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ALGINATE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18초

동석물질에 대한 Photobacterium phosphoreum의 bioluminescence 특성 (The Character of Bioluminescence of Photobacterium phosphoreum with Toxic Substances)

  • 이홍주;이은수;박철진;이정건;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693-699
    • /
    • 1998
  • 고정화한 P. phosphoreum의 biolummescence악 독생물질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수계의 독성물질 momtonng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P. phosphoreum을 이용한 수계의 독성물질 momtonng을 위한 적정 세포 농도는 최대 biolummescence intensnty를 보인 $O.D_{660}$ 1.0~1.2였으며 이 농도외 세포를 2.5% NaCl 용액에 희석하여 5.0%의 alginateo에 고정화 했을 때 biolummescence 유지도까 가장 좋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monitoring이 가능한 수계의 pH는 6.0~8.0이었다. Free cell과 고정화 세포로 $CdCl_2.H_20, PbCl_2, phenol $그리고 mtrophenol에 대한 bioluminescence를 조사하였을 때 고정화 방법에 의해 독성물질에 대한 민감성0] 증가되었다. 고정화 세포외 경우 각 독성 물질에 따라 20분 이내에 0.01~1.50ppm이하까지 mornitoring이 가능하였다. 뿐만 아니라 speciflC blolurninescence reclucLion rate, biolummescence mtenslLy의 ratio 그리고 Gamma value로 분석함으로서 독성물질의 농도와 biolummescence의 변화를 직선의 관계로 나타낼 수 있어 독성 물질의 농도 예측이 가능하다.

  • PDF

개선된 폴리염화알루미늄의 합성 및 응집 특성 (Synthesis of Improved Polyaluminumchloride and Its Coagulation Properties)

  • 최용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73-282
    • /
    • 2004
  • 기존 설비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공정 비용으로 PACS의 특성에 버금가는 개선된 폴리염화알루미늄(IPAC)을 합성하는 기술을 확립하였다. IPAC을 합성하기 전 규산염을 활성화하는 조건을 연구하였고, 수산화알루미늄과 진한 염산을 원료로 하여 활성화된 규산염과 알긴산염을 첨가하여 IPAC을 제조하였다. 제품의 규격, 구조 및 응집특성을 규격시험법, 기기분석법 및 Jar test 장치로 각각 시험연구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IPAC은 산화 알루미늄 함량이 17%이상 되었으나 원액 보관 시 전혀 침전 생성이 없었으며, 동일 조건에서 PAC 보다 더 큰 floc을 생성하였고 침강속도도 빨랐다. 현재 이 제조기술을 현장에 적용시킨다면 제조설비의 재투자 없이 기존 설비를 이용하되, 추가 반응시약 비용은 기존 공정 상 첨가하는 망초를 넣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거의 원가상승 요인 없이 고효율 무기 고분자응집제를 합성할 수 있었다.

Hydrogels with diffusion-facilitated porous network for improved adsorption performance

  • Pei, Yan-yan;Guo, Dong-mei;An, Qing-da;Xiao, Zuo-yi;Zhai, Shang-ru;Zhai, Bin
    •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 /
    • 제35권12호
    • /
    • pp.2384-2393
    • /
    • 2018
  • Porous alginate-based hydrogel beads (porous ABH) have been prepared through a facile and sustainable template-assisted method using nano-calcium carbonate and nano-$CaCO_3$ as pore-directing agent for the efficient capture of methylene blue (MB). The materials were characterized by various techniques. The sorption capacities of ABH towards MB were compared with pure sodium alginate (ABH-1:0) in batch and fixed-bed column adsorption studies. The obtained adsorbent (ABH-1:3) has a higher BET surface area and a smaller average pore diameter.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of ABH-1:3 obtained from Langmuir model was as high as $1,426.0mg\;g^{-1}$. The kinetics strictly followed pseudo-second order rate equation and the adsorption reaction was effectively facilitated, approximately 50 minutes to achieve adsorption equilibrium, which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ABH-1:0.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revealed that the adsorption was spontaneous and exothermic. Thomas model fitted well with the breakthrough curves and could describe the dynamic behavior of the column. More significantly, the uptake capacity of ABH-1:3 was still higher than 75% of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even after ten cycles, indicating that this novel adsorbent can be a promising adsorptive material for removal of MB from aqueous solution under batch and continuous systems.

메밀가루와 밀가루 복합분의 건면 제조시험 (Dried Noodle Making of Composite Flours Utilizing Buckwheat and Wheat Flour)

  • 김용순;김형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6권3호
    • /
    • pp.146-153
    • /
    • 1983
  • 메밀을 제분하여 내층부터 외층까지 $B_1,B_2,B_3$$B_0$$(B_1:B_2:B_3=1:1:1)$으로 나누고 이들에게 제면적성을 향시키기 위하여 강력밀가루를 혼합하고 여기에 결착성개량제인 sodium alginate (SA)와 xanthan gum(XG)를 첨가하여 전면을 제조할 때의 제면적성을 알아보았다. 1) 메밀분 $B_1$에서 $B_2,B_3$로 될 수록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의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 2) Amylograph에 의한 메밀분 $B_1$의 최고 점도는 밀가루에 비하여 $4{\sim}5$배 정도로 높으며, $B_3$$B_1$보다는 낮으나 역시 밀가루보다 2배이상 높다. 또한 SA와 XG는 원료분의 최고점도를 더 높여주었다. 3) <메밀분 40+강력밀가루60>수준부터 밀가루 혼합수준을 높여야 상온에서의 전면제조가 가능하였으며, 이들의 조리특성도 메밀분의 혼합수준이 낮아질수록 밀가루면에 접근하였다. 4) 메밀건면의 제조에서 XG, SA를 $1.0{\sim}1.5$% 수준으로 첨가하면 면대형성, 조리면의 제성질등 제면적성을 개선하였다.

  • PDF

HPMC, MC, sodium alginate 등의 검류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Containing HPMC, MC, and Sodium Alginate)

  • 김미영;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78-283
    • /
    • 2009
  • HPMC, MC, SA 등의 검류를 밀가루 중량대비 0.5% 첨가하였을 때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빵의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냉각손실, 부피, 레올로지, 관능검사 등을 조사하였다. 빵의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는 검류 중 HPMC를 첨가한 경우 가장 높았고, 냉각 손실률은 HPMC를 첨가한 경우 가장 적어 대조구와 2.4% 차이가 있었다. 부피는 SA를 첨가한 경우 $2,560{\pm}24$ mL로 가장 컸으며, 레올로지 특성에서 경도와 max G는 HPMC를 첨가한 경우 가장 낮아 부드러웠고, 탄력성은 SA를 첨가한 경우 가장 컸다. 관능검사에서 HPMC를 첨가한 경우 점수가 높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SA를 첨가하였을 때 식빵의 부피와 탄력성이 HPMC를 첨가하였을 때 보다 높았으나,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및 관능검사 등의 결과는 HPMC 첨가 구에서 높았으며, 냉각손실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HPMC를 첨가하는 것이 식빵의 품질 개선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의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L-Methionine의 생산 (L-Methionine Production by Protoplast Fusion of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and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

  • 빈재훈;정수자;신동분;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61-567
    • /
    • 1991
  • 본 연구는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및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간의 protoplast fusion을 행하여 L-methionine의 생산성을 검토하고 발효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속배양을 행하였다.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500{\mu}g/ml$로 처리하였으며 B. flavum K-104($Thr\;Met\;Km^{r}\;Et^{r}\;Sm^{r}\;Tm^{r}$)와 C. glutamicum B-70($Thr\;Hos\;Km^{r}\;Et^{r}\;Sm^{r}\;Tm^{r}$)의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변이주에 $500{\mu}g/ml$의 lysozyme을 처리하였을 때 원형질체 형성을 및 재생율은 각각 99% 및 $64{\sim}66%$를 나타내었으며 융합 빈도는 3% PVP를 함유한 35% PEG 용액에서 $3.5{\times}10^{5}$을 나타내었다. Sodium alginate로 고정화시킨 융합주 BFCG 37은 72시간 회분배양에서 0.89g/l의 methionine을 생산하였고 연속배양에서는 $18.75mg/^{1}hr\;^{1}$의 L-methionine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Bacillus natto 및 Bacillus megaterium의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Vitamin $B_{12}$의 생산 (Production of Vitamin $B_{12}$ by Using Protoplast Fusion between Bacillus natto and Bacillus megaterium)

  • 진성현;박법규;노명훈;김동규;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11-617
    • /
    • 1990
  • Vitamin $B_{12}$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Bacillus natto와 vitamin $B_{12}$ 생산균주로 알려진 Bacillus megaterium IAM 1166 균주간의 종간 원형질체 융합을 시도하였다. 변이원 처리에 의해 활성이 우수하며 genetic marker로써 $thr^-try^-rif^r$인 Bacillus natto SH-34 및 $arg^-ade^-lys ^-str^r$의 genetic marker를 가진 Bacillus megaterium BK-13을 분리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을 행하기 위하여 $500\;{\mu}g/ml$ lysozyme 처리시 원형질체 형성률과 재생률은 99% 및 67%를 나타내었다. 변이주 Bacillus natto SH-34 및 Bacillus megaterium BK-13간에 $1.0{\times}10^{-5}$을 나타내었다. 융합주 MNF-72는 vitamin $B_{12}$ 생산용 배지에서 $7.85\;{\mu}g/ml$의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었으며, 융합주 MNF-72를 sodium alginate로 고정화를 하여 회분식 및 연속식 발효를 행하였을 때 72시간에 $0.58\;{\mu}g/ml.hr$$0.80\;{\mu}g/ml.hr$의 vitamin $B_{12}$를 생산하였다.

  • PDF

콩묵 제조시 가수량, 교반시간 및 Ca염의 양이 텍스쳐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Addition Ratio, Stirring Time and Ca Salts on Textural Properties of Soygel)

  • 박혜진;고영수;최희숙;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9-335
    • /
    • 1995
  • 전지대두분을 주원료로 하여 콩묵을 제조할 때 가수량, Ca염의 양이 콩묵의 텍스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콩묵은 $100^{\circ}C$의 물에 전지대두분(300 mesh)을 첨가해서 분산시킨 뒤 sodium alginate를 혼합하고 Ca gluconate나 $CaSO_4$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4^{\circ}C$로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교반시간이 5분에서 30분까지 증가함에 따라 콩묵의 견고성, 부착성, 응집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텍스쳐 특성과 관능적 특성의 결과로부터 교반시간은 20분으로 선정하였다. 대두분의 수분 첨가량이 8배에서 12배로 증가함에 따라서 견고성, 부착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Ca염 모두 텍스쳐가 우수한 균일성을 나타났기 때문에 전지대두분의 10배 수분 첨가가 선정되었다. 10배의 수분을 첨가할 때 Ca염 중에서 견고성은 $CaSO_4$가 425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Ca $gluconate-CaSO_4$(413g), Ca gluconate(227g)순으로 나타났다. Ca염의 양을 $0.075g{\sim}0.175g/g$ WSF 범위로 하여 텍스쳐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종합할 때 전지대두분 1g당 0.125g의 Ca gluconate나 $CaSO_4$ 첨가가 선정되었다. Ca gluconate와 $CaSO_4$의 혼합 Ca염을 사용할 때는 50 : 50, 25 : 75, 0 : 100의 3가지 비율에서 견고성이 적당하였고 균일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 PDF

우유단백질-검류 복합체 첨가가 제빵용 반죽의 물리적 특성과 식빵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Protein-Gum Conjugat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ugh and Staling of Bread Made of Frozen Dough During Freeze-Thaw Cycles)

  • 윤영;김영호;김영수;최성희;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36
    • /
    • 2006
  • 우유단백질과 검류 복합체의 첨가가 제조한 빵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amylography, farinography, extensography를 통해 반죽의 물성 변화를 측정하고 냉동-해동을 3번 반복한 반죽으로 제조한 식빵의 수분함량과 경도를 만든 당일과 $5^{\circ}C$에서 4일간 저장 후 측정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우유단백질과 검류 복합체가 식빵의 노화정도를 분석하였다.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할 경우 밀가루의 호화 개시온도가 증가하였고 밀가루의 수분흡수율과 반죽 형성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빵의 수분함량의 경우 4일간의 저장기간 동안 그 함량이 감소하는데 우유단백질과 검류의 첨가가 이 수분 감소 현상을 어느 정도 늦추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노화의 척도가 되는 빵의 경도에 있어서도 이 복합체가 빵의 경도 증가현상을 늦추는 효과를 보여 빵의 노화 억제제로서 우유 단백질과 검류 복합체가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유단백질과 검류가 밀가루 반죽의 특성과 냉동반죽으로 제조한 식빵 저장중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Proteins and Gums on the Dough Characteristics and Staling of Bread Made from Frozen Dough during Storage)

  • 윤영;김영호;김영수;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2-46
    • /
    • 2006
  • 우유단백질과 검류의 혼합 첨가가 빵의 노화를 억제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첨가한 밀가루의 amylogram, farinogram 그리고 extensogram을 측정하였다. 또한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한 반죽을 8주 동안 냉동 저장한 후 이 냉동반죽으로 식빵을 제조하고, 만든 당일과 $5^{\circ}C$에서 4일간 저장한 식빵의 수분함량 변화와 경도 변화를 측정하여 노화정도를 비교하였다. Amylogram 특성 중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한 밀가루의 호화 개시온도가 증가하였고 CA와 WA 첨가한 밀가루의 최고 점도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Farinogram 특성을 통해 우유단백질과 검류가 밀가루의 수분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과 CA와 WA를 첨가할 경우 반죽 형성시간이 길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Extensogram 특성에서 밀가루의 신장도는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함으로써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빵의 수분함량 변화를 살펴보면, 4일 저장기간 동안 모든 빵의 수분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냉동저장 6주후부터는 대조구 빵의 수분함량이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한 빵보다 감소정도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빵의 경도 변화의 경우 또한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 빵이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한 빵, 특히 CA와 WA를 첨가한 빵보다 높은 경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서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할 경우 반죽의 제빵 적성을 향상시켜주며 CA와 WA의 첨가는 빵의 노화를 지연시켜주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