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검색결과 2,365건 처리시간 0.033초

문화성향과 SNS 사용 간의 관계: 오프라인 문화성향의 효과를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 (Collectivistic-Individualistic Tendency and its Relationship to SNS Usage: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trolling for Collectivistic-Individualistic Tendency in Offline Environment)

  • 장경원;전성주;김근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393-417
    • /
    • 2022
  • 본 연구는 문화성향에 따른 SNS의 사용 및 중독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고안되었다. SNS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성별, 성격, 연령의 개인 내적 변인의 효과를 통제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SNS상에서의 문화성향과 오프라인상의 문화성향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두 문화성향을 독립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혈족-비혈족 맥락으로 SNS상의 문화성향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새로 개발하였다. 13~15세의 청소년 253명과 18~25세의 성인 246명을 연구대상자로 모집하여 총 499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SNS상에서의 개인주의는 SNS 사용량 및 중독 경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남성에 비해서 여성이 SNS 사용 시간과 SNS 중독 경향성이 높았으며, 청소년에 비해서 성인의 사용 기간 및 시간이 높았으나 중독 경향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분석 결과 SNS 문화성향과 오프라인 문화성향 간의 상관은 높은 편이 아니었으며, 성별, 성격, 연령 및 오프라인 문화성향 변인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SNS 혈족 개인주의 성향은 SNS 중독 경향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NS 사용과 중독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는 SNS 맥락에 적절한 문화성향을 측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SNS 중독에 있어서 SNS 혈족 개인주의가 주요 변인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MICE 산업의 SNS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Usage Intentions of Social Network Services in MICE Industry: Focused on the Gender Differences)

  • 장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06-514
    • /
    • 2020
  • 본 연구는 MICE 산업(회의, 포상여행, 컨벤션, 전시 및 이벤트)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성별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MICE 산업, SNS 특성 그리고 기술수용모형(TAM)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ICE 참여경험을 가지고 있는 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제공성, 편리성, 서비스 품질, SNS 이용경험은 SNS 이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이용태도는 SNS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제공성과 서비스 품질은 남성이 여성보다 SNS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고, 편리성과 SNS 이용경험은 여성이 남성보다 SNS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NS 이용태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SNS 이용의도에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MICE 산업에서 SNS 이용의도와 관련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직장인의 SNS 사용 분석을 통한 SNS 기획 (SNS planning through analysis of office workers SNS use)

  • 김은주;홍순근;황찬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359-1364
    • /
    • 2013
  • PC기반의 인터넷에서 모바일로 플랫폼의 변화가 일어난 후 SNS가 대면 교류를 대체하는 새로운 대화 매체로 자리를 잡았다. 사용자들은 이미 SNS를 생필품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나아가 SNS시장은 세분화 되고 있다. 즉, 특정 대상과 컨텐츠에 집중한 수직적(Vertical) SNS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NS기획에서 명확한 사용자 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점에서 가장 구매력이 있는 직장인들이 SNS사용 이유를 살펴보는 것은 SNS사업자 입장에서는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사용과 자기표현 및 사회적 지지와 직장인의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직장인의 SNS사용 이유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NS 사용은 자기표현 및 사회적 지지와 관련 있었다. SNS에서의 자기표현은 직장인의 특성상 스트레스와 관련이 없었으나 SNS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SNS몰입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NS Flow on Sociality)

  • 이승호;곽기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21-45
    • /
    • 2018
  • With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 online service called SNS(social network service) has emerged, and as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began to use SNS,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NS. SNS is an important factor for adolescents who are developing social skills that help them to adapt to the society, and for adults who are stepping into the socie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self-disclosure, interaction, and playfulness, all of which are motivational factors for SNS use, on flow in SNS,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degree of these variables influence according to flow in SNS and individual's personal nature(extrovert, introver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search, self-disclosure, interaction, and playful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low in SNS, and flow in SN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kills. The degree of influence vari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personal nature(extrovert, introvert). These findings may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researchers studying SNS, SNS managers, and company officials using SN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Trust in SNS

  • Kim, Yujin;Lee, Hyung-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0호
    • /
    • pp.223-233
    • /
    • 2022
  • 본 연구는 SNS에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 그리고 그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정교화 모델을 바탕으로 정보품질, 프라이버시 정책, 지각된 SNS 앱 명성, 낙관주의를 추출하였으며,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SNS 플랫폼에 대한 신뢰,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전이 이론을 적용하여 SNS 사용자들에 대한 신뢰와 SNS 플랫폼에 대한 신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보품질과 프라이버시 정책, 낙관주의는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SNS앱 명성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SNS 플랫폼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SNS 사용자들에 대한 신뢰는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SNS 플랫폼에 대한 신뢰는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전이 이론에 따라 SNS 사용자들에 대한 신뢰가 SNS 플랫폼에 대한 신뢰로 전이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 기업들이 고객의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과 신뢰에 대한 이해와 서비스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SNS 피로감 및 부정적 느낌이 SNS 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NS Fatigue and Negative Emotions on SNS Discontinuance Intention)

  • 손달호;김경숙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2호
    • /
    • pp.111-129
    • /
    • 2016
  • Purpose Today, world-wide societies share their daily life and many communities exchange their information through the explosive developed SNS and the social media systems. However, many SNS fatigue related factors forced the discontinuance of SNS. This paper is aim to examine effect of SNS feature and negative emotion to figure out the reason of SNS discontinuance. This is verifying the effect of maintenance of SNS, security concern and psychological concern on SNS fatigue and the effect of upward/lateral comparison on negative emotion. Moreover, the effect of SNS fatigue and negative concern on the SNS discontinuance intention was examined.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research used to the survey method to test its hypotheses and the survey population is Facebook SNS users. A software tool called AMOS 18 i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maintenance of SNS, security concern and psychological concern had a positive effect on SNS fatigue respectively and upward/lateral comparison did on negative emotion. In addition, SNS fatigue and negative emo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discontinuance intention.

AHP 기법을 적용한 SNS 품질요인 및 SNS 매체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Quality Factors of SNS and SNS Media by Using AHP)

  • 이남;박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99-307
    • /
    • 2014
  • 현재 사회생활에서 SNS 매체는 이미 사람들이 가장 많은 이용한 소통방식의 하나가 되었다. 통신기술에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을 갖고 있는 SNS 매체 개발을 통해 사람들의 일상 커뮤니케이션을 더 편리하게 만들면서 사람들은 이런 SNS 매체에 대한 의존도도 점점 높아져가고 있다. SNS 매체의 급격한 이용자 확대 및 SNS 매체가 다양화되는 등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금까지 SNS 매체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SNS 매체평가를 위해 적용 가능한 품질의 측정요인들을 문헌고찰하고 평가방법론으로 AHP 기법을 적용하여 SNS 매체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주요 SNS 매체를 평가하였다. 주요 SNS 매체로는 카카오톡,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 세 개를 선택하고 평가하였으며, 각 SNS 매체를 평가하기 위한 AHP 프레임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레임에 따라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가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쌍대비교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는 Excel을 활용하여 AHP 기법의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평가요인별 중요도를 반영한 이용자들의 만족도 점수를 종합한 결과 우선순위는 카카오톡이 1위로 나타났고, 2위는 페이스북, 3위는 트위터 순으로 나타났다. SNS 매체의 품질 평가시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인터페이스품질, 서비스품질 등의 상위요인에서 가장 중요도가 많이 반영된 서비스품질에 중점을 두어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각 하위요인들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각 매체별 우선 개선영역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대통령 SNS 기록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Presidential SNS Records Management Method)

  • 최두원;이수진;윤은하;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59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대통령 SNS 기록물의 관리현황을 살펴보고 관리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외 SNS 기록물 관리사례를 살펴보았으며, 국내 대통령기록관 담당자 면담, 대통령 SNS 기록물 관리현황 및 전 현직 대통령의 SNS 계정 운영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통령 SNS 기록물 관리의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해외사례와 SNS 기록물의 특징을 반영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집, 관리, 서비스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통령 SNS 기록물의 관리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는 점과 대통령 SNS 기록물의 기초 연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SNS 기반 신제품 프로모션 사례 연구 (A SNS-based New Products Promotion Case Study)

  • 김성근;김남규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4호
    • /
    • pp.263-278
    • /
    • 2013
  • SNS users have increased at rapid rate. Many firms are expected to use SNS, especially in marketing area. This study describes a SNS-based new products promotion case study. We aim to identify how differently SNS users respond to different types of SNS media or SNS contents. In this analysis marketing effects are measured in a number of website hits. The study result shows how the number of user's hits differs upon a combination of SNS media and SNS contents.

SNS상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SNS 상호작용과 자기정보의 진정성 평가 기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SNS Interactions and Expected Level of Perceived Information Authenticity)

  • 김동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59-26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NS상에서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SNS상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SNS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정보 진정성에 주목하여, SNS상에서의 상호작용 정도와 지각된 정보 진정성의 관계를 정보 제공자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SNS상에서 사회적 지지를 많이 느낄수록 SNS상에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정체성 표현 욕구는 증가하였으며(가설 1), 이러한 정체성 표현욕구는 다시 SNS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상호작용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2). 가설 3의 검증에서는 SNS상에서 지각한 높은 사회적 지지감이 SNS상에서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 4에서는 SNS상에서 상호작용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지각하는 진정성 수준도 높게 기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