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KET

검색결과 715건 처리시간 0.03초

미맹출 견치의 특발성 근심 이동 (IDIOPATHIC MESIAL MOVEMENT OF IMPACTED MAXILLARY CANINE)

  • 최아미;송제선;이제호;최형준;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47
    • /
    • 2013
  • 상악 견치는 이소 맹출이나 매복이 빈번히 관찰되는 치아로, 그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했을 때에, 자연 개선 가능성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대처가 가능해진다. 체계적인 대처라 함은, 일단 주기적으로 관찰 하다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견치의 정상적인 맹출 시기에 인접하여 유견치를 발치해서 다시 한번 자연 개선을 기다려보는 것인데, 이 때 추가적으로 공간 유지 장치나 부차적인 개창술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단, 너무 어린 나이에 유견치를 발치하면, 발치와가 단단한 경조직으로 채워지며 오히려 맹출 경로가 막힐 수 있으므로, 정상 맹출 시기의 약 6개월 전 정도에 발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렇게 해도 자연 개선 되지 않는다면, 가급적 견치의 치근이 완성되기 전에, 외과적으로 버튼을 접착하고 올바른 위치로 교정적 견인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환자가 늦게 내원했거나, 적극적 치료가 늦어 이미 위치가 심하게 변위 됐거나, 인접한 절치의 치근 흡수가 진행된 경우, 외과적 발치술 혹은 향후 보철적 치료가 추가될 것이다. 본 증례는 매복된 상악 견치의 특발성 악화 현상을 관찰하고 보고하는 바이다.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환자의 머리 위치가 하악 수직, 수평 확대율에 미치는 영향: 상하 및 좌우회전 (Effect of head positioning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agnification in panoramic radiographs: rotation along the sagittal and transverse plane)

  • 김용건;변진석;안서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1호
    • /
    • pp.1-8
    • /
    • 2014
  • 목적: 이 연구는 파노라마방사선사진 촬영 시 환자의 머리 위치가 상방, 하방,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됨에 따른 수평 및 수직 확대율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직경 4 mm인 금속구 5개를 건조 두개골의 하악 전치부(2개)와 우측 대구치부(3개)의 치조골 상방에 위치시켰다. 상하 및 좌우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는 두개골 고정장치에 건조 두개골을 고정시킨 후, 기준 위치와 회전된 위치에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쵤영하였다. 결과: 기준 위치에서 평균 수평 확대율은 $1.22{\pm}0.01-1.44{\pm}0.01$이었고, 평균 수직 확대율은 $1.29{\pm}0.00-1.35{\pm}0.02$였다. 전치부와 구치부 비교시 수평 확대율은 전치부에서 $1.24{\pm}0.02-1.31{\pm}0.03$, 구치부에서 $1.40{\pm}0.03-1.33{\pm}0.0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 0.05), 수직 확대율은 차이가 없었다. 위치 변화에 따른 수평 확대율은 $0.88{\pm}0.03-3.73{\pm}0.16$으로 기준 위치와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P < 0.05), 수직 확대율은 $1.24{\pm}0.01-1.37{\pm}0.02$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회전된 머리위치에서 파노라마방사선사진 촬영 시 수평 확대율의 변화가 크다.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환자의 머리 위치가 하악 수직, 수평 확대율에 미치는 영향 : 전후방 및 좌우 이동 (Effect of Head Positioning in Panoramic Radiography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agnification : Displacement along the Sagittal and Transverse Plane)

  • 김용건;이영균;안서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49-25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환자의 머리 위치에 따른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수평 및 수직 확대율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직경 4 mm인 금속구를 건조 두개골의 하악 전치부와 우측 대구치부의 치조골 상방에 위치시켰다. 수평 및 수직적 위치의 변화를 재현하기 위해 수직, 수평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두개골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OP-100D를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촬영된 영상은 DICOM 형식으로 저장되었고, INFINITT PACS software를 이용하여 금속구의 폭과 높이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적절한 위치에서 촬영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금속구의 수평 확대율은 1.224-1.439였고, 수직 확대율은 1.286-1.345였다. 건조 두개골의 위치 변화에 따른 수평 확대율은 0.798-6.29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P<0.05), 수직 확대율은 1.245-1.418 정도로 수평 확대율에 비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황동이음쇠형 금속플렉시블호스(CSST)의 저항 특성 및 소손 패턴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Damage Patterns of Brass Fittings Type CSST)

  • 이장우;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67-7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연소기에 사용되는 황동이음쇠형 CSST의 구조, 난연성 및 신뢰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황동이음쇠형 CSST는 보호 피막, 튜브, 너트, 클램프 링, 소켓, 볼 밸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CSST의 적용 범위는 JIA가 4.2 kPa로 가장 높고, KS D 3625는 3.24 kPa이다. 정상 제품에 대한 신뢰 구간의 평균 저항은 $7.36m{\Omega}$으로 해석되었다. 난연성 실험이 완료된 후 신뢰 구간의 평균 저항은 $6.67m{\Omega}$이다. 정상 제품에 대한 AD는 1.584이며, 표준 편차는 0.3972로 해석되었다. 그리고 난연성 실험이 완료된 소손된 제품의 AD는 1.145이고, 표준 편차는 0.2467로 정상 제품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히스토그램 분석에서 정상 제품의 저항 평균은 $7.359m{\Omega}$이고, 표준 편차는 0.3972이었다. 그리고 난연성 실험이 완료된 후의 히스토그램의 저항 평균은 $6.67m{\Omega}$이며, 표준 편차는 0.2467이다.

근전의수용 소형 표면 근전위 센서의 개발 (Development of Surface Myoelectric Sensor for Myoelectric Hand Prosthesis)

  • 최기원;성소영;문인혁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2권6호
    • /
    • pp.67-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근전의수용 소형 근전위 센서를 제안한다. 근전의수용 근전위 센서를 의수 소켓에 내장시키기 위해서는 소형이어야 한다. 제안된 근전위 센서는 피부와 접촉하는 전극과 신호처리를 위한 회로부가 일체화된 형태로 소형화 하였다. 기준 전극은 두 입력전극의 가운데에 나란히 배치되고, 입력전극은 막대형, 기준전극은 막대형과 원형의 두 가지 형상으로 설계하였다. 두 입력전극 사이의 간격은 근섬유의 근전위 신호의 전도속도와 중심주파수를 고려하여 18mm, 20mm, 22mm 의 세 개의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진 전극을 제작하였다. 사용된 전극의 재료는 땀이나 습기에 강한 SUS440 금속을 사용하였다. 신호처리 회로부는 대역통과 필터를 갖는 차동 증폭기, 전원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대역저지 필터, 교류결합증폭기, 절대평균값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에서는 정상인의 전완에서 근전위 신호를 취득하여 주파수 분석하고, 입력전극 사이의 간격과 기준전극의 형상에 따른 출력특성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의 결과로부터 두 입력전극간의 거리가 18mm 이면서, 입력전극의 형상과 기준전극의 형상이 모두 막대형인 표면 근전위 센서가 근전의수에 최적임을 보인다.

성견 치주질환 이환 발치와에 즉시 임플란트 매식술시 Titanium plasma sprayed 임프란트와 Hydroxyapatite coated 임프란트의 계면조직에 관한 연구 (HISTOLOGICAL COMPARISONS OF TITANIUM PLASMA SPRAYED IMPLANT AND HYDROXYAPATITE COATED IMPLANT TO BONE INTERFACE IN PERIODONTALLY INVOLVED EXTRACTION SOCKETS IN DOGS)

  • 김진숙;김종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400-410
    • /
    • 1993
  • Dental implant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esthetic and functional problems of the mouth due to alveolar bone loss, after tooth extraction. The success of implantation strongly depends on osseointegration. For osseointegration, implant material, methodology, and design have been investigated. For materials, two popular materials at present are titanium and hydroxyapatite. For methods, immediate implantation is being used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osseointegration between the unthreaded cylindrical TPS implant and the HA-coated implant by a histomorphometric analysis. For this analysis, experimental periodontits was induced on the 3, 4 premolars of adult dogs by the ligation of orthodontic threads. Thereafter, each tooth was extracted. TPS. Implants and HA-coated implants were immediately inserted in the extraction socket. In control group, TPS implants were immediately inserted, and In experimental group, HA implants were immediately inserted. The dogs were sacrificed after 12 weeks, then the specimens were prepared for LM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l.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no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2. The results of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showed that the total osseointegration was 48.5% in control group, and 68.8% in exper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3. The results of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showed that the osseointegration in the hole was 40.6% in control group, and 70.2% in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both control and experinental group, no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4. The results of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showed that the osseointegration in the lower part was 52.1% in control group, and 73.3% in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5. In experimental group, the bone to HA interface seemed to be mixed of bone and HA. We could not distinguish HA from the bone. The HA coating was detached from the titanium surface.

  • PDF

성견의 Implant 주위에 $GUIDOR^{(R)}$ BARRIER MEMBRANE 사용후 골신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GUIDOR^{(R)}$ BARRIER MEMBRANE ABOUT BONE PROMOTION AROUND DENTAL IMPLANTS PLACED INTO EXTRACTION SOCKET IN DOGS)

  • 양명철;진우정;신효근;김오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135-143
    • /
    • 1996
  • 이 연구의 목적은 성견의 발치와에 식립된 implants에 새로운 골 형성을 유도할 목적으로 사용한 흡수성막의 골유도재생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성견의 제 3소구치를 발거하고 cylindrial HA-coated implants를 식립하였다. 실험군에는 흡수성막인 $GUIDOR^{(R)}$ 를 덮어 보호를 하고, 대조군은 막으로 보호하지 않았다. 성견은 1, 2, 4개월에 차례로 희생하였으며, 치유과정 및 골형성 정도의 평가를 위해 임상적, 방사선학적, 그리고 조직학적 관찰을 통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유리간 동안에 실험군의 흡수성막의 안정성과 조직의 만족할 만한 치유능력을 볼 수 있었다. 2. 술후 4개월 정도에서 막이 완전한 흡수를 볼 수 있었다. 3. 미숙골이 정상적인 충판의 성숙골로 바뀌는데 약 4개월의 시간이 필요하였다. 4.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더 많은 골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흡수성막이 implant 매식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평가한다.

  • PDF

전치부에서 발치와 골결손부에 따른 최적의 심미를 얻을 수 있는 수술법 (Optimized Implant treatment strategy based on a classification of extraction socket defect at anterior area)

  • 반재혁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24
    • /
    • 2016
  • 전치부에서는 비록 임플란트가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심미적인 문제가 있다면 실패로 간주한다. 2003년 Kan은 임플란트의 골 레벨은 인접치아의 골 레벨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하였다. 그 후로 많은 학자들이 인접치아의 골 소실이 있는 증례에서 어떻게 심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해왔다. 2012년 Takino가 지금까지 여러 저널을 정리 및 분류하여 Class 1부터 4로 발표하였다. Class 1과 2는 인접치의 골소실이 없는 경우, Class 3,4는 인접치의 골소실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서 각 분류마다 최적의 심미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인접치의 골소실이 없는 경우에는 쉽게 심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인접치까지 골소실이 있는 경우는 수술이 복잡해지고 심미적 결과를 장담하기 힘들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정적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접치에 대한 골재생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 과정이나 치료법이 너무 복잡하여 이 저널에서는 기존의 수술법을 단순화하여 쉽게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USN환경에서 교육용 ZigBee 장비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ZigBee Educational System in USN Environment)

  • 박균득;정중수;정광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5호
    • /
    • pp.335-34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USN 환경에 적합한 ZigBee 교육용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ZigBee 교육용 실습 장비를 통하여 사용자가 USN환경에서 소프트웨어 기술 교육을 위하여 동작과정을 실습하고, 그 과정에서의 소프트웨어 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시스템의 개발 환경으로 CPU는 Atmel사의 Atmega128 프로세서, 디버깅 환경은 AVR 컴파일러, 펌웨어 개발 언어는 C언어를, 응용 프로그램은 Visual C++를 사용하였다. 시스템 동작 과정은 인터넷을 통한 서버나 직접 접속된 하이퍼 터미널로부터 코디네이터가 센싱정보 읽기 명령을 수신한 후 이를 ZigBee 기술을 이용하여 종단장치로 전달함으로서 시작된다. 이후 종단 장치는 다양한 센싱정보를 코디네이터에게 전달하며, 코디네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전달하거나 코디네이터에게 직접 접속된 하이퍼 터미널로 전달한다. 교육 과정으로는 이러한 ZigBee 동작과정에 대한 실습과 그에 대한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이때 코디네이터와 종단장치간 통신은 ZigBee 프로토콜의 물리계층, MAC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활용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서버와 코디네이터간 통신은 TCP/IP 소켓위에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제시하여 설계하였고, 센싱된 데이터를 전달시 프로토콜 처리과정을 해석하여 검증하였다.

쥐치아 치근면의 치주인대세포의 활성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MTT검색법의 적절성에 대한 조직학적인 검증 (THE VERIFICATION OF THE MTT ASSAY ON THE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AL CELLS IN RAT MOLARS THROUGH THE HISTOLOGIC EXAMINATION)

  • 김현기;김의성;최인복;김진;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5호
    • /
    • pp.385-39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iability of PDL cells in rat molars by using MTT assay and to verify the MTT assay through the histologic observation. Thirty of Sprague-Dawley white female rats of 4-weeks old with a body weight of about 100 grams were used. Groupings are as follows : Immediate Group : Positive control group(n=10)-after extraction immediately. Dried Group : Negative control group(n=10)-after drying for an hour under warm dry. $ViaSpan^{\circledR}$ Group : 1hour $ViaSpan^{\circledR}$ group(n=10)-after storing in $ViaSpan^{\circledR}{\;}at{\;}4^{\circ}C$ for 1hour. Ten teeth of each group were treated as same as above and replanted to the original socket of experimental animals. After two weeks of replantation. all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after fixation, extracted maxillary jaw was dimineralized. After it was embedded in paraffin. serial section by $5\mu\textrm{m}$ was carried out and for construction of specimen, hematoxylin-eosin dye was used. The mean MTT measurement of immediate group(positive control) is 2.81 and the mean measurement of dried group(negative control) is 0.98 which is significantt differnt(P<0.05), The mean measurement of $ViaSpan^{\circledR}$ group is 2.65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ried group and $ViaSpan^{\circledR}$ group(P<0.05),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immediate group and $ViaSpan^{\circledR}$ group. The average resorption points of immediate group is 3.03 points. In the dried group, average 6.44 points resorption and 2.68 points showed resorption in the $ViaSpan^{\circledR}$ group. Unlike with MTT ass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mediate group and $ViaSpan^{\circledR}$ group. The usage of MTT assay as a viable cell marker may give us a better indication of the maintenance of periodontal ligament cell vit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