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ptimized Implant treatment strategy based on a classification of extraction socket defect at anterior area

전치부에서 발치와 골결손부에 따른 최적의 심미를 얻을 수 있는 수술법

  • Received : 2016.05.10
  • Accepted : 2016.06.05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It is considered an implant failure when there is esthetic problems in the anterior area although the prosthesis function normally. In 2003, Dr. Kan et al stated that implant bone level is determined by the adjacent teeth. After that many scholars have studied how can achieve the esthetics result on adjacent teeth bone loss cases. In 2012, Dr. Takino published an article in Quintessence. He summarized previous articles and reclassified the defects from class 1 through 4. Class 1 and 2 depicts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bone loss on adjacent teeth. In Class 3 and 4, interproximal bone loss extends to the adjacent tooth. If one side is involved, it is Class 3. If both sides are involved, it is Class 4. The clue for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is whether bone loss extends to adjacent tooth or not. If the bone level of adjacent tooth is sound, we can easily achieve the esthetic but the bone level is not sound, the surgery will be complicated and the esthetic result will be unpredictable. So regenerative surgery for adjacent tooth is necessary for long-term maintenance. But the options and process were so complicat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port the method simplify the surgery and gain a similar outcome.

전치부에서는 비록 임플란트가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심미적인 문제가 있다면 실패로 간주한다. 2003년 Kan은 임플란트의 골 레벨은 인접치아의 골 레벨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하였다. 그 후로 많은 학자들이 인접치아의 골 소실이 있는 증례에서 어떻게 심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해왔다. 2012년 Takino가 지금까지 여러 저널을 정리 및 분류하여 Class 1부터 4로 발표하였다. Class 1과 2는 인접치의 골소실이 없는 경우, Class 3,4는 인접치의 골소실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서 각 분류마다 최적의 심미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인접치의 골소실이 없는 경우에는 쉽게 심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인접치까지 골소실이 있는 경우는 수술이 복잡해지고 심미적 결과를 장담하기 힘들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정적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접치에 대한 골재생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 과정이나 치료법이 너무 복잡하여 이 저널에서는 기존의 수술법을 단순화하여 쉽게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Caplanis N, Lozada JL, Kan JY. Extraction defect assessment,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J Calif Dent Assoc. 2005; 33(11):853-863
  2. Elian N, Cho SC, Froum S, Smith RB, Tarnow DP. A simplified socket classification and repair technique. Pract Proced Aesthet Dent. 2007; 19 (2):99-104
  3. Kan JY1, Rungcharassaeng K, Umezu K, Kois JC. Dimensions of Peri-Implant Mucosa: An Evaluation of Maxillary anterior single Implants in Humans. J Periodontol. 2003 Apr; 74(4):557-62. https://doi.org/10.1902/jop.2003.74.4.557
  4. Palacci P, Nowzari H. Soft tissue enhancement around dental implants. Periodontol 2000. 2008; 47:113-32 https://doi.org/10.1111/j.1600-0757.2008.00256.x
  5. Takino H. Implant Treatment Strategy based on a Classification of Extraction Socket Morphology. The Quintessence. Vol. 17/No. 10/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