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SA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3초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SPI2의 ssaK와 ssaJ의 발현조절 (Expression control of ssaJ and ssaK of SPI2 in Salmonella typhimurium)

  • 최혁진;엄준호;이인수;박경량;박용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8-114
    • /
    • 1998
  •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병독성 발현, 특히 숙주세포내로의 침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의 집단(gene cluster)인 Salmonella Pathogenicity Island 2(SPI2)의 발현에 대한 다양한 환경요인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SPI2의 주요 유전자인 ssaJ와 ssaK의 promoter를 포함하는 regulatory region을 promoterless lac operon과 융합시켜 reporter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산소농도, 삼투압, pH, 탄소원 결핍 및 glycerol 참가 등 여러 환경요인들의 변화가 이 reporter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저산소, 낮은 삼투압, 약 알칼리 등이 ssaJ와 ssaK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위의 세조건이 함께 존재할 때 그 발현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탄소원 결핍이나 glycerol 첨가는 이 두 유전자들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이상과 같은 환경인자들의 효과는 S. typhimurium의 세 가지 야생형인 LT2, UK1과 SL1344 모두에서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다른 한편 SPI1의 transcriptional activator를 암호화하는 조절유전자인 hilA의 돌연변이는 ssaJ와 ssaK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도 밝혀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SPI1과 SPI2가 서로 별개의 조절계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됨을 보여준다.

  • PDF

Bacillus sp. SSA3 균주의 Expression Vector 개발 (Construction of Expression Vector of Bacillus sp. SSA3 Strain)

  • 조윤래;김종규;권대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37-641
    • /
    • 1992
  • 한국 재래식 된장.간장 발효균 Bacillus sp. SSA3 균주의 expression vector를 개발하기 위해 Bacillus sp. SSA3의 chromosomal DNA로부터 유전자의 promoter 부위를 cloning 하였다. Recombinant plasmid를 제작하기 위하여 Bacillus sp. SSA3의 chromosomal DNA을 HindIII로 절단한 단편을 pGR71 plasmid의 CAT gene과 pUC18 plasmid의 $\beta$-galactosidase gene의 전방에 삽입시킨 후, E.coli JM109에 형질전환하였다.E. coli JM109의 chloramphenicol 내성 clones으로부터 6 recombinant plasmid를 선별하였다. 이들 선별된 plasmid는 Bacillus sp. SSA3의 expression vector로 사용시 각 재조합 plasmid 중에 삽입된 promoter의 염에 대한 영향의 정도를확인하기 위해 10% NaCl이 첨가된 LB medium상에서 배양하였을 때, 이들 중 Bacillus sp. SSA3의 4 clones은 융합 CAT gene의 발현이 강하게 감소되었으나 2 clones은 약하게 저해되었다.

  • PDF

PVA/SSA/HPA 복합막의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의 응용연구 (PVA/SSA/HPA Composite Membranes on the Application to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오세중
    • 멤브레인
    • /
    • 제16권1호
    • /
    • pp.9-15
    • /
    • 2006
  • Polyvinylalcohol (PVA)을 전해질 막으로 이용하여 위하여 가교제로서 sulfosuccinic acid (SSA)와 무기물 첨가제로 phosphotungstic acid (PWA), silicotungstic acid (SiWA) 등의 HPA (heteropolyacid)를 사용하여 PVA/SSA/HPA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PVA/SSA/HPA 복합막은 HP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은 감소하였으나 IEC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VA/SSA/HPA 복합막의 XRD 분석 결과 HP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PA가 복합막 속으로 잘 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HPA로서 PWA보다 SiWA의 분산성이 우수하였다. TGA 분석결과 PVA/SSA 복합막은 가교 결합으로 인하여 PVA 보다 열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복합막의 HP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열안정성이 더욱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VA/SSA/HPA 복합막의 메탄올 투과저항은 Nafion보다 현저히 우수하였으며 HP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메탄올의 투과도는 감소하였다.

SSA Form에서 부분 중복 제거를 이용한 최적화 (Optimization Using Partial Redundancy Elimination in SSA Form)

  • 김기태;유원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4D권2호
    • /
    • pp.217-224
    • /
    • 2007
  • CTOC에서는 정적으로 값과 타입을 결정하기 위해 변수를 배정에 따라 분리하는 SSA Form을 사용한다. SSA Form은 최근 데이터 흐름분석과 코드 최적화를 위해 컴파일러의 중간 표현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SSA Form은 표현적보다는 주로 변수에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SSA Form 형태의 표현식에 대해 최적화를 적용하기 위해 중복된 표현식을 제거한다. 본 논문에서는 좀더 최적화된 코드를 얻기 위해 부분 중복 표현식을 정의하고, 부분 중복 표현식을 제거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Production of Antibody against Saikosaponin a, an Active Component of Bupleuri Radix

  • Jung, Da-Woon;Sung, Chung-Ki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35-139
    • /
    • 1998
  • High titer rabbit polyclonal antibodies (pAbs) which show a specificity for saikosaponin a (SSA), have been generated. The immunogen used was a conjugate of SSA linked through its glucose moiety to bovine serum albumin by periodate oxidation method. The antibody titers obtained from two rabbits, innoculated with the immunogen, reached a plateau after the fourth and third booster injection, respectively. The specificity of the pAbs was determined by hapten inhibition assays using several SSA-like structures. SSA competitively inhibited the binding of the rabbit anti-SSA pAbs to SSA-ovalbumin on solid phase, a coated antigen on the well. The antibodies showed high specificity to SSA, exhibiting no significant cross-reactivity with any of SSA analogues tested.

  • PDF

설폰산기를 함유한 PVA막의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응용 (Poly(vinyl alcohol) Membranes Containing Sulfonic Acid Group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

  • 이영무;이선용
    • 멤브레인
    • /
    • 제14권3호
    • /
    • pp.240-24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alcohol(PVA)의 hydroxyl 작용기와 sulfosuccinic acid (SSA)의 carboxylic acid 작용기의 반응을 통하여 열가교된 PVA막을 제조하였다. 설폰산기를 함유한 SSA는 PVA 매트릭스에 대한 가교제의 역할뿐만 아니라 수소이온의 전도도를 높이는 역할 모두를 수행하였다. PVA의 가교도(degree of crosslinking)는 SSA의 함량으로 조절하였고 가교밀도(crosslinking density)는 극성 및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Xylene 및 benzene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사용한 경우 가교밀도는 SSA함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물과 methanol과 같은 극성 용매를 사용한 경우 가교밀도는 SSA함량 20%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함량에서는 설폰산기의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가교도와 확산계수, 기계적 물성 및 전도도, 메탄올 투과도 등에 대한 PVA막의 특성을 평가하였고 이들 특성은 SSA함량에 의존하였다.

가교된 PVA 막을 이용한 MTBE/methanol 혼합물의 증기투과(Vapor Permeation)분리 (Vapor Permeation Separation of MTBE-Methanol Mixtures Using Cross-linked PVA Membranes)

  • 김연국;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10권3호
    • /
    • pp.148-15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sulfur-succinic acid의 가교제를 이용한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가교막을 이용하여 MTBE-methanol 혼합액에 대하여 조업온도, 가교제의 조성에 따른 증기투과 공정의 투과 특성을 조사 하였다. 팽윤 실험을 통해 PVA/SSA 가교막에 대하여 가교제 조성에 따른 막의 구조와 PVA의 하이드록실기(-OH), SSA의 설폰기(-$SO_3$H)와 용매와의 수소결합의 두 가지 인자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투과 특성에 있어 SSA의 설폰기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예를 들면 7% SSA 막에 대해서는 수소결합의 효과보다는 가교도의 효과가 투과 특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5% SSA에 대해서는 수소결합의 효과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증기투과 공정에 있어 막과 직접 접촉하는 증기상이 액상에 비하여 methanol의 농도가 낮아 PVA의 하이드록실기와 methanol과의 수소결합 확률이 감소함에 따라 투과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7% SSA 막에 대하여 MTBE/mthanol=80/20 혼합액에 대하여 공급액의 온도 3$0^{\circ}C$에서 선택도 2187, 투과도 4.84g/$m^2$hr를 보여 주었다.

  • PDF

CTOC에서 코드 최적화 수행 (Processing of Code Optimization in CTOC)

  • 김기태;유원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687-697
    • /
    • 2007
  • 자바 바이트코드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수행속도가 느리고 프로그램 분석이나 최적화에 적절한 표현이 아니라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와 같은 실행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최적화된 코드로 변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는 최적화된 코드로의 변환을 위해 CTOC를 구현하였다. 최적화 과정에서 CTOC는 정적으로 값과 타입을 결정하기 위해 변수를 배정에 따라 분리하는 SSA From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SSA Form변환 과정에서 ${\phi}$-함수의 추가에 의해 오히려 노드의 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SSA Form에서 복사 전파와 죽은 코드 제거 최적화를 수행한다. 또한 기존의 SSA Form은 표현식보다는 주로 변수에 관련된 것이라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SA Form 형태의 표현식에 대해 복사 전파와 죽은 코드 제거와 같은 최적화를 적용한 후 다시 중복된 표현식을 제거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한다.

  • PDF

Ad Hoc 환경에서의 Utilization Metric을 이용한 SSA 라우팅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SA Routing Protocol using Utilization Metric in Ad Hoc Networks)

  • 지종복;박주하;이강석;송주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4호
    • /
    • pp.543-550
    • /
    • 2005
  •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많은 라우팅 알고리즘들은 소스 라우팅 기법을 기초로 설계되었으며 밀집된 ad-hoc 환경에서의 최단경로설정은 짧은 기간동안만 유지되는 제약사항이 존재한다 때문에 SSA와 ABR과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은 링크 안정성을 고려하여 좀더 안정적인 경로를 탐색한다. 본 논문은 Ad-Hoc network 환경에 현실적으로 적합한 SSA 라우팅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utilization 메트릭을 고려한 새로운 라우팅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에서는 SSA의 특정 메트릭에 의한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을 위한 여러 경로들을 누적 utilization에 따라 분산시키도록 하여 네트워크상의 로드 밸런싱을 추구하였다. 성능 분석을 위해 기존의 라우팅 기법인 AODV와 SSA를 참고 비교 대상으로 하였다. ns-2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결과 선택되어질 수 있는 안정적인 route가 많은 경우 전체 트래픽이 여러 경로들로 분산되어 경로 재설정(route reconstruction) 횟수를 현저히 줄이는 좋은 성능을 보였다

Comparison of Pervaporation and Vapor Permeation Separation Processes for MTBE-methanol System

  • Kim, Youn-Kook;Lee, Keun-Bok;Rhim, Ji-Won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2권1호
    • /
    • pp.36-47
    • /
    • 2000
  • This paper deals with the separation of MTBE-methanol mixtures using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PVA) membranes with sulfur-succinic acid(SSA) as a crosslinking agent by pervaporation and vapor permeation technique. The operating temperatures, methanol concentration in feed mixtures, and SSA concentrations in PVA membranes were varied to investigate the separation performance of PVA/SSA membranes and the optimum separation characteristics by pervaporation and vapor permeation. And also, for PVA/SSA membranes, the swelling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transport phenomena. The swelling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for pure MTBE and methanol, and MTBE/methanol=90/10, 80/20 mixtures using PVA/SSA membranes with varying SSA compositions. There are two factors of the membrane network and the hydrogen bonding. In pervaporation separation was also carried out for MTBE/methanol=90/10, 80/20 mixtures at various temperatures. The sulfuric acid group in SSA took an important role in the membrane performance. The crosslinking effect might be over the hydrogen bonding effect due to the sulfuric acid group at 3 and 5% SSA membranes, and this two factors act vice versa on 7% SSA membrane. In this case, the 5% SSA membrane shows the highest separation factor of 2,095 with the flux of 12.79g/㎡$.$hr for MTBE/methanol=80/20 mixtures at 30$^{\circ}C$ which this mixtures show near the azeotopic composition. Compared to pervaporation, vapor permeation showed less flux and similar separation factor. In this case, the flux decreased significantly because of compact structure and the effect of hydrogen bonding. In vapor permeation, density or concentration of methanol in vaporous feed is lower than that of methanol in liquid feed, as a result, the hydrogen bonding portion between the solvent and the hydroxyl group in PVA is reduced in vapor permeation. In this case, the 7% SSA membranes shows the highest separation factor of 2,187 with the flux of 4.84g/㎡$.$hr for MTBE/methanol=80/20 mixtures at 30$^{\circ}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