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social media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33초

직장인의 SNS 사용 분석을 통한 SNS 기획 (SNS planning through analysis of office workers SNS use)

  • 김은주;홍순근;황찬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359-1364
    • /
    • 2013
  • PC기반의 인터넷에서 모바일로 플랫폼의 변화가 일어난 후 SNS가 대면 교류를 대체하는 새로운 대화 매체로 자리를 잡았다. 사용자들은 이미 SNS를 생필품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나아가 SNS시장은 세분화 되고 있다. 즉, 특정 대상과 컨텐츠에 집중한 수직적(Vertical) SNS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NS기획에서 명확한 사용자 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점에서 가장 구매력이 있는 직장인들이 SNS사용 이유를 살펴보는 것은 SNS사업자 입장에서는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사용과 자기표현 및 사회적 지지와 직장인의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직장인의 SNS사용 이유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NS 사용은 자기표현 및 사회적 지지와 관련 있었다. SNS에서의 자기표현은 직장인의 특성상 스트레스와 관련이 없었으나 SNS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SNS Addiction Index (KSAI))

  • 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55-265
    • /
    • 2013
  • 본 연구는 급증하는 소셜미디어서비스의 중독과 진단을 통한 정책 제안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SNS의 중독을 정의하고, 척도를 개발하여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의 이용은 더욱 편리해졌고, 인터넷 중독 대응 정책을 마련한 것과 같이 SNS의 중독성이 심각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연구자는 연구주제를 세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SNS중독 변인을 도출하여 검증하고, 둘째 SNS중독 변인들간의 경로 모형을 검증하고 논의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셋째, 연구자가 제안한 중독척도와 진단결과를 집단별로 확인 후 논의하는 것을 주제로 하였다. 연구결과 중독 척도는 시간적 내성, 생활 장애, 중단 시도 실패, 금단 불안 등 각 네개의 요소로 측정할 수 있는데, SNS중독의 순차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제시한 중독지수를 측정하여 현실적인 중독자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당국자에게 SNS의 건전한 이용과 사용자의 자기 관리를 교육, 홍보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장차 일반인과 청소년의 과업에 방해되지 않고, 올바른 SNS사용이 사회적 문제, 청소년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NS 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를 중심으로 (SNS Use i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mpact of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witter, Facebook, KakaoStory)

  • 홍삼열;오재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권4호
    • /
    • pp.72-78
    • /
    • 2012
  • SNS는 인터넷 상에서 공통의 관심사를 지니고 있는 사용자들 간의 관계형성을 지원하고, 이렇게 형성된 지인 관계를 바탕으로 인맥 관리, 정보 및 콘텐츠 공유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SNS는 다양한 콘텐츠와의 결합을 통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된 지인 관계를 기반으로 공유와 배포를 원활하게 하는 주요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등 몇 가지의 공통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를 모두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자료를 통계 내어 각각의 서비스가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어떤 것인지 완성적 사회자본과 도구적 사회자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사용자들의 목적에 따라 SNS를 선택하는 기준이 되고, 새로운 SNS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서비스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패션브랜드의 이미지 기반 SNS에서 해시태그의 이용동기가 고객소셜참여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SNS 참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Usage Motivation of Hashtag of Fashion Brands’ Image Based SNS on Customer Social Participation and Brand Equity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NS Involvement)

  • 채희주;신지예;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942-955
    • /
    • 2015
  • Hashtag has emerged and become one of cultural trend. Given that more and more firms in the fashion industry are using hashtag on images based on SNS to provide information of their products and to communicate with their customers. Especially, hashtag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users provides the perspective of how customers consume their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using motives of hashtag in image based SNS with customer social participation as mediator towards brand equ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usage motivation of hashtag of image contents based SNS, (2) to expose how each usage motive affects customer social participation and (3) to find out how customer social participation has an effect on brand equit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w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on 8 image based SNS heavy users to understand the using motives of hashtags. Furthermore, we conducted online surveys amongst people aged between 20s and 30s of image contents based SNS us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s were figured out. First, four of usage motivation of hashtag were exam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previous studies; interest sharing, social interaction, ease of use and enjoyment. Second, usage motivation of hashta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ocial participation. Third, customer-media participation and customer-customer participation impact positively on brand equity. Lastly, level of customer social participation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of hashtag and customer social participation.

SNS의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의 비교 (The usage motivation of SNS: A Comparison of Open type and Closed type SNS)

  • 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1-192
    • /
    • 2015
  • A new communication revolution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has been transforming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in both of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Recently many people have switched to closed type SNS such as Naver Band and Kakao group due to the several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g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SNS based on use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s. Based on prior studies on use and gratifications of Internet-related media and SNS, information motivation, relationship motivation, pleasure/entertainment motivation, self-expression motivation, work motivation were identified as usage motivation of SNS. This empirical study explores how these motivations vary between open type SNS(facebook and twitter) and closed type SNS(band and kakao group).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e the base of ac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using SNS as a marketing tool.

미디어 영역에서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A Meta-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 Research in Communications)

  • 김유정;조수선
    • 정보화정책
    • /
    • 제19권4호
    • /
    • pp.3-26
    • /
    • 2012
  • 본 연구는 SNS의 특유의 특성과 기능을 반영한 연구들이 언론학분야에서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2년 6월까지 언론학 영역의 학술지에 발표된 총 72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SNS 연구는 미디어 연구 발전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영역별로 구분해서 볼 때 제3영역인 효과연구가 가장 많은 반면에 제4영역인 SNS 개선에 관한 연구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SNS 연구에서 동원된 연구방법은 양적 분석이 질적 분석보다 많았고 양적 분석은 온라인 설문조사, 설문조사, 내용분석의 순으로 행해졌다. 셋째, 국내 SNS 논문들에 적용된 이론적 배경으로 이용과 충족이론이 제일 많이 동원되었으며 그 다음 사회적 자본이었다. 넷째, 국내 SNS 논문들이 연구대상으로 삼은 관심 미디어는 트위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내 SNS 연구들이 주로 논의하고 있는 SNS 특성은 정보제공 및 추구와 관계형성이 양적으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자아노출의 연구는 낮게 나타났다.

  • PDF

트위터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된 생리대 발암물질 이슈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of issue diffusion on the sanitary pad cancer-causing agent via Twitter and Youtube)

  • 홍주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5-26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슈가 SNS를 통해 확산되는데 매체적 특성과 관계가 있는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매체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상호작용성을 기준으로 유형화하고, 트위터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되는 이슈의 확산성을 비교했다. 노드엑셀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트위터와 유튜브를 분석 대상으로 했는데 트위터는 매체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상호작용성이 낮은 트위터는 '제한형'으로, 유튜브는 매체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상호작용성이 높은 '소통 확산형'으로 분류했다. 제한형에서는 이슈 확산 네트워크가 방사형으로 나타났고, 소통 확산형에서는 거미줄형으로 나타났다. 유튜브에서 의견의 다양성이 높았고, 트위터에서 보다 이슈가 더 활발하게 공유되면서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상호작용성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의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이슈의 확산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용자들이 얼마나 쉽게 메시지를 공유하고, 댓글을 달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가 플랫폼으로서 SNS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 것을 밝혔다. 정부와 기업, 소비자들은 이와 같은 트위터와 유튜브의 특성을 파악하고,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SNS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홀로그램 미디어와 경험을 유도하는 소비자 성격과 동기의 융합연구 (Converged Study of Influencing Consumer Factors on Hologram Media Experience)

  • 진홍근;김민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49-154
    • /
    • 2017
  • 본 연구는 그간 기술적 관점에서만 다루어진 홀로그램 미디어 연구와는 달리, 광고 미디어로서의 가능성을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디어 경험을 유도하는 소비자의 동기와 성격특성을 선행변인으로 설정하여 SNS 구전의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내재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 모두 미디어 경험과 SNS 구전의도,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특성의 경우, 개방성은 동기에, 외향성과 개방성은 SNS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SNS 구전의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미디어 믹스 전략 또는 IMC 전략의 필요성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소비자 특성, 지각된 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농식품 구매결정 및 온라인 구매채널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grifood Purchase Decision-making and Online Channel Selection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Perceived Risks, and Eating Lifestyles)

  • 이명관;박상혁;김연종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1호
    • /
    • pp.147-159
    • /
    • 2021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현상 이후에 소비자들의 온라인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무점포 온라인 소매판매채널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소셜미디어가 기업의 브랜드와 제품을 알리는 홍보수단에서 직접적인 거래가 발생하는 SNS마켓으로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현상 이후 달라진 소비자들의 행동변화가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경우 기존 인터넷 쇼핑몰과 개방형 SNS마켓과 폐쇄형 SNS마켓 등의 온라인 쇼핑매체를 선택하는데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농식품 제품 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유형의 제품을 선호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독립변수로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자 지각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로 설정하여 온라인 구매채널 유형과 농식품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경우 인터넷 쇼핑몰과 개방형 SNS마켓, 폐쇄형 SNS마켓 등의 쇼핑채널을 선택하는데 있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소비자지각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세부요인에서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SNS마켓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고, 가구소득이 낮으며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높게 나타났다. 폐쇄형 SNS마켓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지방에 거주하며 배송에 대한 위험인지도가 높은 소비자들로 분석되었다. 기존 인터넷 쇼핑몰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학력이 높고 개인소득이 높으며 맛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제품특성에 적합한 온라인쇼핑매체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농업인들에게 판단의 단초를 제공하여 실무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농식품 쇼핑채널로서 소셜미디어를 단순 홍보채널이 아닌 직접적인 거래가 발생하는 마켓으로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 할 수 있다.

The Role of Political Agreement and Disagreement of News and Political Discussion on Social Media for Political Participation

  • Hyun, Kideuk
    • 분석과 대안
    • /
    • 제2권2호
    • /
    • pp.31-66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bilizing function of political agreement and disagreement in communition mediated by social media. Analyses of a survey found that reception of news consistent with individual political predispositions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SNS) positively related to political participation, whereas reception of counterattitudinal news was unrelated. Similarly, SNS- based discussion with politically agreeing others predicted political participation, whereas discussion with disagreeing people did not contribute to participation. Moreover, attitude-consistent news reception and agreement in political discussion had interactive influences, as the effects of attitude-consistent news on participation become stronger with increases in discussion with agree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bilizing effects of social media mainly work through political agreement rather than disagreement in commun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