEP Analysis)

  • 이동훈;박해림
    • 서비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94-105
    • /
    • 2022
  • 도심항공교통(UAM)은 전 세계 주요 도시의 인구 과밀화로 인한 지상 교통수단 포화의 대안으로 eVTOL을 활용한 도심 내 3차원 교통수단이다. 교통수단의 발전에서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역할을 해왔으며, 곧 상용화될 UAM의 디자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현상 분석을 통해 미래환경을 예측하고 디자인의 활용방안에 관하여 선행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UAM을 대상으로 STEEP 분석을 하여 메가 트렌드를 도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UAM 분야에서 디자인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UAM에 관한 선행문헌을 분석하여 UAM의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였다. 둘째, STEEP 분석을 통해 UAM 중심의 미래환경 5대 트렌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활용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디자인 분야별(제품, 시각, 영상, 환경, 서비스) 전문가 5명과 STEEP 분석의 결과를 중심으로 디자인 활용방안에 대하여 토의하여 UAM 분야의 디자인 분야별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TEEP 분석의 결과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디자인 분야는 제품 디자인과 서비스 디자인으로 구분되고 이와 관련된 디자인 개발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본 연구에서 디자인 활용방안으로 제시된 UAM의 정보제공 방안과 표시방법, 이용 과정에 대한 분석 후 고객 맞춤 서비스 디자인 등 UAM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디자인 연구와 연계되어 UAM을 상용화하기 위한 기반환경 구축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급경사지 유지관리 및 피해조사를 위한 Mobile System 개발 (Development of a Mobile System for Investigating and Maintaining Steep Slopes)

  • 송영갑;김태훈;오정림;손영진
    • 지질공학
    • /
    • 제22권2호
    • /
    • pp.185-194
    • /
    • 2012
  • 급경사지 피해증가에도 불구하고 사면조사 전문인력 부족 및 조사부분의 기술이 정량화하지 못해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험 급경사지에 대한 과학적인 현장조사 및 평가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기존 야장기입에 의한 조사방식에서 탈피하여 현장조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증대시킬 수 있는 급경사지 유지관리 및 피해조사를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급경사지 현장조사 및 실내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선정 하였으며, 급경사지 조사 자료를 기입할 수 있는 '현장정보 입력시스템'과 확보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시스템'으로 구성된 '모바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바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급경사지 붕괴가 발생한 현장에 적용하여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바일 시스템을 통해 현장조사 소요시간과 인력을 절감하고 급경사지 관리, 분석, 피해예방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GIS를 활용한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 인접 급경사지 평가 (Evaluation of Steep Slopes Adjacent to Multi-use Facilities in National Parks using GIS)

  • 이동혁;전계원;정민진;박준효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29-36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비탈면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 동해안 및 부산지역 사면붕괴 발생 및 2020 곡성 산사태 등 급경사지 재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국립공원은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졌으며 급경사지 재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국립공원의 지반은 노령화 되고 기후변화로 인해 암반의 풍화 및 절리가 가속화되고 있어 사면붕괴 및 낙석이 증가하고 연간 탐방 객수는 증가하는 추세로 이용자수가 많은 다중이용시설에 인접한 급경사지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활용해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급경사지를 분석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 인접 급경사지를 추출하기 위한 과정으로 DEM에서 경사도를 제작하고 34도 이상인 사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사면의 최대높이와 최소높이 차이로 급경사지 기준에 부합하는 사면을 확인하였으며 사면방향 분석을 통해 다중이용시설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정밀 항공영상과 현장사진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4개소의 위험지점을 확인하였으며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4개소 모두 급경사지로 나타났으며 3개소는 D등급, 1개소는 C등급으로 나타나 붕괴위험지역으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GIS를 통해 추출한 급경사지 모두 위험한 것으로 나타나 GIS를 통한 급경사지 추출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집중호우시 급경사지 붕괴발생 원인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of Steep Slope Failure induced Heavy Rainfall)

  • 류지협;임익현;황의진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7-74
    • /
    • 2011
  • 본 연구는 집중호우로 발생한 급경사지 붕괴의 발생원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급경사지 붕괴의 발생원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2009년 7월에 발생한 급경사지 붕괴현장에 대한 정밀조사를 시행하였다. 급경사지 붕괴의 직접적인 원인은 우기철 선행강우 이후의 집중호우로 판단되며, 산지배수로, 도수로 등 각종 배수로의 기능상실 및 불량, 비탈면의 풍화토 및 풍화암에 대한 풍화특성을 고려않는 사변설계, 도로에 매설된 우수관의 단면부족, 비탈면내 수목뿌리의 지반 교란, 급경사지의 지형 및 지반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보강공법 적용 등이 급경사지 붕괴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 PDF

자율주행차 인테리어 디자인서비스 개발연구 - STEEP 분석 기법을 적용한 사례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ior Design Service for Autonomous Vehicles - Focusing on STEEP analysis Techniques -)

  • 강태호;조정형
    • 서비스연구
    • /
    • 제11권3호
    • /
    • pp.43-54
    • /
    • 2021
  • 본 연구는 자율주행시대에 적합한 차량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중에서 실내 공간, 편의장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STEEP 분석법을 적용하여 미래 자동차 실내디자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레이아웃의 재배치와 운전자 중심의 정보 제공 목적으로 설치되었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커넥티드, 인포테인먼트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디스플레이의 종류와 설치 위치에 대한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이런 분석을 통해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지내게 되는 실내 인테리어 연구를 통한 트렌드와 경험을 연구함으로서 이후 후속연구에서는 실제 개발과 응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5단계로 진행한 연구 과제를 STEEP과 연계하는 미래트렌드 도출과 FGI를 통한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핵심동인을 추출 하였다. 이를 통해 이후 실내디자인에 하나의 방향으로 제시했다. 사용자 중심의 참여형 디자인 방법을 통해 자율주행차에서 기대 할 수 있는 체험과 경험을 위주로 감성적인 키워드 도출법을 사용하였다, 도출된 동인을 미래사회 5대 트렌드와 묶어서 요약정리 하였고 각 도출된 동인들에는 해당되는 기술 분야를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그룹핑을 했으며, 자율주행 Level에 따라 수요자가 경험할 수 있는 요소를 더하기도 했다. 이는 미래 자율주행차 산업은 개인적 성향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관점에서 바라본 실내 레이아웃, 편의장치 등의 서비스디자인 트렌드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서 보다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스타벅스의 성장배경분석 : STEEP을 기초하여 (Starbucks Growth Background Analysis: Based on STEEP analysis)

  • 이종현;박상현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1호
    • /
    • pp.9-15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커피산업에서 경쟁력 있는 기업인 스타벅스의 성장배경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STEE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기업이 보유한 각각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결과를 경쟁력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이 높아져옴에 따라 여성에 경제적 활동이 기폭제 역할을 해왔다. 또한 과거 커피문화의 경우 자판기 믹스커피 문화에서 문화공간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소비시장으로 변모함을 간파해온 스타벅스 대응전략이 유효하였다. 기술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프랜차이점 원두 맛에 일률적 표준화를 확보하여 편차를 줄여왔으며 매장을 직영으로 운영함으로서 표준화된 운영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커피 소비시장이 확장세를 이어옴에 따라 시장전체 크기 또한 비례적으로 커져 안정적인 성장환경이 형성되어왔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정책적 측면을 살펴보면, 최근 친환경성을 강조한 정책방향을 간파하고 시장 선두기업으로서 친환경 기업으로서의 정책 활동에 기초한 마케팅 전략방향이 주요해왔다는 점이다.

부직포를 활용한 급경사 녹화보강토공법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Application Possibility of Afforestation Reinforced Soil Steep Slope by Nonwoven Geotextile)

  • 조용성;구호본;이춘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C호
    • /
    • pp.239-245
    • /
    • 2006
  • 선진국 진입의 길목에 있는 우리나라는 급경사면 축조 및 유지관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나, 급경사면 축조를 위해 철근콘크리트 옹벽이나 보강토 옹벽(블럭식, 판넬식) 등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체는 전면형태가 콘크리트 벽체로서 미관의 한계성과 친환경성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녹화를 병행할 수 있는 식생토체를 형성하고 현장에서 발생된 불량토를 보강재(부직포) 감싸기(wrapping)방법을 적용한 $80^{\circ}$의 급경사 성토체를 현장에서 직접 축조하였으며, 보강성토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수평변위, 침하량 및 법면에서 발생된 토압 등에 대한 계측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보강성토체의 계측 및 시간경과에 따른 법면의 식생활착 등에 대한 조사결과, 향후 녹화가 가능한 급경사 보강토 구조물에 대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강우침투 메커니즘을 이용한 급경사지 붕괴예측 I-D 기준식 제안 (Recommendation of I-D Criterion for Steep-Slope Failure Estimation Considering Rainfall Infiltration Mechanism)

  • 송영갑;김영욱;김동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65-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자연재해 및 급경사지 재해 사망자 현황을 분석하고, 급경사지 붕괴사례를 대상으로 강우특성과 기반암 풍화토에 따른 재해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급경사지 붕괴 예측 기준을 고찰하여 한계점을 도출하고, 불포화 무한사면 안정이론을 도입하여 급경사지 붕괴예측 기준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지반의 경사, 수리적-역학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불포화 무한사면의 안정이론을 이용하여 안정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산정된 안전율에 안전수준을 나타낼 수 있는 경계기준을 제시하여 급경사지 붕괴예측 기준을 제안하였다. 또한 급경사지 붕괴 위험단계에 해당하는 강우량을 Intensity-Duration 기준 수식으로 제시하였다.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비전 및 주요전략 도출 (Derivation of a Vision and Major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Smart City)

  • 현창택;왕지환;김승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64-75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여 각종 사회문제와 부작용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하여 스마트시티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각 부처별로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비전 및 전략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부처별 입장에서 제시되는 한계점을 보이고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비전과 핵심전략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시티의 현황 분석과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비전을 설정하였다. 또한 국내외 스마트시티 현황 분석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STEEP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과지도를 작성하여, 스마트시티 비전 달성을 위한 주요전략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마트시티 비전 및 주요전략들은 성공적인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