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 Activity

검색결과 1,923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s of Gene Expression of Photobacterium leiognathi CuZn Superoside Dismutase (PSOD) by lacZ Promotor Control under Oxidative Stress

  • Kim, Young-Gon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60-465
    • /
    • 1992
  • The effect of PSOD expression on lacZ-sodP fusion (pYK4) was explored in Escherichia coli sodA sodB mutants (QC774) under oxidative stress. In this system, although .betha.-galactosidase activity was not fully induced by isopropyl-1-thio-.betha.-galactosidase (IPTG) and was inhibited by glucose, functional PSOD was under lacZ promotor control and was induced by IPTC, lactose, PQ and copper isons,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higher PSOD expression leel was consistently importnat in defending against superoxide radicals.

  • PDF

The Oxidative Stress by Hair Dyeing Changes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s and Strongly Relates to the Plasma Vitamin E Concentration

  • Sim Mi-Ja;Kim Young-Chul;Lim Hyun-Ae;Son In-Suk;Kwun In-Sook;Kwon Chong-Suk
    • Nutritional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262-267
    • /
    • 2005
  • Reactive oxygen species can be generated in the skin by hair dye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oxidative-type hair dye application in young women on the antioxidant systems. We investigated the lipid peroxide levels, glutathione (GSH) levels, and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in plasma and erythrocytes and catalase (CAT) in erythrocytes, and DNA damages in lymphocytes. Also, plasma concentrations of antioxidant vitamins, vitamin A and E, were measur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antioxidant parameters and oxidative damages were evaluated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plasma (GSHPx) and in erythrocytes (SOD and CAT)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hair dyeing. 1be lipid peroxide and GSH levels were not affected in both plasma and erythrocyt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centrations of both vitamin A and E between before and after hair dyeing. However, DNA damages expressed as the tail extent moment (TEM) and tail length (TL) were significantly (p<0.001) increased. The plasma vitamin E concentration was correlated with DNA damages (TEM: r=-0.590, p<0.01 and TL: r=-0.533. p<0.01) and RBC SOD activity (r=0.570, p<0.05). In turn, RBC 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th plasma MDA levels (r=-0.412, p<0.05) and DNA damages (TM: r=-0.546, p<0.01, TL: r=-0.493, p<0.01).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xposure to hair dyeing produced lymphocyte DNA damage and modification of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lso, there were very strong associations between plasma vitamin E concentration, RBC SOD activity and DNA damage induced by hair dyeing. It suggests that the antioxidant status of a subject is likely to be related to the extent of the harmful effects caused by hair dyeing.

까마중내 (Solanum nigrum L.) 항산화방어계의 항산화력 및 물질의 동정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otential and ldentification of Active Principles of Solanum nigrum L. on Antioxidant Defense Systems)

  • 임종국;정규영;정형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09-516
    • /
    • 2001
  • 까마중의 부위별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뿌리에서 가장 높았고, 줄기, 전부위, 열매 잎 그리고 꽃 순으로 높았다. 추출방법간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80%methanol에 침지하여 추출한것보다는 $80^{\circ}C$에서 80% meth-anol에 흰류추출한것이 높았다. Sephades LH-2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획된 L6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ethy acetate 분획 추출물보다 6.7배 높았다. 분획물내의주요물질은 2, 6-methano-3-benzazocin-11-ol, 2[1h]-pyridinethione 및 2-hydroxy-5 methylbenzaldehyde로 phenolic 화 물이었다. 줄기와 뿌리의 POD및 SOD 활성은 타 부위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생육기간에는 파종 후 60일후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PODdmlehddnl gth 패턴은 뿌리에서 10개의 band로 가장 많았고 그중 8개의 band가 식물체의 부위별로 차이가 있어Tdmaul, SOD의 동위효소 패턴은 잎에 5개의 band로 가장 많았고 그중 2개의 band가 식물체의 부위별로 차이가 있었다.이가 있었다.

  • PDF

머위(Petasites japonicus)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암활성 효과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Butterbur (Petasites japonicus) Extracts)

  • 서훈석;정봉환;조용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5-269
    • /
    • 2008
  • 머위의 뿌리, 줄기, 잎을 사용하여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고, 추출물을 분획 정제하여 암세포 생장 억제성을 실험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머위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96.7%의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추출 용매에 따른 머위의 SOD 유사활성은 물 추출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이 더욱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머위 잎이 223mg/g dry weight으로 가장 높았다. 시료별로 전자공여능 효과를 살펴보면 머위 뿌리의 물 추출물에서 61.5%, 머위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34.9%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다. 암세포 생존 억제성의 실험에서 머위 추출물의 분획물들은 정상세포 DC2.4의 생육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위암세포주 SNU-719의 생육은 41.9%로 크게 억제시켰고, 간암세포주 Hep3B의 생육은 72.7% 억제시켰다. 본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머위를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 식품 소재 및 약용자원식물로 개발이 가능하다.

추출용매에 따른 겨우살이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istletoe Extracts from Viscum album L.)

  • 주민정;도정룡;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29-534
    • /
    • 2009
  • 추출용매 및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 겨우살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겨우살이는 microwave 방법으로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뒤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시 원재료(slice) 추출물에 비해 분말상태(powder) 추출물의 polyphenol 함량이 높았다. 특히 50% 에탄올 추출구에서 물과 100% 에탄올 추출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 작용 역시 분말(powder) 상태의 겨우살이 추출물에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활성은 90% 이상으로 기준물질인 L-ascorbic acid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아질산염은 전자공여능과 총 폴리페놀함량과 마찬가지로 원재료(slice)보다분말(powder) 추출구에서 더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pH의 증가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SOD는 40% 이하의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tyrosinase 역시 20% 이하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겨우살이 추출물은 SOD 유사활성 및 tyrosinase 저해효과는 높지 않지만 우수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출 시 시료의 양이나 추출물의 농도를 조금씩 높여준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출 용매에 따른 오죽(Phyllostachys nigra Munro)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Effect of Solvents of Extraction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Phyllostachys Nigra Munro)

  • 김연순;조기안;최두복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6-10
    • /
    • 2010
  • 오죽(Phyllostachys nigra Munro)을 이용하여 추출용매에 따른 총 페놀함량, 항산화 활성,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 아질산 소거능, tyrosinase활성 저해능,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저해활성을 in vitro에서 검토 했다. Ethyl acetate와 hexane을 추출용매로 이용할 때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각각 $44.1{\pm}2.3mg/kg$$47.3{\pm}2.4mg/kg$였다. 항산화 효과는 추출용매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고 hexane > ethyl acetate > n-butanol > methanol > water순이었다. 그러나 SOD 활성은 물 > methanol > n-butanol> hexane> ethyl acetate 추출 순이었다. 아질산 소거능은 pH 1.2에서 추출용매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54~69.2% 범위였다. 그러나 pH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용매에 관계없이 모두 감소하였다. 특히 pH가 1.2에서 6.0으로 증가 할 경우 ethyl acetate 추출물의 아질산 소가능은 $69.2{\pm}3.1%$에서 $7.8{\pm}2.4%$로 감소하였다. 오죽 추출물의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추출용매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15.2~21.3% 범위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water > methanol > n-butanol > hexane > ethyl acetate 추출 순이었다.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전지민;최성규;김윤정;장수진;천종우;이현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5-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분석 결과 유산균 발효에 의해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다.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1.00 %의 농도에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86.34, 76.82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고,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49.78, 40.80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어 유산균 발효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 0.50 %의 농도로 처리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I (COL1A1)은 828.13 % 증가하였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은 87.88 %,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는 99.92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항산화, 주름, 항염에 효능을 보이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Effects of zinc bearing palygorskite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hepatic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nt status of broilers at early age

  • Yang, Weili;Chen, Yueping;Cheng, Yefei;Wen, Chao;Zhou, Yanm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1006-1012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zinc (Zn) bearing palygorskite (ZnPa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hepatic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nt status of broilers at early age. Methods: A total of 240 1-day-old Arbor Acres broiler chicks were allocated into 5 treatments with 6 replicates of 8 chicks each. Birds in 5 treatments were fed a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 (Control group; Analyzed Zn content: 81 mg/kg), 20, 40, 60, and 80 mg/kg Zn as ZnPal for 21 days, respectively. Blood, liver and intestinal mucosa were collected at 21 days of age. Results: Treatments did not affect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during the 21-day study (p>0.05). The contents of hepatic Zn and magnesium (Mg) were linearly increased (p<0.001) by ZnPal supplementation. ZnPal inclusion linearly (p = 0.007) reduced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 in serum. The activity of total superoxide dismutase (T-SOD) in liver increased linearly (p = 0.001) with concentration of ZnPal in diet. ZnPal inclusion linearly (p = 0.036) and quadratically (p = 0.005) increased T-SOD activity, and linearly (p = 0.012) increased copper/zinc superoxide dismutase (Cu/Zn SOD) activity in jejunal mucosa. The maximum responses of hepatic and jejunal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T-SOD and Cu/Zn SOD) were found when supplementing the basal diet with 60 mg/kg Zn as ZnPal. Furthermore, ZnPal supplementation quadratically (p = 0.001) increased Cu/Zn SOD activity in ileal mucosa, and its maximum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diet supplemented with 20 mg/kg Zn as ZnPal. Conclusion: ZnPal supplementation did not alter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Dietary ZnPal inclusion could increase concentrations of hepatic trace minerals (Zn and Mg) and inhibit lipid peroxidation by reducing serum MDA accumulation, with the optimal dosage of Zn from ZnPal being 80 mg/kg diet (analyzed Zn content in the diet: 165 mg/kg), and 60 mg/kg Zn as ZnPal (analyzed Zn content in the diet: 148 mg/kg) was the optimum dosage for broilers to achieve maximum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항산화 활성과 Melanoma 세포에서 멜라닌조절에 대한 Oenanthe javanica 에탄올 추출액의 효과 (Effect of Oenanthe javanica Ethanolic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Melanoma Cells)

  • 권은정;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28-143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melanocyte (B16F1)에서 quercetin과 kaempferol을 포함하는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OJE)의 멜라닌 합성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OJE가 세포수준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OJE 존재 하에서 B16F1세포를 배양하였다. 현재 연구에서 DPPH radical scavenging, reducing power, lipid peroxidation 및 DNA oxidation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는 cell free system에서 평가되었다. 더욱이 멜라닌 생성에 대한 OJE 효과는 dopaquinone (DOPA) assay 및 tyrosinase 활성으로 결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superoxide dismutase (SOD)-1, -2, glutathione reductase (GSH)와 같은 항산화 효소 및 tyrosinase의 단백질발현이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OJE는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fenton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hydroxyl radical에 의하여 유발되는 DNA 산화를 보호하였다. OJE는 50 ${\mu}g/ml$ 이상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고 tyrosinase 활성도 50 ${\mu}g/ml$에서 검출되었다. Western blot 분석에서는 OJE가 농도에 비례하여 tyrosinase SOD-1, -2 및 GSH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발견들은 항산화 효과를 가진 OJE가 melanocyte에서 tyrosinase 활성과 melanin 생성을 조절할 수 있어 피부를 산화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of Water Extracts from Ailanthus altissima)

  • 이양숙;최진범;주은영;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13-1119
    • /
    • 2007
  • 한방생명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죽나무(A. altissima)를 대상으로 뿌리와 줄기, 잎을 $80^{\circ}C$의 조건에서 물을 용매로 추출한 가죽나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및 XO 저해 활성과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뿌리(74.83%)>줄기(70.01%)>잎(29.24%)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가죽나무 잎 추출물은 1.0 mg/ mL pH 1.2와 3.0의 조건에서 각각 95%와 89% 이상으로 줄기(55.17%)와 뿌리(33.33%)보다 높은 소거율을 보였으며, 0.5 mg/mL의 농도에서도 각각 93%와 8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에서도 잎 추출물은 26.77%로 뿌리의 3.82%보다 7배 높았으며, 줄기 추출물에서는 SOD 유사활성 효과가 없었다. XO의 저해율은 세가지 추출물 모두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약 90% 이상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yrosin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2.0 mg/mL의 농도에서 잎 추출물이 16.33%으로 뿌리(7.09%)와 줄기(5.21%) 추출물보다 약 2배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가죽나무 잎 추출물은 현재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뿌리와 줄기보다 전자공여능은 낮았으나 뿌리보다 7배 높은 SOD 유사활성 효과와 약 9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가죽나무의 잎 추출물은 약 95%의 XO 저해 활성과 약 16%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뿌리와 줄기보다 저해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가죽나무의 잎에서도 우수한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뿌리뿐만 아니라 잎도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의 원료 및 첨가물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