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Es' Trade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8초

전자무역 마케팅의 수출 성과에 대한 효과성 분석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Trade Marketing for Export Performance)

  • 김학민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2호
    • /
    • pp.3-26
    • /
    • 2011
  • 본 논문은 전자무역의 마케팅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부분적으로 제시한 논문이다. 전자무역 마케팅은 그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특히, 중소기업의 전자무역 마케팅은 대기업과 비교할 때 그 효과성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본 논문은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연구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먼저 전자무역 마케팅에 대한 실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설을 제안하였다. 연구가설은 B2B관계 및 협력, 제품형태, 온라인적합성, 국제화단계, 전자무역 마케팅 활용, 수출성과의 6가지 요인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의 검증을 위하여 전자무역 마케팅을 전개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통계분석 및 가설검정을 수행하였다. 통계분석 및 가설검정 결과, 전자무역 마케팅 활용이 수출성과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고성과 집단과 저성과 집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역거래 알선 사이트, 블로그, 트위터, 검색마케팅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중소기업의 전자무역 마케팅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활용수단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수출성과에 제시된 변수들이 제한적으로 검증되고 있는 바, 향후 연구모형의 수정과 함께 수출성과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매입채무와 기업실패: 생존분석을 응용한 기업규모에 따른 매입채무 영향분석 (Trade Payable and Corporate Failure: Analysis of Trade Payable Impact according to Company Size through Survival Analysis)

  • 김봉민;김소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83-29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매입채무가 기업규모에 따라 기업실패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생존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총 41,781개(연도-기업) 기업을 분석하였다. 매입채무의 대용변수로는 단기부채지표인 매입채무비율을 사용하였다. 분석기간을 전체기간과 금융위기 전, 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전체기간에서 매입채무의 증가는 중소기업의 기업의 실패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대기업에서 매입채무비율과 기업실패 가능성간의 유의적인 영향관계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둘째, 1999년~2007년과 2009년~2019년의 하위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중소기업에서는 매입채무 증가가 기업실패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기업의 경우 금융위기 이후의 기간인 2009년~2019년에서 매입채무의 증가는 기업의 실패 가능성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매입채무의 증가가 부채의 증가로 인한 기업리스크의 확대로 연결되기 보다는 활발한 영업활동의 전개나 무이자부채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인식되어 기업의 재무적 곤경 리스크를 완화시켜 기업의 실패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서 매입채무가 기업실패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중소기업에 대한 무역금융으로서 국제팩토링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Strategies of International Factoring as trade financing in Korea)

  • 배정한
    • 무역상무연구
    • /
    • 제39권
    • /
    • pp.105-142
    • /
    • 2008
  • For many companies, selling in an international market place is the ultimate challenge. One of the greatest problems facing exporters is the increasing insistence by importers that trade be conducted on open account terms. This often means that payment is received many weeks or even months after delivery. Unsurprisingly, many organisations find that giving buyers credit in this way can cause severe cash flow problems. Further problems can arise if the importer delays payment beyond originally agreed terms or makes no payment at all because of financial failure. In particular, many SMEs find it difficult to finance their production cycle, since after goods are delivered most buyers demand 30 to 90 days to pay. Therefore, International factoring for SME has been developing very rapidly in the world trade financing markets. Functions of international factoring as trade financing is a comprehensive financial service that includes credit protection, accounts receivable bookkeeping, collection services and financing. Factoring can be a powerful tool in providing financing to high-risk, informationally opaque sellers. International factoring is very helpful for international exporters to get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s. In Korea, a few banks are operating international factoring. But International factoring in Korea could not play a key roll as general trade supporting service. So, This study is to suggest importances of international factoring development for trade development and to investigate real operation situations and problems by way of interviews with operators in banks that are operating international factoring and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factoring in Korea.

  • PDF

E-commerce adoption within SME's in Ghana, a Tool for Growth?

  • Agyapong, Christian Sarfo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9-275
    • /
    • 2018
  • Electronic commerce, the act of trading online, with its myriad of potential has been seldom looked at within the context of developing countries. E-commerce presents SMEs in developing economies the opportunity to adequately compete on a global stage. The exponential growth of e-commerce in developed economies further widens the financial gap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economies. This study looks at a practical e-commerce adoption framework for Ghanaian SMEs and by extension, developing economies and looks at the net benefits that are available to current adopters. The study u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Partial least squares (PLS) regression to analyze the data in the research. Using PLS algorithms as well as bootstrapping calculations. It combines the use of surveys (154) and interviews (38) as means of data collecti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legislation on e-commerce trading to regulate the trade in Ghana, with policies such as e-contracting and e-signature laws among others. Also, a current call for an expansion of the mobile payment methods within the country. For the private investor, a ripe market for logistics services. The study also proposes a simple guideline for SMEs looking to adopt or expand their e-commerce usage, that considers technologic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me to play within e-commerce adoption.

  • PDF

로짓분석을 통한 국내 중소기업의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에 대한 인식 연구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n Korea-Indi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 이순철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2호
    • /
    • pp.107-129
    • /
    • 2010
  • 본고는 국내 1,000개 중소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인도 CEPA에 대한 관심도, 그 영향, 대인도 진출 가능성 등에 대한 국내 중소기업들의 인식도를 로짓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국내 중소기업들은 근로자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매출규모가 작을수록 한-인도 CEPA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인도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대인도 사업을 하고 있지 않는 기업들보다 더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 한-인도 CEPA 체결의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인도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들은 한-인도 CEPA의 발효에도 불구하고 향후 대인도 사업을 확대해 나갈 의사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한-인도 CEPA 체결이 기업경영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국내 중소기업들은 평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국내 기업들의 CEPA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고 한-인도 CEPA의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책 당국의 적극적인 정책적, 제도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한-인도 CEPA에 대한 적극적 홍보, 국내 기업들에게 인도에 대한 정보 제공, 한-인도 양국 간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무역장벽 제거 노력 등을 들 수 있다.

국내 제조기업의 경쟁력과 수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Competitiveness and Export Performance in Korean Manufacturing Enterpris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Conglomerates and SMEs)

  • 이동주
    • 무역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26
    • /
    • 2018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제조기업 중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적 효율성(TE) 및 총요소생산성(TFP)을 추정하고 TFP와 수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TFP는 기술진보(TC), 기술적 효율성 변화(TEC), 규모 효과(SE)로 분해하였으며, 각각에 대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구분하여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먼저 기술적 효율성(TE)의 경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대폭 하락하는 등 한국 경제가 외부충격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국내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전자, 자동차, 기계 부문 등의 효율성이 낮게 나타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비철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조업 세부 산업에서 대기업의 효율성이 중소기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요소생산성(TFP)의 경우 TFP 변화의 대부분은 기술진보(TC)에 의한 것으로 노동 및 자본의 효율적인 결합이나 규모의 효과는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 내부의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2008년 금융위기의 충격으로 인한 변동성이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훨씬 크게 나타나 외부의 경제 충격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더 큰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FP 분해요소 중 중소기업의 TC만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수출 증대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경우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R&D 지원이 필요하며, 대기업의 경우 효율성과 규모 효과를 수출과 연계하기 위한 수출 시장별, 경쟁 기업별, 품목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PDF

KS인증시스템 표준화가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KS Certification System on Expor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이주환;정재은;문희철;임성범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1-332
    • /
    • 2016
  • 본 연구는 KS인증업체를 중심으로 KS인증시스템이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국제환경에 중소기업의 수출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환경특성요인과 기업특성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 요인들이 KS인증시스템 표준화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규명하고 KS인증시스템 표준화 요인이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신뢰성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업특성요인의 경영자마인드, 종업원표준인식, KS인증교육이 KS인증시스템 표준화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KS인증시스템 표준화 요인이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한 결과에 따라 중소기업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수출성과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는 KS인증시스템에 대한 사내표준화 마인드를 고양시키는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중소기업 종업원에 대한 표준화 인식이 높아질 수 있는 KS 인증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제품품질 향상을 위해 ISO 인증, FTA관련 업무 사내 표준화 시스템 활용이 필요하다.

  • PDF

수출 중소기업의 온라인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Promotion of Online Commerce in Exporting SMEs)

  • 정복훈;정진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35-343
    • /
    • 2019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 활성화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정부의 온라인 수출지원 사업 참여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기업의 무역역량은 온라인 마케팅활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내부역량은 온라인 마케팅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수출마케팅 컨설턴트의 역할이 온라인마케팅 활용에 보다 중요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활용을 위해 첫째, 중소기업의 무역역량 확대. 둘째, 사업수행 기업의 무역컨설팅 역량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참여기업 및 수행기업의 무역컨설턴트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 활용에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기업과 정책적 노력이 더해져서 중소기업의 수출확대에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혁신형 중소기업의 조직혁신역량이 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Innovation Capabilities and Export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ype SMEs)

  • 정재훈;오가영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493-504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 the effect of innovative capacity on corporate export performance and moderating flexibility. Design/methodology/approach - For this,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esting. Using SPSS 22.0, a frequency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was conducted.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of measuring tools were conducted and a descriptive statistics was analyzed for collected data result and hypotheses testing. Findings - Finally, with a verified model, the hypotheses and the moderating effects were t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novationa capac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export performance and flexibility However, the flexbilitiy was not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capacity and export performance.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presents directions to improve export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ve type SMEs. The innovative capabilities, marketing capacity, organization innovative capacity and process innovative capactity, has an positive effect on

디지털무역 시대의 한국·중국·일본의 전략적 무역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c Trade Policy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Era of Digital Trade)

  • 류쟈쟈;한낙현
    • 무역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335-353
    • /
    • 2022
  • There are two aspects of digital trade: the digitalisation of goods/services being traded and the digitalisation of the transactional act. Digital data (i.e. machine-readable industrial data and transactional data) is the major driving force for both aspects of digital trade. Digital data is a non-rivalrous input, whether for production or marketing activities, and is thus able to be used by many firms or government agencies without limiting the use of others. Digital platforms provide online infrastructure for the interactions between groups, for instance, consumers and producers. The externality effect refers to the situation in which prosperity in one group on a given platform will improve the returns of other groups on the same platform. In the era of the data-driven economy, strategic trade policy can involve data-related policies. The major objective of these policies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firms. For instance, firms may be subsidised if they use cloud services provided by specific platforms. This strand of strategic trade policies might be useful for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small-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via the digitalisation of production/marketing processes. Alternatively, strategic trade policy may also exploit the externality effect via platform economy-related policies. Further, some countries may form data coalitions to facilitate cross-border data flow. This paper uses cases in Asian countries to illustrate which role these strategic trade policies can play in the digital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