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AR STRENGTH

검색결과 5,534건 처리시간 0.03초

콤솔 멀티피직스를 이용한 2차원 탄소성 인장 암석권 모형에서 발생하는 전단열에 관한 수치 모사 연구 (Numerical Modeling of Shear Heating in 2D Elastoplastic Extensional Lithosphere using COMSOL Multiphysics®)

  • 조태환;소병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3권1호
    • /
    • pp.1-12
    • /
    • 2020
  • 섭입 및 열개와 같이 대변형을 수반하는 지구동역학적 현상 발생은 암석권의 국지적인 약대의 발달이 필요하다. 이러한 약화 기작 중 하나인 전단열은 암석권의 온도를 국부적으로 높여 강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여 암석권 파괴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2차원 탄소성 인장 분지 모형을 제작하여 기존 수치 모사 연구를 벤치마크하였다. 암석권의 항복강도, 인장 속도, 변형량- 및 온도-의존성 약화 현상 등을 조절하여 전단열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약화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전단열의 발생량은 암석권의 항복강도 및 인장 속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 모형인 항복강도 100 MPa, 인장 속도 2 cm/yr로 설정된 경우, 총 20 km 인장된 시점(0.025의 변형률)에서 ~ 50 K의 온도 상승을 보여주었다. 소성 변형 및 온도에 따른 약화가 포함된 경우에는, 더 효율적인 약화 기작이 더 강한 전단열의 생성으로 이어지는데 이러한 현상은 약화 기작과 전단열 발생 사이에 양성되먹임이 작용함을 지시한다. 또한 변형 초기에 급격한 전단열 발생량을 보여주지만, 변형이 지속되어 암석권의 강도가 약화되면 전단열 발생 속도가 최대 ~ 80% 감소했다. 이는 약화 기작이 포함된 경우 전단열은 비교적 손상되지 않은 상태인 암석권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강재-콘크리트 하이브리드 보의 일축 전단 및 전단마찰 거동에서 장부철근의 영향평가 (Evaluation of Dowel Bar on the One-way Shear and Shear Friction Behaviors of Hybrid Beams Composed of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 권혁진;양근혁;홍승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93-100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시공성이 단순한 연성형 절점을 갖는 HSRC 하이브리드 보 시스템의 콘크리트 보 영역에서의 일축 전단 및 연결절점 영역에서의 전단마찰 거동을 평가하였다. 일축 전단의 실험은 내민보 시스템으로써 파괴경간의 전단경간비는 1.6이다. 연결절점 영역에서의 전단마찰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은 상부 2점 집중하중으로써 순 전단경간비는 0.1이다. 실험 결과, 연결절점에서 배근된 장부철근이 HSRC 보의 균열 진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지만, 부재의 전단내력은 약 25% 향상시켰다. HSRC 보의 일축 전단 및 전단마찰 내력은 장부철근의 유무와 상관없이 ACI 318-14 및 EC2 설계식을 이용하여 안전 측에서 평가될 수 있었다.

표면처리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결합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S OF COMPOSITE RESIN TO AIR-ABRADED ENAMEL AND DENTIN)

  • 신재호;장기택;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124
    • /
    • 1997
  • According to extensive use of composite resin which have superior esthetic property, every effort on improving bonding strength between a tooth and composite resin has been continued. Acid etching technique is a method that micro-etches the tooth surface which provides bonding with composite resin possible. Recently, there were several reports that mechanical treatment obtained from air-abrasion can provide similar bonding strength with acid etching technique. So,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shear bonding strength between using air-abrasion technique and using acid etching technique. Initially, bovine teeth were divided into enamel and dentin experimental groups. Respectively each group was categorized into three subgroups. One subgroup was acid etched with 35% phosphoric acid, then bonded with composite resin. The other subgroup was air-abraded with $50{\mu}m$ $Al_2O_3$ particles sprayed with 160psi air pressure using air abrasion unit(KCP-1000, A.D.T., U.SA), and composite resin was bonded. In another subgroup, composite resin was bonded after acid etching following air-abrasion. So, enamel experimental groups were made of E1 (acid etched only), E2(air-abraded only), E3(acid etched following air-abraded), and dentin experimental groups were made of D1(acid etched only), D2(air-abraded only), D3(acid etched following air-abraded). Each subgroup had 10 specimens. Dentin bonding system(Scotchbond Multi-purpose, 3M Co., U.S.A.) and composite resin(Z-100, 3M Co., U.S.A.) were applied on treated surface using 5mm diameter gelatin capsule as manufacturer's direction. After 1200 times thermocycling between $5^{\circ}C$ and $55^{\circ}C$,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in 5mm/min crosshead speed with Instron(Instron Co., U.S.A.), and also treated enamel and dentin were observed with SEM(JEOL Co., Japa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enamel experimental groups, acid etched following air-abraded group had highest shear bond strengt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acid etched group. Air-abraded only group had lowest shear bond strength,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rest of groups. 2. In the dentin experimental groups, acid etched following air-abraded group had highest shear bond strengt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acid etched group. Air-abraded only group had lowest shear bond strength,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rest of groups. 3. In the SEM study, air-abraded enamel and dentin had irregular and rough surfaces.

  • PDF

부식시간이 소의 법랑질 부식깊이와 교정용 레진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ETCHING TIMES ON DEPTH OF ETCH AND SHEAR BOND STRENGTH OF AN ORTHODONTIC RESIN TO BOVINE ENAMEL)

  • 김정훈;이기수;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5-88
    • /
    • 1993
  • Recent reports indicate that shorter etching times than 60 seconds can be adopted without affecting the bond strength and clinical disadvantages.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compare the shear bone strength and to measure depth of etch at different etching time length. One hundred and eight extracted bovine lower central incisors were embedded each in a tooth cup with cold-cure acrylic resin. The facial surfaces of the teeth were ground wet with 600-, 800-, 1000-, and 1200-grit Sic papers, and finally polished with a water slurry of extrafine silicon carbide powder, washed with tap water, and dried with hot air. Nine groups of nine prepared teeth were etched with a commercial($38\%$ phosphoric acid solution) for 0, 5, 10, 15, 20, 30, 60, 90, and 120 seconds, respectively, rinsed with tap water, and dried with hot air. One conditioned teeth from every group was selected randomly fo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and the remaining eight teeth of the groups were used for measuring the push shear bond strength after bonding brackets and immensing them in the $36.5^{\circ}C$ water for 24 hours. Another nine groups of three teeth were used for measuring the depth of etch and surface roughness with a surface profilometer. after pieces of adhesive tape of 3mm inner diameter positioned on the ground enamel surfaces, and etched with the above mentioned. The data obtained form the above expeiments were analysed statistically with one way ANOVA and Dunkan's multiple range test with the $95\%$ confidence level.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shear bond strength for the given experimental etching tim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ut showed the tendency of decreasing shear bone strength after over 60 seconds etching times. 2. On the scanning election microscopic examin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morphological patterns of etched enamel surface for 5 to 20 seconds were similar and consitent, and those for 30 to 120 seconds showed increasing over-etched patterns depending on the length of etching times. 3. The depth of etch was increased almost proportionally by the length of etching times, but it was not associated with the shear bond strength. 4.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etching times, but it was not associated with the shear bond strength. 5.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proper etching time with $38\%$ phosphoric acid solution is in the range of 5 to 30 seconds.

  • PDF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접착제와 타액오염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변화 (Change i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using self-etching primer according to adhesive types and saliva contamination)

  • 남은혜;윤영아;김일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33-44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켓 접착 시 산부식과 전처리 과정을 결합하여 접착 단계를 단순화시킨 self-etching primer (SEP)를 차용하는 경우 접착제 종류와 타액의 존재 유무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에 관하여 비교 연구 하는 것이다. 소의 하악 영구 전치를 포매하여 만든 시편을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레진 접착제와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를 이용한 군으로 나누었고 각각 37% 인산으로 산부식 후 기존의 본딩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SEP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으로 분류하고, 타액 오염 유무에 따라 다시 각 군을 분류하여 전단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레진 접착제로 브라켓을 부착한 경우 SEP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인산 처리군에 비해 낮은데 비해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경우, 전처리법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타액 오염이 존재 시에는 SEP를 사용한 군이 인산처리군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SEP를 사용 시 레진 접착제와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 모두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특히 타액에 오염된 치면에서도 SEP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하는 것은 적절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광중합형 레진으로 아말감 면에 브라켓 접착 시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 to amalgam surface using light-cured resin)

  • 조지영;이동렬;임용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43-450
    • /
    • 2005
  • 본 연구는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으로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시킬 경우, 광원의 차이(할로겐 광중합기와 light-emitting diode (LED) 광중합기)와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 여부에 따른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발거된 소구치 30개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으며 법랑질 표면을 산부식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브라켓을 접착하였다. 60개의 다른 소구치에 아말감 충전을 하여 실험군으로 이용하였다. 두 군에서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시키고 브라켓이 탈락될 때까지 힘을 가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약 3-5.5 MPa로 대조군(19MPa)보다 낮았다. 실험군에서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한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이 LED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P<0.05),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광원에 따라 전단결합강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할로겐 광중합 군과 LED 광중합 군 모두에서 샌드블라스팅 여부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로 얻을 수 있는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낮게 나타나, 이의 증진 방법을 도모하기 위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녹색자연환경 보존을 위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시스템 콘크리트 (Using Recycled Aggregates in Sustainable Resource Circulation System Concrete for Environment Preservation)

  • 이영주;장정권;김윤일;임칠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1부
    • /
    • pp.57-61
    • /
    • 2010
  • In this study, many concrete specimens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strength characteristics of high-strength concrete due to amoun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eel-fiber reinforcement on concrete using recycled coarse aggregates. Test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variations of compressive,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 appeared in linear reduction according to icrease the amoun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s, and steel-fiber reinforcement of 0.75% volumn of concrete recovered completely spliting tensile strength and flexual strength and recovered greatly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recycled coarse aggregates of 100% displacement. An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hear strength falled rapidly at 30% of replacement ratio so far as 34% of strength reduction ratio, but after that it falled a little within 3% up to the replacement ratio 100%, and steel-fiber reinforcement of 0.75% of concrete volumn recovered completely the deteriorated shear strength, moreover improved the shear strength above 50% rather than that of concrete using natural coarse aggregates.

  • PDF

재생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BOND STRENGTH OF RECYCLED BRACKETS)

  • 서정훈;최은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41-657
    • /
    • 1998
  • 본 연구는 열을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재생 처리시, 기저부 형태와 브라켓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 및 브라켓 탈락 양상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건전한 소구치 252개를 수집하고, Type I, Type II, Type III 스탠다드 브라켓을 각각 재생 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어 준비된 소구치에 접착하고,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으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고 브라켓 기저부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을 관찰하였다. SPSS 통계처 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유의차가 있었으며(p<0.001), 그 크기는 Type III(round indentation, micro-etched base), Typ I(foil-mesh base), Type II(grooved integral base, micro-etched)의 순이었다. 2. 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Type I, Tpe II 브라켓에서는 Big Jane에 1분간 처리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p<0.05), Type III 브라켓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Type I, Type II 브라켓은 기저부-레진 계면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탈락하였고, Type III 브라켓에서는 레진의 절반 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탈락 양상이 가장 많았다. 4. 탈락 양상에 따라 탈락시의 전단접착강도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p<0.05),브라켓 탈락시 접착제의 절반 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경우 전단접착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브라켓 재생 후 기저부에 남아 있는 접착제는 전단접착강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중회귀분석법에 의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추정 (Estimate of Compressive Strength for Concrete using Ultrasonic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 박익근;한응교;김완규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2-31
    • /
    • 1991
  • Various types of ultrasonic techniques have been used for the estim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tructures. However, conventional ultrasonic velocity method using only longitudial wave cannot be determin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tructures with accuracy. In this paper, by using the introduction of multiple parameter, e. g. velocity of shear wave, velocity of longitudinal wave, attenuation coefficient of shear wave, attenuation coefficient of longitudinal wave, combination condition, age and preservation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tructur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velocity of shear wave can be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ith more accuracy compared with the velocity of longitudinal wave, accuracy of estimated error range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tructures can be enhanced within the range of ${\pm}$10% approximately.

  • PDF

Finite element analysis of RC beam-column joints with high-strength materials

  • Noguchi, H.;Kashiwazaki, T.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권5호
    • /
    • pp.625-634
    • /
    • 1997
  • Reinforced concrete (RC) interior beam-column joints with high-strength materials: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of 100 MPa and the yield strength of longitudinal bars of 685 MPa, were analyzed using three-dimensional (3-D) nonlinear finite element method (FEM). Specimen OKJ3 of joint shear failure type was a plane interior joint, and Specimen 12 of beam flexural failure type was a 3-D interior joint with transverse beams. Though the analytical initial stiffness was higher than experimental one, the analytical results gave a good agreement with the test results on the maximum story shear forces, the failure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