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media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32초

AHP 기법을 적용한 SNS 품질요인 및 SNS 매체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Quality Factors of SNS and SNS Media by Using AHP)

  • 이남;박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99-307
    • /
    • 2014
  • 현재 사회생활에서 SNS 매체는 이미 사람들이 가장 많은 이용한 소통방식의 하나가 되었다. 통신기술에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을 갖고 있는 SNS 매체 개발을 통해 사람들의 일상 커뮤니케이션을 더 편리하게 만들면서 사람들은 이런 SNS 매체에 대한 의존도도 점점 높아져가고 있다. SNS 매체의 급격한 이용자 확대 및 SNS 매체가 다양화되는 등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금까지 SNS 매체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SNS 매체평가를 위해 적용 가능한 품질의 측정요인들을 문헌고찰하고 평가방법론으로 AHP 기법을 적용하여 SNS 매체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주요 SNS 매체를 평가하였다. 주요 SNS 매체로는 카카오톡,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 세 개를 선택하고 평가하였으며, 각 SNS 매체를 평가하기 위한 AHP 프레임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레임에 따라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가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쌍대비교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는 Excel을 활용하여 AHP 기법의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평가요인별 중요도를 반영한 이용자들의 만족도 점수를 종합한 결과 우선순위는 카카오톡이 1위로 나타났고, 2위는 페이스북, 3위는 트위터 순으로 나타났다. SNS 매체의 품질 평가시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인터페이스품질, 서비스품질 등의 상위요인에서 가장 중요도가 많이 반영된 서비스품질에 중점을 두어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각 하위요인들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각 매체별 우선 개선영역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SNS 기반 신제품 프로모션 사례 연구 (A SNS-based New Products Promotion Case Study)

  • 김성근;김남규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4호
    • /
    • pp.263-278
    • /
    • 2013
  • SNS users have increased at rapid rate. Many firms are expected to use SNS, especially in marketing area. This study describes a SNS-based new products promotion case study. We aim to identify how differently SNS users respond to different types of SNS media or SNS contents. In this analysis marketing effects are measured in a number of website hits. The study result shows how the number of user's hits differs upon a combination of SNS media and SNS contents.

매체 풍요도, 사회적 존재감 및 생활 만족도가 상대적 박탈감을 통해 SNS 이용자의 이용 지속 의도 또는 이탈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dia Richness, Social Presence, and Life Satisfaction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r Withdrawal Intention of SNS Users via Relative Deprivation)

  • 이은곤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65-178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impact of media richness, social presence, and prior life satisfaction on various continual usage or withdrawal behaviors of SNS users via both a positive path of satisfaction and a negative path of relative deprivation. By identifying these causal paths, we observe dynamic interactions of SNS user psychology in a balanced view, and provide some implications about design principles for SNS provid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developed 16 hypothesis based on media richness theory, social presence theory, social comparison theory, the literature about relative deprivation, and the literature about the various reactions of IS users. The rich SNS media, social presence recognition among peer SNS users, and prior life satisfaction could generate positive experience, attitude, and virtuous behavioral intentions among SNS users. At the same time, rich media, low social presence, and low prior life satisfaction could generate relative deprivation and could increase withdrawal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refusal to provide information, mis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and removal of uploaded information in SNS. Scenario survey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potential SNS users. Data from 357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PLS algorithm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 Media richness, social presence, and prior life satisfaction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perceived enjoymen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continual usage and knowledge sharing. They also could significantly decrease refusal and misrepresentation intention. Relative depriva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by prior life satisfaction. Relative deprivation could not significantly decrease satisfaction, but it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misrepresentation and removal intention, which could be regarded as information distortion intention. Conclusions - SNS providers should focus on developing rich media and social presence support because these two variables could impact the positive experiences of SNS users. Moreover, the positive experiences could heavily influence SNS user behavior. Some management is needed to prevent relative deprivation and its consequences of misrepresentation and removal intention. SNS providers should prevent SNS users from excessive image misrepresentation and removal as this information distortion could be the source of relative deprivation.

SNS 광고의 속성인식과 구전의도 비교연구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Attribute Recogni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of SNS Advertising - Focused on Facebook, Instagram, KaKaoStory and Twitter)

  • 정창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19-428
    • /
    • 2020
  • SNS미디어가 디지털 기술의 혜택으로 물리적인 접근성의 편리와 콘텐츠가 갖는 오락성·상호작용성 등의 새로운 미디어의 특장점으로 미디어 점유율을 높이며, 이용자들의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 소비자들이 기존 전통 미디어에서 SNS로 대거 이동함에 따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도 페이스북 등 앞서가는 SNS 플랫폼에 발빠르게 적응해 가는 중이다. 본 연구는 미디어 콘텐츠의 생성과 소비 시스템이 서로 비교적 유사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를 중심으로, 사용자들이 각각의 SNS에서 네 가지 광고속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교하고, 이 속성들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또 이를 통한 효과적인 SNS 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SNS의 게임성 연구 : 클래식 게임 모델의 테트래드적 분석 (Gameness in SNS : Tetradic Analysis of the Classic Game Model)

  • 권보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9-44
    • /
    • 2014
  • 본고는 SNS의 구조에 나타난 클래식 게임 모델의 게임성을 증강, 퇴화, 역전과 부활로 구성된 맥루한의 테트래드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NS는 현실 세계의 플레이어가 자신의 주관과 이상적 경험을 가상 환경의 표현 규칙을 통해 실현하는 게임적 매체임을 확인하였다. SNS는 표현과 조작 규칙의 강화를 통해 게임성을 파이디아의 방향으로 역전시키고 있었으며, 플레이어의 노력 및 결과의 현실 영향력에 관한 협상 가능성을 퇴화시켜 보다 많은 플레이어들이 창조적 세계를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었다. 또한 증강된 게임성으로 플레이어와 게임 간의 애착이 강화되었으며 추상적 공간에서 묘사를 통해 세계를 창조하는 MUD 전통을 부활시키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SNS가 현실에 한정된 실용적 소통매체에서 나아가 현실을 근간으로 플레이어의 다양한 상상과 가능성을 창조하는 게임적 매체임 확인한다.

Study on Agenda-Setting Structure between SNS and News: Focusing on Application of Network Agenda-Setting

  • Kweon, Sang-Hee;Go, Taeseong;Kang, Bo-young;Cha, Min-Kyung;Kim, Se-Jin;Kweon, Hea-J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1호
    • /
    • pp.10-24
    • /
    • 2019
  • This study applied network agenda-setting theo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he media on certain issues by focusing on the agenda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Creative Economy'. To this end, the study extracted the data referred to creative economy in the media and SNS from 1 January 2008 to 31 December 2014, and analyzed the data using the network analysis program UCINET and the Korean language analysis program Text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during the period under former President Lee (2008-2011), the media's creative economy agenda-setting function did not exert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genda-setting within SNS. However, from 2012 when the government of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had started,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he media starts to show increasingly strong influence on the agenda cognition in SNS. The central words and sub-words configuration forming the center of the semantic network moved in the direction of a high correlation, in addition to the gradually increasing correlation based on QAP correlation analysis. In 2014, the semantic networks of the media and SNS bore a close resemblance to each other, while the shape of networks and sub-words structure also had a high level of similarity.

Why do We Share Information? Explaining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through a New Conceptual Model between Sharer to Receiver within SNS

  • Seok Noh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1권3호
    • /
    • pp.392-414
    • /
    • 2021
  •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is an indispensable method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participants. The study identified three variables of social media communication, sharing culture, and online trust in terms of social capital theory (SCT) and reviewed intention& behavior variables in term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samples of SNS user, and were involved, and the research model uses AMOS to mak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ndings confirmed our hypothesis that social media communication, sharing culture, and online trust affect individuals' behaviors to sharing inform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not only social media communication but also sharing culture to SNS can stimulate information sharing. while previous research has predominately focused on personal cognition or social network, the study examines the integrated influence of communication, culture and trust on information sharing in SNS. In sum, by explicating the unique role of social capital, this paper aims at contributing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and success of SNS in general.

The Effect of Users' Motivations and Interactivity on Online Word of Mouth

  • PARK, Seolwo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855-86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wo different kinds of interactivity, such as user-to-user and user-to-media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motivation and online word of mouth (WO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SNS users in Korea. Using the convenience-sampling method, 300 surveys were collected and 295 wer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after excluding data with careless responses or missing value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 (SEM) and path analysis by using AMOS22. The results indicate that four different SNS motivations (self-expression, relational, fun, and browsing motivation)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r-to-user and user-to-media interaction in SNS. Although both user-to-user interactivity and user-to-media interactiv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nline word of mouth, by comparing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in these relationships, it was found that user-to-user interactivity has a greater effect on online WOM than user-to-media interac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tivated SNS users want to express their desire to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in contrast than their desire to learn media functions when motivated SNS users reveal their personalities, knowledge, and abilitie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청소년의 SNS 중독경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ocial Network(SNS) Addiction Tendency on Personal Relations)

  • 박공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70-179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중독 경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남 G시의 중 고등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점수는 성별(t=-2.25, p=.011), SNS사용기간(F=3.15, p=.015), 평균사용시간(F=15.87, p=.<001), SNS매체(F=3.12, p=.027), SNS매체 사용시간(F=6.58,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SNS 중독경향성은 대인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영향요인은 SNS 중독경향성(${\beta}=-.64$, p=.<001)으로 37%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SNS중독과 현실공간 및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the Addiction of SNS and Ego-Identity of Youth's in Both Reality and Cyber Space)

  • 신혜선;윤석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225-234
    • /
    • 2017
  •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SNS중독상태, 현실공간 및 가상공간의 자아정체감의 상태를 확인하고, SNS중독여부와 현실공간 및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 중 남성이 여성보다 SNS사용 시간이 더 많았고, SNS친구 수가 많을수록 SNS 사용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하위 영역 상관관계에서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현실공간 자아정체감과 SNS중독의 각 하위 영역과도 모든 영역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SNS중독과 가상공간 자아정체감의 영역에서는 주도성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SNS중독 대상자들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필요하며, 현실공간 및 자아정체감의 각 하위영역별로 대상자들을 중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