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E export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8초

수출 현황 및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중소기업의 수출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rrent export situation and SMEs' vitalization plan suitable for Digital age)

  • 이옥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61-74
    • /
    • 2013
  • 수출은 국가 경제 성장에 빠질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자리하고 있어 앞으로 수출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이 수출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으며 어느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수출장려 정책을 수립하고 실증적인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중소기업이 수출에 미치는 기여도나 경로를 정확하게 파악을 해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출 장려 정책을 전개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한계에 부딪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수출에 기여하는 정도를 측정하고 중소기업의 수출 경로를 파악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찾는데 있다. 또한 중소기업의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적절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부산 지역 중소기업의 해외수출 교육과 해외수출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between the Export Education of SMEs in Busan Region and Export Possibility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임용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279-28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 between the export education of SMEs in Busan Region and export possibility. 62 SMEs in Busan Region were participated in survey. For the empirical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with Spss12 to analyze the impact between the involvement on export education and SME's export possibility. In a result, among 3 variables (support, participancy, importance) of involvement on export education, the importance had the influence significantly on export possibility of SM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ving the intention about the importance of export education is very notable, and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xport education for SMEs' successful export.

중소기업 수출에서 FTA 정보학습 연관분석 (Associated Analysis of FTA Information Learning in Export of SMEs)

  • 조연성
    • 무역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93-112
    • /
    • 2017
  • 본 연구는 수출 중소기업의 FTA 정보학습의 역할을 실증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중소기업 수출성과 경로에서 FTA 정보학습의 조절효과를 포함한 통합적 모형을 구축했다. 중소기업의 현지화 전략, 제품혁신 역량, FTA 정보학습의 관계를 수출성과에 연계하여 수출 중소기업 195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시행했으며, 조절효과를 포함한 6개 가설을 검정했다. 분석결과 중소기업의 현지화 전략은 제품혁신 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반면 FTA 정보학습은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수출성과 선행요인으로 제품혁신 역량과 FTA 정보학습은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조절효과의 경우 현지화 전략과 FTA 정보학습은 제품혁신 역량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반면 제품혁신 역량과 FTA 정보학습은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소기업의 개방형혁신과 수출성과 경로분석 (A Path Analysis: Toward an Open Innovation and Export Performance in SMEs)

  • 조연성
    • 무역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7-125
    • /
    • 2018
  • 본 연구는 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개방형혁신과 제휴 유형이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 따라 개방형혁신은 기술흡수형혁신과 기술활용형혁신으로 나누었다. 제휴 유형은 마케팅과 기술 제휴로 나누었다. 수출성과를 포함하여 5개 잠재변인 간에 6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수출활동을 전개하는 중소기업 202개를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흡수형혁신은 마케팅 제휴와 기술 제휴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 기술활용형혁신은 기술 제휴에만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제휴 유형은 수출성과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활동에 개방형 혁신과 유통경로 확보 등에 필요한 마케팅 제휴의 관계를 활성화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 PDF

중소기업의 전자무역 수출성과 요인분석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e-Trade Export Performance in SMEs)

  • 권원순;오정석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3호
    • /
    • pp.131-149
    • /
    • 2007
  • E-tade has the potential to accelerate existing trends and introduce new ways of conducting traditional trad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performance factor and analyzes influence between performance of e-Trade and implementation of company.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basis for examining the actual results of e-Trade usage and export productivity.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ocess, analysis began after a research prototype was created and research thesis established.

  • PDF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제도의 활용과 수출혁신성 그리고 수출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Export Promotion Programs, Export Innovativeness, and Export Performance of SMEs)

  • 안세화
    • 무역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231-24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 effective path that links the use of export promotion programs(EPPs) to the export performance of SMEs.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what role the export innovativeness of SMEs plays between EPPs and export performance. In order to verify the conceptual model,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appli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152 Korean SME exporters. The study highlights the no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EPPs and export performance is not direct and that higher performance can be achieved through export innovativeness, the ability to reconstruct internal resources and to respond quickly to changes in the export marke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EPPs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market-orientation and export innovativeness, and that such mediated export innovativeness continues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PPs and export performance. That is, if SMEs make good use of EPPs that meet their needs, they can be encouraged to re-bundle or strengthen their existing resources and capabilities, which in turn lead to higher export performance. The study thus helps extend understanding of EPPs and export performance literature.

국제화된 인적자본이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수출경험과 수출시장다변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ternationalized Human Capital on Export Performance of SM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xport Experience and Export Market Diversification)

  • 양영수;이재은
    • 무역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71-18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nationalized human capital on SME's export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xport experience and export market diversification of SMEs that can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ized human capital and export performance of SME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150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Jeonnam province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tionalized human capital of SM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xport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empiricall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tionalized human capital on export performance, the export experience of SME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ized human capital and export performance of SMEs, and the export market diversification had a negative (-)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ized human capital and export performance of SME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this study identified the role of human capital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ized human capital as an important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of SMEs and export performance.

Foreign Direct Investmen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Linkages and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Evidence from Vietnam

  • NGUYEN, Thi Minh Thu;NGUYEN, Thi Tuong Anh;NGUYEN, Thi Thuy Vinh;PHAM, Huong Gia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1217-1230
    • /
    • 2021
  • Using a multinomial logit model with the panel-data set of Vietnam manufacturing firm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linkages and other factors on SMEs' participation in the global value chain (GVC). We consider GVC firms are those engaging in any of the three modes including (i) using domestic inputs to export (D2E), (ii) using imported inputs to produce for the domestic market (I2P), (iii) using imported inputs to export (I2E). We discover that FDI-SME linkages statistically encourage Vietnamese SMEs to integrate into the GVC via I2P and I2E, while no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FDI-SME linkage and D2E participation is found. GVCs participation likelihood i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product introduction. The establishment of firms' production facilities in industrial zones and foreign ownership are both reported to be significantly decisive factors to SMEs' decisions on GVC participation. Besides, there i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firms' attributes, i.e. employment, capital intensity as well as financial access,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GVC. Local governance quality (proxied by the Provincial Competitiveness Index) and the share of skilled labor at the province-level can facilitate firms' integration into GVCs, while greater market concentration may be a hurdle to such potential.

한국 중소기업수출지원정책의 효율화 방안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the Export Support Policy for the SME in Korea)

  • 최재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14-123
    • /
    • 2018
  • 한국의 수출지원정책은 1997년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중소기업 중심으로 전환한 이후 중소기업수출액이 2011년 최초로 1,000억 달러를 초과하는 양적 성장을 거두었으나 이후 정체 수준을 보여 왔다. 이와 같은 정체의 배경에는 수출지원정책이 수출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하지 못한 측면도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소수출기업의 수출기반확충과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2010년 이후의 주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지원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제점 개선을 위한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수출지원정책의 효율화를 위해 첫째, 수출지원기관 간 기능조정과 통합, 수출단계별 지원주체의 조정, 중소기업청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조정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기업 맞춤형 지원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지원기관의 인력확보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는 무역회사 퇴직 인력 또는 청년인턴제도의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일정규모 이상의 지원사업에 대하여는 외부평가의 비중을 높이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 모두가 가능한 균형 잡힌 지표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마케팅능력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수출마케팅의 매개효과 및 경쟁 강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ME Marketing Capability on Market Performance : Mediating Effect of Online Export Marke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Competitive Intensity)

  • 박동진;서영욱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3호
    • /
    • pp.131-148
    • /
    • 2023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출마케팅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마케팅능력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은 시장 확대를 위해 내수시장에서 해외시장으로 시장 확대와 매출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이 치열한 해외시장에서 성과를 낼 수 있는 요인들을 연구하였다. 총 400개의 수출 중소기업 설문을 수령하였고, 온라인 수출마케팅에 직접 참여한 설문대상자 159개사를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 조사는 SMART PLS 4.0과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마케팅능력이 온라인 수출마케팅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출마케팅의 매개역할을 통해 시장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출시장에서의 경쟁강도는 온라인 수출마케팅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수출 중소기업의 마케팅능력(제품개발능력, 유통능력, 가격책정능력, 홍보능력)이 온라인 수출마케팅을 매개로 하여 해외 시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경쟁이 심한 해외시장에서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마케팅 활용은 해외 시장개척과 성과에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소기업 해외시장 진출과 성과를 위해 온라인 수출 마케팅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