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P

검색결과 4,577건 처리시간 0.039초

국내 수산생물로부터 분리된 Aeromonas spp. 및 Pseudomonas spp.의 항생제 내성에 관한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of Aeromonas spp. and Pseudomonas spp. Isolated from Domestic Aquatic Animals)

  • 김예지;전려진;이영준;고예진;오영은;우수지;김명석;정준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88-400
    • /
    • 2023
  • Aeromonas spp. and Pseudomonas spp. are opportunistic pathogens widely distributed in the aquatic environment. To test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the MIC of the 18 antibiotics mainly used in aquaculture were measured. Aeromonas spp. and Pseudomonas spp. straoms had different resistance patterns against most antibiotics. The MIC of tetracycline for four Aeromonas spp. strains (10.5%) was < 0.25 ㎍/mL. However, 0.5-4 ㎍/mL tetracycline inhibited most Pseudomonas spp. strains. The tet resistance performance of 14 genes including tet(B), tet(E), and tet(M) were investigated. Investigating, the tetracycline resistance gene of 38 Aeromonas spp. strains detected tet(A) in 21 strains (55.3%). Two Pseudomonas spp. strains showed high MIC values and no inhibition zone. tet gene analysis detected tet(D) in only one strain (5%).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관여하는 새로운 생리활성 단백질 SPP2의 발굴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ecreted Phosphoprotein 2 as a Novel Bioactive Protein for Myocardial Differentiation)

  • 전세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4-72
    • /
    • 2023
  • 심장 발생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전사인자들의 기능에 대한 규명 등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줄기 세포에서 매우 효율적인 심근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새로운 생체 활성 분자를 찾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 마우스배아줄기세포(mESC) 유래 심근세포의 Illumina 발현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미분화 mESCs와 비교하여 mESC 유래 심근세포에서 4배 이상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 276개 유전자가 스크리닝되었다. Secreted phosphoprotein 2 (Spp2)는 후보물질 중 하나이며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에 대한 슈도수용체로서 BMP2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심근 형성과의 연관성은 알려진 바 없다. 우리는 mESC 세포주인 TC-1/Kh2와 E14를 이용하여 기능성 심근세포로 분화하는 동안 Spp2 발현이 증가함을 검증하였다. 흥미롭게도, Spp2 분비는 배아체(embryoid body, EBs) 형성 후 3일차에 일시적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Spp2의 분비가 ESCs의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Spp2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우리는 BMP2를 처리하면 분화 경로를 근모세포에서 골모세포로 전환되는 특성을 가진 C2C12 마우스 근모세포 세포주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mESCs의 분화와 유사하게, Spp2의 전사는 C2C12 근모세포가 근관으로 분화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히, 분화 초기 단계에서 Spp2의 세포외 분비가 극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Spp2-Flag 재조합 단백질로 처리하면 C2C12 근모세포의 근관으로의 분화가 촉진되었다. 종합하면, ESCs를 심근 세포로 분화시키는 새로운 생체 활성 단백질로 Spp2를 제안한다. 이것은 심근형성의 분자 경로를 이해하고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줄기세포 요법의 실험적 또는 임상적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춘계 진해만에서 농도 구배로 첨가한 영양염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성장반응과 군집구조의 명확한 특징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growth response and their community structure following seven different nutrients addition in spring season of Jinhae Bay)

  • 손문호;백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67-6574
    • /
    • 2015
  • 본 연구는 진해만에서 2010년 부영양화해역(St.1)과 빈영양화해역(St.22)에서, 2011년에는 부영양화해역(St.1, St.5), 중영양화해역(St.19), 빈영양화해역(St.22) 등 해역의 특성이 다른 정점에서 영양염농도구배(Nitrate: 0, 1, 5, 10, 20, 50, $100{\mu}M$; Phosphate: 0, 0.1, 0.5, 1, 2, 5, $10{\mu}M$)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반응 및 군집구조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2010년 St.1에서 질산염과 인산염첨가군에서는 농도구별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성장의 차이를 보였으나(One-way ANOVA:P<0.01), St.22에서는 영염첨농도구배에 따른 영양염첨가효과가 명확하지 않았다. 2010년 St. 1의 질산염 첨가군에서 와편모조류 Heterocapsa triquetra가 우점하였고, 인산염 실험군에서는 규조류 Pseudo-nitzchia spp.가 각각 우점하였다 진해만 중앙의 빈영양수계 St. 22에서는 질산염농도가 $10{\mu}M$ 전 후에서 Chaetoceros spp.가, $20{\mu}M$에서 Thalassiosira spp.가, > $50{\mu}M$에서 Pseudo-nitzchia spp.가 각각 우점하였고, 인산염 첨가시 $2{\mu}M$ 이하에서는 Cylindrotheca spp.로, $5{\mu}M$ 이상에서는 Pseudo-nitzchia spp.로 우점하였다. 2011년에는 4해역 모두 영양염농도구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One-way ANOVA:P<0.01). 하지만, 정점1, 5, 19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이 2일 후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정점 22에서는 실험 6일후부터 반응하였고, 이는 낮은 영양염농도에 적응된 생물군에 갑작스럽게 영양염이 공급되어도 성장 지연현상이 일어날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은 정점1의 낮은 영양염농도에서는 Eucampia spp., Chaetoceros spp.가 높게, 높은 영양염농도에서는 Skeletonema spp.와 Thalassiosira spp.로 나타났다. St. 5에서는 Skeletonema spp.가 우점하였고, St.19에서는 Chaetoceros spp.와 Skeletonema spp.도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반면, St. 22에서는 Thalassiosira spp.가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영양염특성이 다른 해역에서 추가적으로 첨가한 영양염은 영양염 농도구배에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및 종조성을 차이를 보였고, 이는 각각의 해역의 특성에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우점종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잘 대변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라고 판단된다.

군산 내만에서 분리된 세균총에 대한 약제 내성 조사 (Drug Resistance of Bacterial Flora Isolated from Kunsan Bay)

  • 최민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119
    • /
    • 2000
  • 군산내만에서 분리한 미생물총 Vibrio spp.(44균주), Pseudomonas spp.(42균주), Aeromonas spp.(26균주), Moraxella spp.(9균주), Enterobacteria spp.(6균주), Bordetella spp.(3균주), Alkaligenesis spp.(3균주), Staphylococcus spp.(3균주), Flavobacterium spp.(2균주)를 총 123주를 대상으로 Ampicillin(AM), Penicillin-G(PM), Rifampicin(RF), Streptomycin(SM), Oxolinic acid(OA), Nalidixic acid(NA), Oxytetracycline(OT), Amikacin(AK), 및 Enorfloxacin(EF)등의 약제에 대해서 감수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공시약제에 대한 감수성균주는 42균주(34.1%)이었으며, 내성균주는 81균주(65.9%)로서 약제 내성율은 AM(54균주/43.9%), PM(47균주/38.2%) 및 RF(35균주/28.4%) 등에는 고빈도의 내성을 보였으며, SM(9균주/7.3%), OA(5균주/4.06%) 및 NA(1균주/0.8%)등에는 저빈도의 내성을 보였다. 그렇지만 OT, AK 및 NF에는 내성을 보이지 않았다. 내성 유형은 총 15유형(1-4제)으로서 이중 단일약제 내성 균주는 모두 35균주(28.4%)로서 AM(20균주/16.3%), PM(10균주/16.3%)및 RF(10균주/8.1%)약제에 내성 출현율이 높았다. 한편, 다제내성은 12유형을 나타내었으며, AM-PM-RF(16균주/13.4%), AM-PM(8균주/6.5%) 및 PM-RF(7균주/5.6%)유형이 비교적 출현빈도가 높았다. 따라서 본 해역은 다양한 약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미생물총이 서식하고 있어서 향후 다제내성균이 빠르게 확산 되어 어류질병의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 PDF

Fusarium spp. 균에 의한 뽕나무신소썩음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ulberry Shoot Rot caused by Fusarium spp.)

  • 윤형주;김영택;진경식;박인균;양성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6-91
    • /
    • 1995
  • 축엽세균병으로 알려진 피해뽕나무에서 진균인 Fusarium spp. 균이 분리되어 이를 구명하고 그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1. 신소썩음증상은 세로로 긴 갈색의 병무늬가 시간이 경과할 수록 암갈색으로 변하고 흰곰팡이가 생기며, 축엽세균병증상은 잎이 말리고 신소에 수침상의 병반과 bacterial ooze가 보인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 구분이 어렵다. 2. 신소썩음증상의 피해율은 7.5%, 축엽세균병의 피해율은 4.4%였다. 3. Fusarium spp. 균의 분리는 신소썩음증상에서 높았고, Pseudomonas균의 분리는 축엽세균병 증상에서 많았다. 또한 병원성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4. 수원 등 3지역 모두에서 부위별 병원성 Fusarium spp. 균의 분리율은 병반에서 30cm 부위에서 보다 병진전부위에서 더 높았다. 5. 수원 등 3지역 모두에서 개량뽕의 신소썩음증상 피해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청올뽕의 신소썩음증상 피해는 조사 품종중에 가장 적었다.

  • PDF

Anti-hyperglycemic effect and single oral toxicity of SPP003

  • Kim, Yong-Hyuk;Eum, Hyun-Ae;Lee, Woo-Yong;Lee, Sang-Ho;Kim, Hyun-You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2년도 창립10주년기념 및 국립독성연구원 의약품동등성평가부서 신설기념 국재학술대회:생물학적 동등성과 의약품 개발 전략을 위한 국제심포지움
    • /
    • pp.219-219
    • /
    • 2002
  • The SPP003 is a mixture of water extract from Schizandrae Fructus, Poligoni multiflori Radix, Ginseng Radix Akba and Hoel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hyperglycemic effect of SPP003 in normal and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to monitor the toxicity of SPP003.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performe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SPP003 100, 300, 600 and 900 mg/kg in normal rats. Blood glucese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30 min (vehicle, SPP003 or tolbutamide 60 mg/kg, 0 min (glucose treatment), 60, 120 and 180 min. Rats were administerd STZ 65mg/kg (0.1M citrate buffer, pH 4.5) intraperitoneally to induce diabetes and administered vehicle, Spp003 (100, 300 and 600 mg/kg) or tolbutamide (60 mg/kg) orally once a day for 4 weeks. Blood glucose level was measured a 0, 4, 7, 14, 21 and 29 day after initial drug administration. A single oral toxicity of SPP003 was studied in Sprague-Dawley rats of both sexes. In this study, rats were administered with doses of 1, 2 and 5 g/kg of SPP003. In glucose tolerance test, SPP003 900 mg/kg markedly decreased glucose concentration at 1 hr after glucose treatment. Blood glucose levels were much higher in STZ-diabetic rats. These increases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SPP003 600 mg/kg. SPP003 did not show any signigicant toxic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P003 has hypoglycemic properties in STZ-diabetic rats.

  • PDF

동물원(動物園)에서 사육중(飼育中)인 야생동물(野生動物)의 기생충감염(寄生蟲感染) 관(關)한 조사(調査) (Epizootiological Study on Infestation Rate of Parasites in Zoo Animals)

  • 박영재;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6
    • /
    • 1977
  • Parasites of wild animals are closely related with parasites of domestic animals. Wild animals take charge of an important role at parasitic infestation of domestic animals because of unrestrained movement. The authors carried out the work of actual condition of parasitic infestation on wild animals, total 1,014 cases, in the Korean Zo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rate of parasitic infestation was 36.1% with infestation of 366 among 1,014 cases. The rate of single infestation was 32.6% with infestation of 331 cases, double infestation 3.1% with 31 cases, triple infestation 0.2% with 2 cases and quadrople infestation 0.2% with 2 cases. 2. The parasites on the zoo animals were identified as follows: Lion: Sarcoptiform, Toxocara sp., Toxascaris leonina, Ancylostoma sp. and Isospora spp. Puma: Toxocara sp., Ancylostoma sp. and Isospora sp. Leopard: Toxocara spp., Ancylostoma sp., Trichuris sp., Dibothriocephalus sp. and Physaloptera sp. Wolf: Sarcoptiform and Dibothriocephalus spp. Fox: Trichuris sp., Capillaria aerophila, Spirocerca sp., Paragonimas kellicotti. Jackal: Sarcoptiform, Ascaris sp. and Echinococcus granulosus. Wild Cat: Dibothriocephalus sp. Tiger: Toxascaris leonina. Bear: Sarcoptiform, Metastrongylus apri, Ancylostoma sp. and Ascaris sp. Raccoon and Raccoon dog: Sarcoptiform, Paragonimus kelliotti, and Isospora sp. Boar: Oesophagostomum spp. and Eimeria spp. Mortkey: Sarcoptiform, Trichuris sp., Physaloptera spp.. Enterobius sp. and Isospora sp. Elephant: Sarcoptiform, Strongyloides sp. and Strongylus spp. Deer: Sarcoptiform, Strongyloides sp., Trichuris ovis, Mccistocirrus digitatus, Haemonchus sp., Oesophagostomum radiatum, Paramphistornum spp., Bunostomum phlebotomum, Fasciola hepatica and Eimeria spp. Bison: Sarcoptiform, Haernonchus sp., Marshallagia sp., Nematodirus sp. and Eimeria sp. Zebra: Strongylus sp. and Parascaris equorum. Goral and Barbary: Sarcoptiform, Haemonchus sp., Oesophagostomum venulosum, Moniezia sp. and Eimeria spp. Lama: Strongyloides sp. and Haemonchus sp. Kangaroo: Strongyloides sp. and Haemonchus sp. Camel: Strongyloides sp., Trichuris ovis and Eimeria sp. Peacock and the Other Birds: Sarcoptiform, Capillaria contorta, Capillaria caudinflata, Ascaridia spp., Heterakis spp., Hymenolepis sp., Eimeria spp., Histomonas, Ornithionyssus bacoti, Macrochelidae and Trichomonas. 3. Among the zoo animals, wild carnivora were infestated with the parasites which are common parasites of dogs and cats, wild herbivora were infestated with the parasites of herbivora domestic animals. and wild fowls were infestated with the parasites of domestic fowls.

  • PDF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for Campylobacter spp. on Ham in Korea

  • Lee, Jeeyeon;Ha, Jimyeong;Kim, Sejeong;Lee, Heeyoung;Lee, Soomin;Yoon, Yoh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74-68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of illness from Campylobacter spp. on ham. To identify the hazards of Campylobacter spp. on h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riteria for Campylobacter spp., and campylobacteriosis outbreaks were investigated. In the exposure assessment, the prevalence of Campylobacter spp. on ham was evaluated, and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s for the temperature of ham surfaces in retail markets and home refrigerators were prepared. In addition, the raw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2012 were used to estimate the consumption amount and frequency of ham. In the hazard characterization, the Beta-Poisson model for Campylobacter spp. infection was used. For risk characterization, a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collected data, and the risk of Campylobacter spp. on ham was estimated with @RISK. The Campylobacter spp. cell counts on ham samples were below the detection limit (<0.70 Log CFU/g). The daily consumption of ham was 23.93 g per person, and the consumption frequency was 11.57%. The simulated mean value of the initial contamination level of Campylobacter spp. on ham was −3.95 Log CFU/g, and the mean value of ham for probable risk per person per day was 2.20×10−12. It is considered that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 for Campylobacter spp. was low. Furtherm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Campylobacter spp. in this study should be useful in providing scientific evidence to set up the criteria of Campylobacter spp..

Aspergillus spp.에서의 Velvet 조절자 (Velvet Regulators in Aspergillus spp.)

  • 박희수;유재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09-419
    • /
    • 2016
  • 사상성 진균인 Aspergillus spp.은 환경 속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진균으로 인류에 유익한 역할을 주기도 하지만 병원성을 일으키기도 한다. 대부분의 Aspergillus spp.는 무성 포자를 생성하여 번식을 하며 다양한 이차 대사 산물을 합성한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Velvet 조절자들은 진균 특이적 전사 인자로 모델 진균인 Aspergillus nidulans의 성장, 분화 및 이차 대사산물 생성 등 다양한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Velvet 단백질들은 다양한 복합체를 형성하며, 이 복합체들은 Aspergillus nidulans에서 다양한 역할을 한다. 다른 Aspergillus spp.에서 Velvet 단백질들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진균의 무성 생식과 이차 대사를 조절한다. 이번 논문에는 Aspergillus spp.의 Velvet 단백질들의 기능에 대하여 요약하였다.

전북지방 산양과 명양의 내부기생충 실태조사 (A Survey on the Prevalence of Internal Parasites in Korean Native Goats and Sheep of Chonbuk Area)

  • 양홍지;서창섭;정재명;김종승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0-197
    • /
    • 1994
  • In order to monitor the parasites, 303 fecal samples were taken from Korean native goats (n=279) and sheep(n=24) in Chonbuk area. The identification of the parasites were determimed by the fecal examination using the floatation or sedimentation methods and microscopical examination, respectively.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detection rate of the parasites from Korean native goats and sheep was 98.2% and 83.3%, respectively. 2. In Korean native goat, mixed infection rate was single 7.5%(21 heads), double 47.3%(132 heads), triple 40.8%(114 heads), quadraple 5.0%(14 heads) and quintuple 2.5%(7 heads). 3. In sheep, mixed infection rate was single 12.5%(3 heads), double 45.8%(13 heads) and triple 16.6%(4 heads). 4. The parasites isolated were identified as Eimeria spp. from 283 heads, Oesophagostomum spp. from 96 heads, Ostertagia spp. from 97 heads, Strongylodes papillus from 97 heads, Heamonchs spp. from 73 heads, Trichostrongylus spp. from 42 heads, Moniezia expenza from 26 heads, Cooperia spp. from 16 heads, Nematodirus spp. from 9 heads, Bonostomum spp. from 9 heads, Paraphistomum spp. from 7 heads, and Fasciola hepatica and Capillaria spp. In 2 heads, in or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