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CW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2초

Suggestions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Engineering Communication Phrases

  • Doo, Hyun-Wook;Choi, Seung-Hee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35
    • /
    • 2017
  • Under the STCW Convention, marine engineers are required to have a satisfactory level of maritime English proficiency so that they can successfully perform their duties on board or maintain and operate the various equipment and facilities installed in the ship. More specifically, the importance of the engineers' written communication skills has been highlighted since their documents (for instance, post-work records, legal, and/or internal reports) have a significant legal impact in the event of a marine casualty or maritime crime.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tandard engineering logbook phrases (SELP), therefore, this paper will closely analyse three-month authentic marine engineers' work records written by Korean officers. From the analysis, the problems and errors in the logbook will be analysed, and consideration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evelopment of SELP will be illustrated. Finally, the future actions for this standardised written communication for the logbook entry will be sought.

  • PDF

해난사고 분석을 위한 Full-mission Shiphandling Simulator(FMSS)시연

  • 이동섭;강정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7-88
    • /
    • 2011
  • 다기능 선박조종시뮬레이터(Full-mission Shiphandling Simulator)를 이용한 사고분석 방법을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이 보유한 DNV(Det Norske Veritas)선급에서 "Integrated Simulator System, NAUT AW(SIM), DYNPOS-AUT(SIM), HSC, TUG, ICE" Class로 인정하고, STCW 협약 Regulation I/12를 충족한 Russia TRANSAS사의 "NAVI-TRAINER PROFESSIONAL 5000 NTPRO 5000" Full-mission Shiphandling Simulator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 PDF

선박 자동화 수준에 따른 필요 해기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 안영중;이윤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0-152
    • /
    • 2018
  • 국제해사기구의 MSC 98차 회의에서 새로운 도출 의제로 MASS(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가 포함됨에 따라 선박 자동화와 무인화는 해상분야의 국제적인 이슈로 떠올랐다. 유럽의 선급과 연구소 및 제조사 등은 선박자동화의 수준을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으나 기술요소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선원의 역할과 교육분야에 대한 고려는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화 수준에 따라 항해사 또는 육상관리자에게 요구되는 해기능력을 식별하여 각 면허에 대한 적용안과 교육 및 양성에 필요한 기초연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선박 자동화 수준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조사하고, 현재 항해사 및 선장 에게 요구되는 STCW 해기능력을 항목화 하였다. 선박의 자동화와 원격운항의 적용에 따라 제외되거나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해기능력을 식별하고 자동화 수준별로 분류하였다. 제시된 해기능력과 면허의 구분에 대한 안을 기반으로 업계와 해기교육기관 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선박자동화와 인적요소에 대한 자동화 수준의 명확한 정의가 필요할 것이다.

  • PDF

Comparative Review of Maritime Transportation Education Between Korea and the Philippines

  • Dimailig, Orlando S.;Jeong, Jae-Yong;Kim, Chul-Seung;Jeong, Jung-Sik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1-99
    • /
    • 2008
  • This paper compares the maritime education of two traditionally maritime countries, Korea and the Philippines, specifically, in their maritime transportation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review focus on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MU) and the Philippine Merchant Marine Academy (PMMA). The paper presents the curricular and training programs of both institutions and shows the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designs and methodology of delivery as contained in the requirements of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1978, as amended in 1995 (STCW 95). It also illustrates the social climate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attitude of maritime community in relation with the maritime programs offered by the institutions towards the quality of the fresh maritime graduates.

  • PDF

자율운항선박 IMO RSE 작업 및 임시운항 지침개발 연구

  • 채종주;김창우;김홍범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8-219
    • /
    • 2019
  • 현재 IMO MSC, LEG 및 FAL 등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을 위해 IMO 국제협약에 대한 규정검토작업(RSE)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이 참여하고 있는 자율운항선박 규정 검토 작업에서 STCW 1978, as amended, SOLAS 제9장 ISM code 및 자율운항선박 임시운항지침 개발에 대한 여러 논의 사항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대한민국의 대응 사항을 분석하여 지속적인 대응 방안에 대한 안을 제시한다. STCW 1978, as amended는 미국이 주도하고 한국 및 러시아 등이 지원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SOLAS 제9장은 노르웨이 주도로 대한민국이 지원하고 있다. 더불어 MASS 임시운항 지침은 노르웨이가 주도하여 비공식 작업반을 통해 개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MSC 101차 회의에 동 문서를 공동으로 제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및 역할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관련 산업 생태계를 고려하여 추후 다양하게 논의될 MASS관련 기술, 정책, 교육 및 R & D에 적극적이고 선제적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

  • PDF

Assessment on Mariner's Competency

  • Kobayashi, Hiroaki;Ishibashi, Atsushi;Nishimura, Tomohisa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Asia Navigation Conference
    • /
    • pp.129-138
    • /
    • 2004
  • Recently, maintenance of clean ocean is very important issue. One part of the issue strongly relates to the safe navigation of vessels. Most parts of safe navigation depend on the mariner's competencies. STCW was established to guarantee the sufficient mariner's competencies. However the code dose not indicate the each necessary competency clearly. Therefore, the understandings on STCW are not same among training institutes, and each training institute interprets them individually and executes them. As a result, it makes big differences among the institutes concerning training methods and contents and the assessment on mariner's competencies. The countries in EU have paid attention on this issue and the activities enhance the rational assessment of competencies through METNET. In order to execute the rational assessment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techniques being assessed. And it means the necessity to clarify the necessary techniques for safe navigation and to assess the competencies to achieve them, and then we can attain the objectives of STCW. In this paper, the necessary techniques for achievement of safe navigation are discussed and the methods of assessment of competencies are proposed. As we apply proposed assessment system, we can get the mariner's competency quantitatively and continuously through training period. Then we can know the trend of the competency that is the learning process. By clarifying the learning process of the techniques, we can decide the necessary training time to achieve the competencies. Furthermore, we can discuss the issues on conversion between training onboard and simulator used training by analysing the learning processes.

  • PDF

선박용 보조 보일러 시스템 시뮬레이터 개발 (Development of the simulator for marine auxiliary boiler system)

  • 김명환;소명옥;정병건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236-241
    • /
    • 2013
  • 처음 승선한 실습 기관사가 선박 기기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쌓고 비상시에 대비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 도달하려면 긴 시일과 많은 비용이 든다. 따라서 현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짧은 시간내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비상시 적절한 판단을 가능케 하도록 STCW-95 권고안을 따르는 여러 형태의 시뮬레이터가 개발되어 교육 훈련 도구로써 활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기관시뮬레이터는 전량 외국에서 도입된 것으로서 국제협약의 개정이나 기술발전사항 등을 바로 반영하기 힘든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습기관사가 보조 보일러, 배기 보일러 및 증기터빈과 같은 증기계통의 각종 장치간의 연관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보조 보일러 시뮬레이터 개발에 대하여 논한다.

효과적인 선교자원관리 교육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ining program for an effective Bridge Resource Management education)

  • 양동복;정중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7-230
    • /
    • 2013
  • STCW 2010 Manila Amendments에서 인적요인과 관련하여 제시한 Non-technical skills(BRM, ERM, Leadership and Teamwork) 중 최근 국제해사기구(IMO) STW 위원회에서 "Leadership and Teamwork"에 대한 모델코스 초안을 가장 먼저 제시한 바가 있다. 현재 BRM 교육과정에 대한 모델코스의 부재로 본 교육을 개설하고 있는 국내 해운선사, 대학 등 여러 기관들의 운영방식이 상이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선교자원관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RM 교육과정을 운영함에 있어 활용되고 있는 훈련프로그램 중에서 시뮬레이션 모듈에 초점을 두고, 시뮬레이션시의 피교육생의 반응 및 시스템 활용기능을 검토/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선교자원관리를 위한 훈련프로그램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실습선 교육 기간과 승선 학기에 따른 해기능력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Maritime Ability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and Boarding Semester)

  • 김승연;김문주;박유진;이윤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6-664
    • /
    • 2020
  • 본 연구는 실습 교육기간에 따른 실습생의 STCW 협약에 의거한 해기능력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H대학교 실습선에 승선한 항해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50개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자기평가 방법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해기기능과 해기능력의 기본적인 이해도를 평가하고, 승선 기간의 경과에 따라 이러한 이해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해기기능과 해기능력의 평가시기에 따른 이해도 변화 분석 결과, 해기기능의 경우 1학기와 2학기 승선그룹 모두에서 3차 평가로 갈수록 이해도가 대체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학기 승선그룹별로 이해도가 낮은 분야가 도출되었으며, 실습선 교육 과정에 저조한 해기능력에 대한 추가적인 학습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로 도출된 실습선 교육 기간에 따른 해기능력 향상 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추후 실습선 및 해사대학 교육 과정 개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