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 allele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1초

덱사메타손 처치에 따른 폐 표면 활성 단백질-A 유전자 변이의 반응의 차이점에 관한 연구 (Differential Response of Surfactant Protein-A Genetic Variants to Dexamethasone Treatment)

  • 김을순;이인규;오명호;배종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4호
    • /
    • pp.335-339
    • /
    • 2003
  • 목 적 : 폐 표면 활성제 단백질-A는 폐 표면 활성제의 생리작용과 구조에 관여하며, 폐의 숙주방어와 염증반응에 주된 역할을 하고 있다. 스테로이드 치료는 미숙아의 분만이 예측되는 산모에 대해서 미숙아의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등을 예방할 목적으로, 또는 미숙아의 만성 폐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인간에서 두 가지의 SP-A 유전자 및 여러 종류의 대립형질이 밝혀져 있고, 덱사메타손 치료에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SP-A 3'UTR이 관여 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저자들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는 8가지 SP-A 대립형질에서 덱사메타손 처치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응이 3'UTR에 의하여 이루어지는지를 규명하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 법 : 리포터 유전자로서 luciferase를 사용하여 8종류의 SP-A 대립형질의 3'UTR을 포함하는 구성체를 만들었다. 이 구성체들은 SV40 promotor에 의하여 조절되었으며, SP-A를 생산하는 H441 세포내로 형질도입 되었다. 덱사메타손 처치 후 리포터 유전자의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따라 표준화되었다. 결 과 : 덱사메타손 처치 시 $6A^3$, 6A, 1A 대립 유전자에서 리포터 유전자의 활성 반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 SP-A 유전자 변이 중 덱사메타손 처치에 대한 유전자 표현 반응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은 스테로이드 치료 시 미숙아의 개개인의 SP-A 유전자 변이에 따라 고려하여 사용해야함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신생아의 폐 표면 활성제 단백-A1 (Human Surfactant Protein-A1) 유전자 대립형질의 분포와 빈도 (Allele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Human Surfactant Protein-A1 in Korean Neonates)

  • 이경신;김영희;석정수;고정호;유욱준;이인규;오명호;배종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497-1502
    • /
    • 2002
  • 목 적 : RDS 발생과 BPD로의 이행을 예측 할 수 있고, 스테로이드 치료에 새로운 지표로서 사용 될 수 있는 SP-A1의 유전자 대립형질의 한국분포 및 빈도를 밝히고 새로운 종류의 유전자 대립형질을 발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경희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정상 신생아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SP-A1 유전자의 대립 형질을 위해 시발체(primer) 765/787, 767/768, 788/21를 이용하여 증폭 시킨 후 19, 50, 62, 133, 219 위치의 nucleotide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위치에 맞는 제한 효소(restriction enzyme)를 이용하여 (PCR-cRFLP-based methodology) 자른 후 전기 영동 하여 염기서열의 차이를 알아냈다. 결 과 : 아미노산 염기 서열의 차이에 의하여, 6A, $6A^2$, $6A^3$, $6A^4$, $6A^8$, $6A^9$, $6A^{10}$, $6A^{11}$, $6A^{12}$, $6A^{13}$, $6A^{14}$, $6A^{15}$, $6A^{16}$, $6A^{17}$, $6A^{18}$, $6A^{20}$ 등의 16개의 대립형질이 발견되었으며, SP-A1 중 $6A^3$ 45%, $6A^2$ 21%의 분포를 보였고, $6A^4$, $6A^8$, $6A^{14}$도 1% 이상의 분포를 보였다. 이외에도 6A, $6A^9$, $6A^{10}$, $6A^{11}$, $6A^{12}$, $6A^{13}$, $6A^{15}$, $6A^{16}$, $6A^{17}$, $6A^{18}$, $6A^{20}$의 대립형질이 6%의 분포를 보였으며, SP-A1의 Genotype은 $6A^26A^3$, $6A^36A^4$, $6A^36A^3$, $6A^26A^4$ 등이 88% 이상의 빈도를 보였다. 결 론 : RDS에 대해 보호체(protector)로 작용하는 $6A^3$의 빈도가 많은 것으로 보아 실질적으로도 우리나라에서 RDS의 발생률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많은 빈도를 보이는 $6A^3$는 다른 대립형질에 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 할 때 유전자 발현에 많은 억제를 보여 숙주 반응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SP-A의 혈청 내 농도가 적을 것으로 추측되어, 감염에 노출 될 위험이 많으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스테로이드 치료에 있어서 많은 연구가 있어야겠다.

한국인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과 인체 폐 표면 활성제 단백-A 유전자 대립형질의 상관관계 (Association between the Human Surfactant Protein-A(SP-A) Gene Locus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n Population)

  • 나주옥;오명호;최재성;서기현;김용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6호
    • /
    • pp.638-644
    • /
    • 2006
  • 연구배경: 만성 폐쇄성폐 질환(이하 COPD)은 기도의 만성적인 염증이 특징인 질환이다. COPD의 발생에는 흡연 외에도 환경적, 유전적인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 한다. 폐 표면 활성제 단백-A(이하 SP-A)는 급성기 반응물질(acute phase reactant molecule)과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 것으로 연구되어져 폐의 숙주방어와 염증반응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저자들은 폐에서 염증 반응 및 면역에 관여하는 SP-A와 COPD군과의 유전자 대립형질을 비교분석하여 SP-A가 COPD의 병인에 관여하는 지를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4년 10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호흡기 내과에서 COPD로 진단되어 치료 받고 있는 환자 19명과,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정상 신생아 2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PCR-cRFLP 방법을 사용하여 아미노산 염기 서열의 차이에 의해 SP-A의 유전자형을 연구 하였다. 결 과: 1) COPD군의 SP-A1 유전자 대립형질은 대조군에 비해 $6A^2$$6A^{18}$ 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고, $6A^3$, $6A^4$는 낮은 빈도를 보였다. 2) COPD군의 SA-A2 유전자 대립형질 중 $1A^0$ 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빈도를 보였고, $1A^2$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3) SP-A1의 50번째 nucleotide가 GG인 경우 COPD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고, SP-A2의 9번째 nucleotide가 CC인 경우 COPD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 결 론: 우리나라에서는 SP-A의 특정 대립형질(inducer : $6A^2$, $6A^{18}$, $1A^2$ & protector : $6A^3$, $6A^4$,$1A^0$) 에 차이를 보이는 경우 COPD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SP-A1의 50번째 염기서열이 GG인 경우와, SP-A2의 9번째 염기서열이 CC인 경우에 COPD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 신생아의 폐 표면 활성제 단백-A2(Human Surfactant Protein-A2) 유전자 대립형질의 분포와 빈도 (Allele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Human Surfactant Protein-A2 in Korean Neonates)

  • 김년천;윤희철;석정수;고정호;유욱준;이인규;오명호;배종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4호
    • /
    • pp.340-344
    • /
    • 2003
  • 목 적 : RDS 발생과 BPD로의 이행을 예측 할 수 있고, 스테로이드 치료에 새로운 지표로서 사용 될 수 있는 SP-A2의 유전자 대립형질의 한국분포 및 빈도를 밝히고 새로운 종류의 유전자 대립형질을 발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 2002년 4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과 경희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정상 신생아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P-A2 유전자의 대립 형질을 위하여 시발체(primer) 726/96, 727/21, 799/28A, 805/494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후 9, 91, 140, 223위치의 뉴클레오티드(nucleotide)를 알아 보기 위하여 각 위치에 맞는 제한 효소(restriction enzyme)를 이용하여(PCR-cRFLP-based methodology) 자른 후 전기 영동하여 염기서열의 차이를 알아냈다. 결 과 : 아미노산 염기서열의 차이에 의하여, 1A, $1A^0$, $1A^1$, $1A^2$, $1A^3$, $1A^5$, $1A^6$, $1A^7$, $1A^8$, $1A^9$, $1A^{11}$, $1A^{12}$ 등의 12개의 대립형질이 발견되었으며, SP-A2 중 1A=11.3%, $1A^0=38%$, $1A^1=12.7%$, $1A^2=9.2%$, $1A^5=15.5%$, $1A^7=2.9%$, $1A^8=4.9%$, $1A^9=2.2%$, others=3.3%의 분포를 보였다. 결 론 : RDS에 대해 보호체(protector)로 작용하는 $1A^5$의 빈도가 많은 것으로 보아 실질적으로도 우리나라에서 RDS의 발생률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스테로이드를 사용 할 때 유전자 발현에 많은 억제를 보이는 1A도 우리나라에서 많은 빈도를 보이므로 스테로이드 치료에 있어서 치료에 신중을 기해야겠다.

배추과 작물의 자가불화합성 유전자의 발현 및 조절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self-incompatible genes in Brassica)

  • 박종인;이인호;;노일섭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86-195
    • /
    • 2010
  • In most self-incompatible plant species, recognition of self-pollen is controlled by a single locus, termed the S-locus. The self-incompatibility (SI) system in Brassica is controlled sporophytically by multiple alleles at a single locus, designated as S, and involves cell-cell communic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Two highly polymorphic S locus genes, SLG (S locus glycoprotein) and SRK (S receptor kinase), have been identified, both of which are expressed predominantly in the stigmatic papillar cell. Gain-of-function experiments have demonstrated that SRK solely determines S haplotype-specificity of the stigma, while SLG enhances the recognition reaction of SI. The sequence analysis of the S locus genomic region of B. campestris (syn. rapa) ha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an anther-specific gene, designated as SP11/SCR, which is the male S determinant. Molecular analysis has demonstrated that the dominance relationships between S alleles in the stigma were determined by SRK itself, but not by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 In contrast, the expression of SP11/SCR from the recessive S allele was specifically suppressed in the S heterozygote, suggesting that the dominance relationships in pollen were determined by the expression level of SP11/SCR. Furthermore, recent studies on recessive allele-specific DNA methylation of Brassica self-incompatibility alleles demonstrate that DNA methylation patterns in plants can vary temporally and spatially in each generation. In this review, we firstly present overview of self incompatibility system in Brassica and then describe dominance relationships in Brassica self- incompatibility regulated by allele-specific DNA methylation.

전기영동 패턴에 의한 2조보리 계통의 Esterase 동위효소 유전자형 변이분석 (Genotypic Variation of Esterase Isozyme in Breeding Lines of Two-rowed Barley by Electrophoretic Banding Pattern)

  • 박광근;최홍집;이종호;서세정;김재철;남중현;김상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65-470
    • /
    • 2002
  • 맥주보리 교배모본(Crossing block) 380품종 및 계통을 공시재료로 esterase 동위효소 가운데 4개의 loci에 대한 allele의 종류, 발견빈도, 유전자형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한 380 계통중 Est1 locus에서는Pr, Al, Ca, Af등 4개의 alleles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중 Pr allele이 약 70%, Ca allele이 28.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Ca 및 기타 Al allele은 2% 미만이었다. 2. Est2 locus에서는 Dr, Fr, Sp, Un, null 등 5개의 allele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allele이 84.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null allele가 10%이었다. 3. Est4 locus에서는 Nz, Su, At, null 등 4개의 allele이 발견되었는데 Su allele가 약 8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Nz, allele가 10.5%, At allele가 4.2%의 빈도를 보였다. 4. Est5 locus에서는 Mi, Pi, Te, od(null) 등 4개의 allele이 발견되었으며 Pi allele이 61.0% Mi allele이 34.2%이었다. 5. 4개의 Esterase loci에서 나타나는 pattern을 기준으로 한 유전자형은 25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G1형(Pr-Fr-Su-Mi)이 28.1%, G2형(Pr-Fr-Su-Pi)이 39.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12형(Ca-Fr-Su-Pi)이 약 8.1%의 비율로 나타났다. 기타의 유전자형들은 그 발견 빈도가 극히 낮은 편이었다.

Electrophoretic Analysis of Haemolymph Proteins during Silkworm (Bombyx mori L.) Ontogenesis

  • Staykova, Teodor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4권1호
    • /
    • pp.37-44
    • /
    • 2007
  • A study was made of the haemolymph protein spectrum of mulberry silkworm (Bomhyx mori L.) from the first larval instar to imago. Horizontal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Sixteen races and eight F1 interracial hybrids, raised in Bulgaria, were analyzed. During the ontogenesis, a total of 17 protein bands (15 cathodic and 2 anodic) were detected. Distinct dynamics in the haemolymph protein spectrum was observed, in result of different expression during the individual development associated with the processes of growth, histolysis and histogenesis. Based on the ontogenetic dynamics found, a correspondence was assumed between some proteins detected by us using the starch gel electrophoresis and major haemolymph proteins (SP1, SP2, MHPs and Vg) detected by other authors using the polyacrilamide gel electrophoresis. Intraracial and interracial polymorphism was observed in four protein zones. The effect of four polymorphic loci with codominant and null alleles was suggested.

Analysis of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Amaranth Accessions from South America Using 14 SSR Markers

  • Oo, Win Htet;Park, Yong-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36-346
    • /
    • 2013
  • Amaranth (Amaranthus sp. L.) is an important group of plants that includes grain, vegetable, and ornamental types. Centers of diversity for Amaranths are Central and South America, India, and South East Asia, with secondary centers of diversity in West and East Africa.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75 amaranth accessions: 65 from South America and 10 from South Asia as controls using 14 SSR markers. Ninety-nine alleles were detected at an average of seven alleles per SSR locus. Model-based structure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two subpopulations and 3 admixtures, which was consistent with clustering based on the genetic distance. The average major allele frequency and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were 0.42 and 0.39,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odel-based structure analysis based on genetic distance, 75 accessions (96%) were classified into two clusters, and only three accessions (4%) were admixtures. Cluster 1 had a higher allele number and PIC values than Cluster 2. Model-based structure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two subpopulations and three admixtures in the 75 acc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for future germplasm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programs in Amaranthus.

Mycoplasma pneumoniae 폐렴과 관련된 폐 표면 활성제 단백-A(Human Surfactant Protein-A) 유전자 대립 형질 (Human Surfactant Protein-A(SP-A) Gene Locus Associated with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in Korean Children)

  • 김승수;이인규;고정호;오명호;배종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4호
    • /
    • pp.376-379
    • /
    • 2005
  • 목 적 : 학동기에 많은 감염을 보이며 진단이 용이하고, 기관지 천식의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M. pneumoniae 폐렴군과 숙주 방어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SP-A를 중심으로 폐렴군과 대조군의 SP-A 유전자 대립 형질을 비교하여 M. pneumoniae 폐렴에 관여하는 유전자 대립 형질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소아과에 진찰 소견과 방사선 소견 상 폐렴으로 진단되어 입원한 환아 중, 최근 6개월간 폐렴의 병력이 없으며, M. pneumoniae 특이 항체 검사 상 항체가가 1 : 5,120 이상이거나, 회복기 항체가가 4배 이상 증가된 49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정상 신생아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아미노산 염기 서열의 차이에 의해 SP-A의 유전자형을 밝혔다. 결 과 : 1) 대조군에서 SP-A1 중 $6A^3$ 44.5%, $6A^2$ 28.7%, $6A^4$ 21.8%, 6A 1.1%의 분포를 보였고, SP-A2 중 $1A^0$ 40.7%, 1A 13.1%, $1A^5$ 11.4%, $1A^2$ 10%, $1A^1$ 9.3%의 분포를 보였다. 2) 폐렴군의 SP-A1 유전자 대립 형질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폐렴군의 SP-A2 유전자 대립 형질 중 $1A^0$, $1A^1$ 그리고 $1A^5$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빈도를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으며, $1A^2$는 폐렴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보였다. 결 론 : M. pneumoniae 폐렴에 대해 $1A^2$는 유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1A^2$에 대한 단백질의 정량, 정성분석을 통하여 M. pneumoniae의 예방이나 치료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QTL analysis of agronomic traits in recombinant inbred lines of sunflower under partial irrigation

  • Haddadi, P.;Yazdi-Samadi, B.;Naghavi, M.R.;Kalantari, A.;Maury, P.;Sarrafi, A.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2호
    • /
    • pp.135-14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map QTLs associated with agronomic traits such as days from sowing to flowering, plant height, yield and leaf-related traits in a population of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of sunflower (Helianthus annuus). Two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well-irrigated and partially irrigated conditions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A map with 304 AFLP and 191 SSR markers with a mean density of 1 marker per 3.7 cM was used to identify QTLs related to the studied traits. The difference among RILs was significant for all studied traits in both conditions. Three to seven QTLs were found for each studied trait in both conditions. The percentage of phenotypic variance ($R^2$) explained by QTLs ranged from 4 to 49%. Three to six QTLs were found for each yield-related trait in both conditions. The most important QTL for grain yield per plant on linkage group 13 (GYP-P-13-1) under partial-irrigated condition controls 49% of phenotypic variance ($R^2$). The most important QTL for 1,000-grain weight (TGW-P-11-1) was identified on linkage group 11. Favorable alleles for this QTL come from RHA266. The major QTL for days from sowing to flowering (DSF-P-14-1) were observed on linkage group 14 and explained 38% of the phenotypic variance. The positive alleles for this QTL come from RHA266. The major QTL for HD (HD-P-13-1) was also identified on linkage group 13 and explained 37% of the phenotypic variance. Both parents (PAC2 and RHA266) contributed to QTLs controlling leaf-related traits in both conditions. Common QTL for leaf area at flowering (LAF-P-12-1, LAF-W-12-1) was detected in linkage group 12. The results emphasis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linkage groups 2, 10 and 13 for studied traits. Genomic regions on the linkage groups 9 and 12 are specific for QTLs of leaf-related traits in sunfl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