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Adverse Effec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32초

SNS 활용 및 역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Adverse effects of SNS)

  • 강민식;송은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1-872
    • /
    • 2013
  • 최근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실시간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래 SNS는 지인과의 소통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로 출발했으나 지금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으로 마케팅, 미디어, 커머스 등 다양한 영역의 플랫폼으로 진화하며, 그 파급력을 이어가고 있다. SNS, 소셜 미디어 시대를 맞이하여 소비자가 수동적 입장에서 능동적 입장으로 변경되고 있는 상황에서 블로그, 카페, 트위터 등 에서의 평가를 통한 고객 피드백 정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의 판매율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기업경영을 위해서는 SNS 등을 통한 고객의 목소리를 분석하는 작업과 그것을 기반으로 고객만족도 평가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NS를 이용한 활용분야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 SNS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SNS 환경에서의 역기능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대응방안을 제안한다.

  • PDF

SNS 스트레스와 이용의도저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of Social Network Service and Using Reluctant Intention)

  • 박현선;김상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4권2호
    • /
    • pp.53-72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rs' stress and using reluctant intention to use social network service(SN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stress of SNSs' user. Because SNS has led to negative effects such as invasion of privacy, addiction and social overload recently. In addition, adverse effects of SNS had caused SNSs' user to feel stress and fatigue.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developed hypotheses to empirically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SNS users' stress and using reluctant intention. In order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62 users who currently use the SNS in Korea. Further, we used the smartPLS analysis.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putation perception, unwanted relation burden, privacy concern, information overload and interaction overloa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NS users' stress. But international influence had no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NS users' stress. Second, SNS users'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using reluctant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foundations on the research for dark side of SNS and implies that SNS providers are in need of exerting an effort to minimize the negative aspects.

SNS중단의도의 결정요인: 합리적 선택이론 및 사회적 비교이론을 중심으로 (The Determinants for Discontinued Use of SNS: Perspectives of Rational Choice Theory and Social Comparison Theory)

  • 유형욱;손달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4호
    • /
    • pp.39-6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users' fatigue and reluctant intention of using a SN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fatigue of SNS users, as the recent excessive use of SNS has led to negative effects such as invasion of privacy, addition and social overload. fatigue This research will explain how producing adverse effects by using SNS caused psychological and mental depression. Previous researches explained that mental fatigue associated with SNS is not simple one and it is complicated with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Considering this fact, this study introduced a behavioral economics concept and a social comparison theory in the research model. Design/methodology/approach For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developed research hypotheses in order to empirically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SNS users' fatigue and reluctant intention. The empirical research was based on a poll done through 800 research candidates in the SNS fields and the final 451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in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adaptability, trust, and validity to measurement model were verified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through these 451 responses. Findings First of all, maintenance fatigue of SNS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coupling and fatigue of SNS and information privacy had a non-significant effect on fatigue. Second, coupling had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rational inattention, however, perceived cost had a non-significant effect on rational inattention. Third, lateral/upward comparison had a positive significant on user's negative emotions. Meanwhile, user's negative emo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ational inattention.

SNS 광고 구성요인이 광고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NS Advertisement Constituents on Advertising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Facebook)

  • 김은희;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163-172
    • /
    • 2018
  • 본 연구는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들 요인들중 광고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한 자료 수집은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었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페이스북 광고 구성요인은 광고 흥미성, 맞춤 정보성, 광고 노출성, 주변인 반응성, 제품후기 정보성의 5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광고 신뢰도에는 광고 구성요인 중 맞춤 정보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광고 노출성은 광고 신뢰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매의도에는 맞춤 정보성과 광고 흥미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페이스북 광고의 이론적 발전과 페이스북 광고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실무적 함의를 갖는다.

Neuropeptide Y improves cisplatin-induced bone marrow dysfunction without blocking chemotherapeutic efficacy in a cancer mouse model

  • Park, Min Hee;Jung, In Kyung;Min, Woo-Kie;Choi, Jin Ho;Kim, Gyu Man;Jin, Hee Kyung;Bae, Jae-sung
    • BMB Reports
    • /
    • 제50권8호
    • /
    • pp.417-422
    • /
    • 2017
  • Cisplatin is the most effective and widely used chemotherapeutic agent for many types of cancer. Unfortunately, its clinical use is limited by its adverse effects, notably bone marrow suppression leading to abnormal hematopoiesis. We previously revealed that neuropeptide Y (NPY) is responsible for the maintenance of hematopoietic stem cell (HSC) function by protecting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fibers survival from chemotherapy-induced bone marrow impairment. Here, we show the NPY-mediated protective effect against bone marrow dysfunction due to cisplatin in an ovarian cancer mouse model. During chemotherapy, NPY mitigates reduction in HSC abundance and destruction of SNS fibers in the bone marrow without blocking the anticancer efficacy of cisplatin, and it results in the restoration of blood cells and amelioration of sensory neuropathy.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NPY can be used as a potentially effective agent to improve bone marrow dysfunction during cisplatin-based cancer therapy.

소셜미디어 사용의 지각된 성과와 사회자본과의 관계 -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Outcome of SNS Use and Social Capital: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Victim and Offender Experiences)

  • 김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48-460
    • /
    • 2020
  •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상에서의 부정적 경험이 소셜미디어 사용을 통한 사회자본의 증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소셜미디어에서의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이 소셜미디어로부터의 지각된 성과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긍정적 역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2019년 11월에 실시되었으며, 총 846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평균중심화 기법을 활용한 2단계 회귀분석 결과, 첫째, 피해경험은 교량적 사회자본에의 의미 있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성과와 피해경험이 교량적 사회자본에의 부적인 조절효과를 보였다. 둘째, 피해경험은 결속적 사회자본에 지각된 성과와의 부적인 조절 효과를 보여주어 지각된 성과가 가지는 결속적 사회자본에의 정적 영향력이 피해경험으로 인해서 감소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셋째, 가해경험은 교량적 사회자본 및 결속적 사회자본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피해경험과 다르게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자본증진에 부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피해예방을 위한 교육이 필수적이며, 신뢰 위해 요소들을 완화하기 위한 법제화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