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SC12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4초

복숭아 '천중도백도'의 결과지 방향 및 굵기에 따른 신초 생장과 과실 특성 (Shoot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earing Branch Direction and Thickness in 'Kawanakajima Hakuto' Peach Trees)

  • 윤석규;윤익구;남은영;전지혜;권정현;배해진;김호철;김태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421-4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중도백도' 복숭아(Prunus persica)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하는데 적합한 결과지를 구명하기 위하 여 몇 가지 결과지 방향 및 굵기 처리에 따른 신초장, 과중, 당도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조사항목의 평균치를 보면 결과지 직경의 경우 6.9mm, 신초장은 32.6cm, 과중은 333.6g, 당도는 $11.2^{\circ}Brix$였으며, 결과지 직경과 신초장은 변이계수가 각각 35.8%와 75.3%로 높았다. 254개 결과지 및 과실 특성 중 직경 9.0mm 이하 결과지가 76.4%, 40cm이하 신초가 70.0%, 무게가 310-340g 과실이 24.8%, 그리고 당도가 $10.5-12.5^{\circ}Brix$인 과실이 66.9%를 차지하였다. 신초장은 결과지 방향에 관계없이 결과지 굵기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과중은 결과지 방향 및 굵기의 상호작용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리고 당도는 결과지 방향에 관계없이 결과지 굵기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결과지 직경과 과중간 회귀 분석 결과 하향 결과지에서는 정의 상관($r^2=0.246^{**}$)을 보였고 상향 결과지에서는 부의 상관($r^2=0.094^*$)을 보였다. 따라서 고품질 '천중도백도' 과실 생산을 위해서는 하향이 면서 직경이 9.0mm 이하인 결과지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벼 엽록체 DNA의 이질성 (Heterogeneity of Chloroplast DNA in Rice)

  • 남백희;문은표
    • 한국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학회 1987년도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s of Symposia on Plant Biotechnology
    • /
    • pp.391-401
    • /
    • 1987
  • Plant chloroplast DNA exists as an unique circular structure in which large single copy(LSC) region and small single copy (SSC) region are separated by large inverted repeat sequences (IRS). It has been known that the unique existence of inverted repeat sequences in chloroplast DNA has no relation with the stability of the chloroplast DNA, but causes the inversion between inverted repeat its biological significance has not been understood so far. In rice, several gene clusters have been cloned and sequenced which contain ribulose-5-biophosphate car-boxylase large subunit (rbcL). Especially, one rbcL gene is linked with rp12 gene which is located in the IRS region in one of the gene clusters. By comparison of nucleotide sequence, the two genes are found to be linked through 151 bp repeat sequence which is homologous to the rp123 gene in IRS region. The repeat sequence is found to be located 3' downstream of rfcL gene and near psbA gene in LSC region. The existence of these repeat sequences and the presence of gene clusters caused by the gene rearrangement thorough the repeat sequence provide a possible which is found to be dispersed chloroplast DNA provide the model system to explaine the heterogeneity of the chloroplast DNA in rice in term of gene rearrangement.

  • PDF

몸통 가쪽이동 운동이 척추옆굽음증 환자의 몸통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unk Side Shift Exercise on the Trunk Muscle Activation of Pati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 이우진
    •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9-10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scoliosis muscle activity after the trunk side shift exercise. Methods: Fifty-eight subjects (control group=30, scoliosis group=28)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ide shift exercise (SSE) group and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TSE) group. The SSE group performed SSE with chair training for eight weeks. A one-way ANOVA tes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sults within the idiopathic scoliosis patient group prior to and after different exercise methods. Result: The muscle activity differences of the TPS, LPS, and latissimus dorsi muscl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idiopathic scoliosis exercises groups after training. According to the exercise method, the TPS differed between the control group (CG) and TSE group and between the SSC and TSE groups. The LPS and latissimus dorsi muscle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CG and TSE groups.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side shift exercise effectively improve spine muscles. The side shift exercise was performed using chairs that were designed for this study. Thus, this method is easily accessible for busy students who are exposed to scoliosis or spinal disorders that are caused by a pattern of inactivity.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엽수 조절에 따른 과실 품질변화 (Influence of Leaf Number on Berry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

  • 박서준;김진국;정성민;노정호;허윤영;박교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1-215
    • /
    • 2011
  •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결과지당 적정 엽수를 구명하기 위해 만개 30일 후에 결과지당 2송이를 착과시키고, 첫 번째 송이는 70~75립, 두 번째 송이는 35~40립으로 조절하고 변색기 이후 과실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실의 당도는 변색기 이후 28일 동안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결과지당 15엽 처리구는 착색초기부터 빠르게 증가되어 착색 28일 후에 $16.0^{\circ}Bx$ 이상 되었으나, 결과 지당 10엽 처리구는 $12.0^{\circ}Bx$로 증가폭이 적었고, 결과 지당 5엽 및 0엽 처리구는 당도 축적이 거의 없었다. 산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28일 동안 감소되었고, 결과 지당 엽수가 많을수록 감소폭도 컸다. 결과지당 15엽 처리구는 변색기 이후 7일 동안 빠르게 감소된 후 수확기까지 꾸준히 감소되어 0.5%로 되었으나, 결과지당 5엽 및 0엽 처리구는 감소세가 완만하여 수확기에도 산 함량이 1.0%로 높았다. 과피색은 결과지당 15엽에서 hunter L과 b값이 변색기 이후 7일 동안 빠르게 감소되었고,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되어 수확기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고, hunter a값은 변색기 이후 7일 동안 빠르게 증가되었고, 그 이후에는 약간 감소되었다. 그러나 결과지당 5엽 및 0엽 처리구는 hunter L과 b값이 변색기부터 완만하게 감소되었고, hunter a 값은 착색초기에는 현저히 낮았으나, 수확기까지 꾸준히 증가되었다. 총 안토시아닌은 결과지당 15엽 처리구에서 변색기 7일 후부터 빠르게 증가된 후 변색기 28일 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다른 처리구는 변색기 이후 큰 차이가 없었다.

밤나무 교잡종(交雜種) 과실(果實)의 양적특성(量的特性)에 관한 고찰(考察) (Consideration of the Quantitative Nut Characteristics in Chestnut Hybrids)

  • 이욱;김만조;이문호;황명수;황석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1호통권158호
    • /
    • pp.34-38
    • /
    • 2005
  • 본 연구는 밤나무 교잡종 11조합으로부터 조합별 및 개체별 과실의 양적형질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합별 과실형질에 대한 평균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평균 착구수와 과실수확량은 각각 주옥${\times}$대단파(JO)와 광은${\times}$대단파(KO) 조합이 우수하였으며 조합간 큰 차이가 없었다. 평균 입중은 은산${\times}$대단파(EO) 조합이 21.1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과실형태는 모든 조합에서 종경에 대한 횡경비가 1.23-1.13인 타원형으로 EO조합이 뚜렷한 타원형인 반면 JO 조합은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이었다. 열과율은 은산${\times}$이평(ER)과 JO 조합이 각각 30.0%, 27.5%로 높아 과실 품질이 불량한 개체가 많았고 다배율은 대단파${\times}$광은(OK) 조합이 1.7%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대${\times}$이평(IR) 조합 등 5조합이 평균 5% 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당도는 ER 조합이 16.3%로 감미가 매우 높았으며 경도는 이평${\times}$광은(RK) 조합이 $10.0kg/cm^2$로 가장 우수하였다. 과실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착구수는 과실수확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당도와 입중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입중은 열과율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반면 당도와 경도에 대해서는 매우 상반된 경향을 나타냈다. 열과율과 다배율간에도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경도에 대한 다배율과 당도와도 각각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착구수와 총수확량, 입중, 열과율, 다배율에서 모두 우수한 개체는 모두 8개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8개체의 평균 착구수는 전체 평균 보다 1.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머지 형질인 수확량과 입중, 열과율, 다배율에서는 1.49, 1.19. 6.17, 5.62배 각각 증가하였으나 당도와 경도의 평균은 0.88와 0.94로 각각 12%, 6%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Genome scan linkage analysis identifies a major quantitative trait loci for fatty acid composition in longissimus dorsi muscle in an F2 intercross between Landrace and Korean native pigs

  • Park, Hee-Bok;Han, Sang-Hyun;Yoo, Chae-Kyoung;Lee, Jae-Bong;Kim, Ji-Hyang;Baek, Kwang-Soo;Son, Jun-Kyu;Shin, Sang-Min;Lim, Hyun-Tae;Cho, In-Cheo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061-1065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cate quantitative trait loci (QTL) influencing fatty acid (FA) composition in a large $F_2$ intercross between Landrace and Korean native pigs. Methods: Eighteen FA composition traits were measured in more than 960 $F_2$ progeny. All experimental animals were genotyped with 165 microsatellite markers located throughout the pig autosomes. Results: We detected 112 QTLs for the FA composition; Forty seven QTLs reached the genome-wide significant threshold. In particular, we identified a cluster of highly significant QTLs for FA composition on SSC12. QTL for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pig chromosome 12 (F-value = 97.2 under additive and dominance model, nominal p-value $3.6{\times}10^{-39}$) accounted for 16.9% of phenotypic variance. In addition, four more QTLs for C18:1, C18:2, C20:4,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on the similar position explained more than 10% of phenotypic variance. Conclusion: Our findings of a major QTL for FA composition presented here could provide helpful information to locate causative variants to improve meat quality traits in pigs.

Molecular Characterization, Chromosomal Localizations, Expression Profile, and Association Analysis of the Porcine PECI Gene with Carcass Traits

  • Gao, H.;Fan, B.;Zhu, M.J.;Liu, B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7-12
    • /
    • 2010
  • The full-length cDNA of the porcine peroxisomal ${\Delta}^3$,${\Delta}^2$-enoyl-CoA isomerase (PECI) gene encodes a monofunctional peroxisomal ${\Delta}^3$,${\Delta}^2$-enoyl-CoA isomerase. Cloning and sequencing of the porcine PECI cDNA revealed the presence of an 1185-base pair open reading frame predicted to encode a 394-amino acid protein by the 5'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5'RACE) and EST sequences. The porcine PECI gene was expressed in seven tissues (heart, liver, spleen, lung, kidney, skeletal muscle, fat) which was revealed by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porcine PECI was mapped to SSC71/2 p11-13 using the somatic cell hybrid panel (SCHP) and the radiation hybrid panel (RH) (LOD score 12.84). The data showed that PECI was closely linked to marker S0383. A C/T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PECI exon 10 (3'UTR) was detected as a PvuII PCR-RFLP. Association analysis in our experimental pig population showed that different genotypes of PECI gen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verage Backfat thickness (ABF) (p<0.05) and Buttock backfat thickness (p<0.01).

시설재배된 설향딸기의 수확시기가 수확후 품질에 미치는 영향 (Determination of the Harvest Date and Ripening Phase of 'Seolhyang' Strawberry)

  • 홍세진;엄향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2-72
    • /
    • 2020
  • 본 연구는 '설향' 딸기의 수확시기에 따른 품질 특성을 확인하고, 상온(20℃)·cold-chain(10-12℃)·저온(5℃) 유통에 적합한 숙성단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딸기는 12월 20일부터 5월 9일까지 6번에 걸쳐서 수확하였다. 딸기를 수확할 때 적합한 숙성 정도는 3월까지는 경도 2.9-3.0 N, 당도 8.6 °Brix 이상이었으나, 4월 이후에는 당도가 감소하였다. 딸기의 숙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붉게 착색된 정도이고, Hunter a 값은 32-37, hue angle은 36-45℃였다. 딸기의 후숙 실험에서 숙성 정도는 딸기의 착색이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서 결정되었으며, 상온에서는 10%/day, 10-12℃에서는 5%/day, 5℃에서는 3%/day씩 착색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상온에서 유통할 경우에는 80%, cold-chain·저온에서 유통하기 위해서는 90%의 착색된 과실을 수확하여야 유통하는 동안 상품성이 유지되었다. 그리고 상온에서는 70% 이하로 착색된 딸기를 유통하거나, 저온에서는 80% 이하로 착색된 딸기를 유통하는 경우에는 100% 착색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품성을 잃었다.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a major invasive species, Cenchrus longispinus, in Daecheong Island

  • Hyun, Jongyoung;Jung, Joonhyung;NamGung, Ju;Do, Hoang Dang Khoa;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4-64
    • /
    • 2018
  • The genus Cenchrus (Poaceae), containing ca. 97 species, is distributed throughout Australia, Africa and Indian sub-continent and which was introduced to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for use in improved pasture. In Korea, especially Daecheong Island, it is one of the most hazardous invasive plant, which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threats, biodiversity damages and physically negative impact on humans and animals. It can cause serious damage to farms, fields and white sand beaches. However, the chloroplast (cp) genome sequences and information of Cenchrus longispinus have been not addressed, so we provide the complete cp genome of Cenchrus longispinus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The size of cp genomes of this Daecheong Island species (Cenchrus longispinus) is 137,144 bp, and it shows a typical quadripartit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large single copy (LSC; 80,223 bp), small single copy (SSC; 12,449 bp), separated by a pair of inverted repeats (IRs; 22,236 bp). This cp genome contains 75 unique genes, 4 rRNA coding genes, 33 tRNA coding genes and 21 duplicated in the IR regions, with the gene content and organization are similar to other Poaceae cp genomes. Our comparative analysis identified four cpDNA regions (rpl16, rbcL, ndhH and ndhF) from three Cenchrus species, two Setaria species and one Pennisetum species which may be useful for molecular identification.

  • PDF

Bayesian과 Image Processing을 이용한 부유사 농도의 불확실성 분석 (Uncertainty Analysis of Suspended Load Concentration Using Bayesian and Image Processing)

  • 정석일;권현한;이승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3-493
    • /
    • 2017
  • 부유사 수리실험에서 부유사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 Einstein(1950)은 유사의 pickup function 결정에서 이러한 불확실성 때문에 유사입자의 거동을 발생시키는 양력의 확률을 적용하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부유사의 측정은 부유사 채집기를 통해 수행하지만, 시간적으로 비효율 적이며, 채집 시 채집기의 부피로 인한 난류 발생으로 채집 후 흐름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수리실험의 규모라면 이 문제는 더욱 부각될 수 있다. 연속적인 부유사의 농도 측정을 위해 이러한 점은 개선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 실험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image process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Image processing은 부유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탁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부유사 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RGB(Red-Green-Blue)로 색을 표시하는 방식에서 image를 변환하여 gray scale로 전환해야 하며, 파(wave)의 전파에 의한 image 결과의 변형은 없다고 가정하였다. Gray scale과 탁도와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해 하상에 유사를 포설하고, 단파(surge)를 발생 시켰다. 실험은 길이 12.0m, 폭 0.8m, 높이 0.75m의 개수로에서 수행하였으며, 수로 상류에 sluice형 gate를 급격하게 개방하는 것으로 단파를 재현하였다. 탁도 측정을 위해 유사 채집기를 이용하였으며, 상기에서 제시한 흐름 교란문제로, 1지점에서 1개의 시간동안만 채집을 수행하였으며, image의 촬영을 병행하였다. 또한 data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3번의 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gray scale과 탁도와는 일정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gray scale-SSC(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와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Bayesian 분석을 이용하여 image processing의 보정(확률적 보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실측한 값과 image processing을 통한 값을 1:1 curve를 통해 비교하였으며, 약 9%의 평균 오차가 발생하여, image processing과 bayesian 적용을 통한 부유사 농도 측정은 신뢰할 만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