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FIC ENDANGERED ANIMAL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지역의 양서.파충류상 (Herpetofauna of Kojedo in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1-388
    • /
    • 1999
  • 1998년 5월 3일부터 11월 8일까지 한려해상국립공원 중 거제도 일대에서 양서류 및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2목 5과 9종, 파충류는 1목 3과 9종이 관찰되어 덕유산 주왕산 설악산 국립공원 등, 타 국립공원의 생물상보다 상대적으로 풍부한 결과로 나타났다. 특정야생동물로 도롱뇽, 두꺼비, 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무자치, 능구렁이, 실뱀, 살모사와 까치살모사 등 9종의 양서류 및 파충류를 관찰 및 탐문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외래종인 황소개구리가 1개 지역에 집중 분포하였는데 국립공원구역에 더 이상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었다.

  • PDF

DNA Barcoding of the Marine Proteced Species Pseudohelice subquadrata (Decapoda, Varunidae, Pseudohelice) from the Korean Waters

  • Kim, Ji Min;Kim, Jong-Gwan;Kim, So Yeon;Choi, Woo Yong;Kim, Hyung Seop;Kim, Min-Seop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3호
    • /
    • pp.228-231
    • /
    • 2020
  • Pseudohelice subquadrata (Dana, 1851) is endangered due to its restricted habitat; hence, it has been designated as a marine protected species and endangered species by law in Korea. It has been recorded only Jeju-do and Geomun-do, Republic of Korea.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report on 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DNA barcode for P. subquadrata. The maximum intra-specific genetic distance among all P. subquadrata individuals was found to be 0.5%, whereas inter-genetic distance within the same genus was 17.2-21.5% compared with Helice tientsinensis (Rathbun, 1931), H. tridens (De Haan, 1835), H. epicure (Ng et al., 2018), and Helicana wuana (Rathbun, 1931). Our barcoding data can thus be used as reference for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studies on P. subquadrata, which are designated as marine protected species.

덕유산 국립공원내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보전실태 (Conservation Status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T$\v{o}$kyusan National Park)

  • 임경빈;김용식;전승훈;김선희;김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2-117
    • /
    • 1994
  •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를 답사하여 그 생육상황을 조사하였으며, 복수초 군락 등 16종류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는 분류결과와 최근에 작성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평가기준에 따라 재분류를 시도하였다. 본 조사에서 검토된 식물 종은 복수초 군락,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왕괴불나무, 금강애기나리, 누른종덩굴, 백작약, 개불알꽃,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한라부추, 솔나리 및 감자난 등 모두 16종류였다. 이들을 I.U.C.N.의 S.S.C.에서 마련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재평가한 바 Endangered (E)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백작약,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솔나리 및 감자난 등 10종이, Critical (C)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왕괴불나무, 누른종덩굴, 개불알꽃, 한라부추 등 4종이, Vulnerable (V)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복수초와 금강애기나리 등 2종이었다. 상기의 구분은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알려져 있는 구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식물종들의 관리보전계획을 위해 앞으로 더욱 검토, 보완되어야 하리라 판단된다. 덕유산 국립공원내에 생육하고 있는 보전대상 특정식물은 주로 등산로변이나 개발계획지 등지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서 앞으로 더욱 훼손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조류의 종 특이 구별을 위한 항체 유전자의 이용 (Practical Use of DNA Polymorphisms in the Avian Immunoglobulin Light Chain Constant Domain for Species-specific PCR)

  • 최진원;강석진;박명선;김진규;한재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9-1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조류에서 종 특이적인 DNA 염기서열변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닭, 꿩, 칠면조, 메추리의 immunoglobulin light chain constant domain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DNA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종간에 구별이 가능한 DNA 염기서열변이가 위의 유전자에서 관찰되었다. PCR을 이용하여 종을 구별하기 위하여 종 사이에 특이적인 DNA 염기서열 부위에 한 쌍의 종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실험을 위하여 이미 알려진 cytochrome b와 tapasin 유전자에서도 두 쌍의 종 특이적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PCR결과 세 쌍의 프라이머 모두 종 특이적으로 DNA를 증폭하였다. Immunoglobulin 유전자의 염기서열 변이를 이용한 종 특이적인 PCR 방법은 조류의 유전자원 보존을 위한 이종간 카이메라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금개구리 (Pelophylax chosenicus)의 난 발생 및 먹이 종류에 따른 올챙이의 성장 및 생존율 분석 (Characterizing Development of Endangered Gold-spotted Pond Frog (Pelophylax chosenicus) Focused on Egg Development and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Tadpoles with Different Feed)

  • 김근식;송예빈;박창득;강동원;윤주덕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21-228
    • /
    • 2020
  • 멸종위기 양서류 금개구리의 생물학적 특성 및 증식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난 발생 및 올챙이 초기 먹이 종류에 따른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육수조 내에서 자연산란한 금개구리의 수정란을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교질층에 둘러싸인 구형으로, 동물극과 식물극이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수온 27.0±1.0℃에서 수정 후 31시간 뒤에 부화하였으며, 수정 후 175시간 뒤에 아가미 뚜껑을 완성하였다. 개구 이후 단계부터 35일간 먹이종류별 성장 및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식물성 사료와 테트라민 단독 공급군의 평균 증체율(각각 5843.9%, 5736.3%), 평균 일일성장률 (각각 11.67%, 11.62%)이 다른 공급군들 (증체율: 641.8~4625.2%, 일일성장률: 5.72~11.01%)에 비해 가장 높았고(P<0.05), 야채 공급군이 가장 낮았다(P<0.05). 평균 사료 효율은 식물성 사료공급군이 177.83%로 야채 공급군 10.29%에 비해 약 17배 높았다. 또한 식물성 사료와 테트라민 단독 공급군의 평균생존율은 각각 97.5%, 100%로 가장 높았으며, 야채 공급군은 32.5%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금개구리의 성공적인 증식을 위한 올챙이 먹이는 식물성 사료 또는 테트라민을 단일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설악산 국립공원의 양서. 파충류상 (Herpetofauna in Soraksan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4-190
    • /
    • 1997
  • 1996년 4월 27일부터 4월 28일, 1996년 8월 19일부터 20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설악산 국립공원 외설악 일대의 양서류 및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2목 4과 6종, 파충류는 1목 2과 2종이 관찰되었다. 타 국립공원의 생물상보다 다소 빈약한 결과로 이는 과다한 탐방객과 개발의 결과로 판단된다. 특정야생동물로 보호받는 꼬리치레도룡뇽이 저항령에 집단을 형성하며 분포하였다. 자연휴식년제를 연장해서라도 보호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설악산 국립공원 내설악의 양서, 파충류상 (Herpetofauna of the Na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91-396
    • /
    • 1998
  • 1997년 6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설악산 국립공원 내설악 일대의 양서류 및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2목 5과 6종, 파충류는 1목 3과 3종이 관찰되어 덕유산 국립공원과 주왕산 국립공원 등 타 국립공원의 생물상보다 다소 빈약한 결과로 나타났다. 특정야생동물로 물두꺼비, 산개구리, 펴범장지뱀 등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표범장지뱀은 임간수련장에 집중 분포하여 이용객 집중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우려되는 까닭에 이 지역에 대한 보호 대책이 요구되었다.

  • PDF

Treatment of Radius Fracture Using a Shuttle Pin in a Cinereous Vulture (Aegypius monachus): A Case Study

  • Jinho Jang;Hee-Jong Kim;Young-Seok Park;YoungMin Y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9-194
    • /
    • 2024
  • Cinereous vulture (Aegypius monachus) is a large raptor that belongs to the family Accipitridae in the order Falconiformes. It is a migratory bird that returns to Mongolia after wintering in the Korean Peninsula. In February 2015, a cinereous vulture was rescued from Asan-si, Chungcheongnam-do Province as it could not fly. It was transferred to the Chungnam Wild Animal Rescue Center in Korea. It was found to have a closed fracture on the right radius through radiographic examination, a basic procedure. Surgery was performed at the fracture site using a shuttle pin and wire. After successful physic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the cinereous vulture was released in October 2015. A metal ring (150-00713) and wing tags (G/BL 3) were attached to the bird before its release for subsequent identification. Two years and 4 months later, in March 2018, the cinereous vulture was rescued and brought back to the center. It was diagnosed with secondary pesticide poisoning. After receiving treatment, a radiography test revealed no specific findings related to the previous fracture surgery. Considering that migratory birds travel long distan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atment for reducing the fracture in the radius using a shuttle pin and a cerclage wire was suitable.

No Genetic Differentiation of Elaphe schrenckii Subspecies in Korea Based on 9 Microsatellite Loci

  • An, Jung-Hwa;Park, Dae-Sik;Lee, Jung-Hyun;Kim, Kyung-Seok;Lee, Hang;Min, Mi-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1호
    • /
    • pp.15-19
    • /
    • 2010
  • The Russian ratsnake, Elaphe schrenckii, is found in Russia, China, and Korea, and is considered to be an endangered specie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South Korea. Due to habitat loss and use in oriental medicine, their population has been severely decimated. In South Korea, two subspecies of E. schrenckii has been defined according to body color: E. s. schrenckii (blackish) and E. s. anomala (yellow-brownish). Molecular genetic studies on Elaphe schrenckii are very scarce and the taxonomy of Elaphe schrenckii subspecies is uncertain. From the present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genetic differences of these two subspecies using species-specific microsatellites developed from the genomic library of E. schrenckii. Nine polymorphic loci were tested on 19 individuals from E. s. schrenckii (n=10) and E. s. anomala (n=9) in South Korea. The mean number of alleles was 3.78 in E. s. schrenckii and 4.11 in E. s. anomala. The average expected heterozygosity was 0.542 and 0.511 in E. s. schrenckii and E. s. anomala, respectively. We found a lack of genetic structure between two subspecies ($F_{ST}=0.016$) and no genetic discrimination between two subspecies was found.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by microsatellites, two subspecies can be considered as one species, E. schrenckii.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s on taxonomical status using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sequences need to be performed and morphological & ecological data should be revised. The genetic markers should benefit future studies of the endangered species of other Elaphe species for the study of genetic diversity and potential conservation management.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in Remnant Populations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an Endangered Endemic Plant Species to Ulleung Island, Korea

  • Ku, Youn-Bong;Oh, Hyun-Kyung;Kong, Hak-Yang;Suh, Min-Hwan;Lee, Min-Hyo;Sviatlana, Trybush;Cho, Kang-Hy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4호
    • /
    • pp.289-294
    • /
    • 2004
  • Bupleurum latissimum is a narrowly endemic and endangered plant, restricted to only two small populations on steep cliffs of a small island, Ulleung Island, in Korea.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differentiation in the two remnant populations of the species were investigated using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The Neis gene diversities were 0.146 in the smaller population of 45 individuals, and 0.151 in the larger population of 61 individuals. The genetic vari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se two populations. Genetic diversity within populations was not low considering the very small size of populations.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AMOVA) revealed higher variation within populations (65.9%) than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them (34.1%). B. latissimum revealed higher population differentiation than other outbreeding species. The differentiation of the populations corresponded to low gene flow (Nem = 0.482). The cluster and principal coordination analyses provide strong support for high population differentiation, showing that all individuals of the two populations have built up population-specific clusters. Although gene flow between the two populations of B. latissimum was limited, they have preserved relatively high levels of genetic var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