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 Tool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29초

Preoperative N Staging of Gastric Cancer by Stomach Protocol Computed Tomography

  • Kim, Se Hoon;Kim, Jeong Jae;Lee, Jeong Sub;Kim, Seung Hyoung;Kim, Bong Soo;Maeng, Young Hee;Hyun, Chang Lim;Kim, Min Jeong;Jeong, In H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3권3호
    • /
    • pp.149-156
    • /
    • 2013
  • Purpose: Clinical stage of gastric cancer is currently assessed by computed tomography. Accurate clinical staging is important for the tailoring of therapy. This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clinical N staging using stomach protocol computed tom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4 and November 2012, 171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underwent preoperative stomach protocol computed tomography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eju, Korea). Their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wo radiologists evaluated cN staging using axial and coronal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cN stage was matched with pathologic results. The diagnostic accuracy of stomach protocol computed tomography for clinical N staging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iagnostic accuracy were evaluated. Results: The overall accuracy of stomach protocol computed tomography for cN staging was 63.2%. Computed tomography images of slice thickness 3.0 mm had a sensitivity of 60.0%; a specificity of 89.6%; an accuracy of 78.4%; and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78.0% in detecting lymph node metastases. Underestimation of cN stage was associated with larger tumor size (P<0.001), undifferentiated type (P=0.003), diffuse type (P=0.020), more advanced pathologic stage (P<0.001), and larger numbers of harvested and metastatic lymph nodes (P<0.001 each). Tumor differentiation was an independent factor affecting underestimation by computed tomography (P=0.045). Conclusions: Computed tomography with a size criterion of 8 mm is highly specific but relatively insensitive in detecting nodal metastases. Physicians should keep in mind that computed tomography may not be an appropriate tool to detect nodal metastases for choosing appropriate treatment.

밀기증후군을 가진 뇌졸중 환자에 대한 임상 실기와 문서화: 사례보고 (Physical Therapy Clinical Practice and Documentation for Pusher Syndrome in Stroke Patients: Case Report)

  • 황기경;송수영;두영택;윤세원;이정우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1-49
    • /
    • 2011
  • This study purposes to conduct visual feedback and body posture control training on stroke patients with pusher syndrome in order to reduce their pusher syndrome. This study also examines changes resulting from the training and applies the guidelines necessary for documentation of patient/customer management. The participant for this study was one patient with pusher syndrome. The study progressed from a medical examination of the subject followed by evaluation, diagnosis, prognosis, intervention and treatment plan, and finally re-examination in order of precedence. Problems in the participant's functional activities, difficulties in changes from sitting postures into standing postures, and maintaining standing postures were determined as primary restrictions on activities and the improvement of these activities was set up as a goal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patient. Interventions were mainly implemented to reduce the pusher syndrome with visual feedback provided using mirrors and exercises focusing on leaning in order to maintain posture while sitting. Changes from supine postures to sitting postures and the degree of changes in maintaining standing postures were compared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y measuring times in the same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pusher syndrome was measured using the SCP tool. The process of this clinical practice was documented. The SCP score that indicates the degree of changes in the participant's pusher syndrome changed from 3.75 points to 0.8 point indicating a decrease in pushing. Among functional activities, posture changes from sitting postures to standing postures and maintaining standing postures wer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patient could maintain standing postures, the patient could walk indoors. In this case study, mirrors and body posture control training used as interventions to relieve pusher syndromes can be easily applied in clinics to examine the form of functional recover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intervention methods were effective and thus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utilize these intervention methods diversely. In addition, the documentation of patient/client management was applied as actual documentation in Korean and based on the results, we could show decision making processes for patients' functional goals and objectively explain problems, prognoses and changes made through the interventions.

인간 관계관리 지원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 - 휴대전화를 이용한 관계 관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s Supporting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 focusing on relationship management using mobile phones)

  • 김주용;이창희;이세영;이준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39-244
    • /
    • 2008
  • 사람은 타인과 새로운 관계를 맺거나, 기존의 관계를 유지하거나, 관계를 끊는 등의 행동을 하며 사회 공동체속에서 살아간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는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인 활동을 전제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정보와 감정을 교류함으로써 관계가 형성되고 유지되며,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관계를 강화하는 활동을 하게 된다 최근 10년 사이에 기술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새롭게 등장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이라 할 수 있는 휴대전화는, 이제 유선전화 시장을 넘어서 거의 전국민이 사용할 만큼 보편화되어 인간에게 매우 친밀하고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이제 사람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휴대전화와 거의 모든 시간, 장소에 함께 하며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채널을 열어둔다. 이렇게 휴대전화는 사람들의 인간 관계를 유지, 보수, 강화하는 데에 매우 긴밀하게 사용할 수 도구이지만, 인간관계 관리의 측면에서 보면 단순히 커뮤니케이션을 도와주는 역할에 머무르고 있으며 실제적인 관계 관리에 능동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의 주 도구로 사용되는 휴대전화의 사용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인간 관계관리를 도와주기 위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휴대전화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대상을 알려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관계 상황을 이해하고 커뮤니케이션 행위, 즉 관계관리로 이어지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관계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자와 대상간의 친밀도를 추출하는 방법을 수립하고 휴대전화를 통해 인간관계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 PDF

Zebrafish에서 human cytochrome b5의 발현 (Expression of Human Cytochrome b5 in Zebrafish)

  • 한세미;유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17-62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zebrafish에 사람의 cyt $b_5$ 유전자를 microinjection하여 발현시키고, 그 결과를 형광으로 확인하였다. HeLa cell에서 RT-PCR을 진행한 결과 414 bp의 cyt $b_5$ band가 증폭되었다. 염기서열 분석으로 재확인된 cyt $b_5$ insert를 pEGFP-N3의 형광 vector에 클로닝하였고, 이렇게 준비된 pEGFP-N3-cyt $b_5$ plasmid DNA를 1세 포기의 수정란에 microinjection하였다. cyt $b_5$를 microinjection한 치어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대조군 치어보다 훨씬 선명한 형광을 띠는 것이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치어에서 RNA를 분리하여 RT-PCR하였고 전기영동과 DNA sequencing으로 fusion 단백질의 발현을 재확인하였다. Cyt $b_5$의 발현으로 인해 zebrafish의 생존율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기에 독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향후 cyt $b_5$가 결핍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질병들을 유전자 차원에서 치료하고, 유용 유전자 클로닝을 위한 기술 개발에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저 석유 생산시스템 내 유동안정성 확보를 위한 불투명 오일의 왁스생성온도 측정법 (Wax Appearance Temperature Measurement of Opaque Oil for Flow Assurance in Subsea Petroleum Production System)

  • 임종세;백승영;강판상;유승렬;김효상;박지홍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85-194
    • /
    • 2012
  •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육상 및 천해에서 석유의 생산은 이미 완료되었거나 대부분이 진행 중이기에 석유 생산 지역이 점차 심해로 확장되고 있다. 심해와 같은 저온환경에서 석유생산이 이루어지면 석유의 부존환경과 다른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어 생산시스템에 다양한 고형물이 집적되어 석유가 안정적으로 생산되지 못하게 하는 유동안정성 확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고형물 중 왁스는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왁스의 집적을 예측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오일 내 왁스가 석출되기 시작하는 온도인 왁스생성 온도의 정확한 측정이 요구되나 표준화된 측정법이 존재하지 않아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점도측정법, 시차주사열량법, 필터막힘점측정법, 압력필터측정법을 적용하여 불투명 오일의 왁스생성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고형물생성유도장치와 가스크로마토크래피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오일특성에 따른 왁스생성온도 실험법을 체계화한다면 불투명 오일의 왁스생성온도 측정법 표준화하는데 주요자료로 이용할 수 있어 왁스에 의한 유동안정성 확보 문제를 예측하고 해결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선박의 에너지효율운전지표와 에너지효율설계지수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과 그 응용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for Energy Efficiency Operation Indicator and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Monitoring System on the Ship)

  • 이돈출;김은석;주기세;남정길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500-507
    • /
    • 2010
  • 해운산업은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그린하우스가스(GHG)을 줄이기 위한 헌신적인 노력을 하여왔다. 2009년도 국제해사기구(IMO)의 GHG 연구팀에 의하면 해운분야에서 배출되는 GHG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이산화탄소는 전체 배출량의 3.3%이며, 연간 10억톤을 초과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IMO에서는 2005년 에너지효율 운전지표(EEOI)와 2008년 에너지 효율 설계 지수(EEDI)를 차례로 제안하여 현재 규정 작업 중에 있다. 최근에는 선박의 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SEEMP)을 제안하고 있고, 선박에서 배출되는 GHG의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에서 EEDI와 EEOI를 검증하고 에너지 사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 설계지수 / 에너지 효율 운전지표 모니터링 시스템(EDiMS)을 개발하여 선박에 활용하고자 한다. 이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은 종전 목포해양대학교 동역학연구실에서 기 개발한 상태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종인 EVAMOS($\underline{E}$ngine $\underline{V}$ibration and $\underline{A}$nalysis $\underline{MO}$nitoring $\underline{S}$ystem)을 기초로 하여 개발시간을 최대로 단축하였다. 주기관의 공장 시운전시 측정한 연료소모량,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입자상물질(PM)의 자료를 이용하여 선박의 운항 시 동력과 선속을 동시에 모니터링하여 이들 성분의 자료를 측정저장함으로써 선박마다 GHG에 대한 정확한 인벤토리를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는 IMO의 가이드라인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GHG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선박관리와 SEEMP 등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능형 저류층 특성화 기법을 이용한 물리검층 자료 해석 (Well Log Analysis using Intelligent Reservoir Characterization)

  • 임종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2호
    • /
    • pp.109-116
    • /
    • 2004
  • 석유/천연가스 저류층 특성화는 사용 가능한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저류층 물성의 공간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이다. 저류층 물성 중 특히 공극률과 유체투과율은 저류층 내의 유체 함유 공간의 크기와 유체 유동 능력을 나타내며, 저류층 평가와 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특성변수이다. 불균질 저류층에 있어 코어가 채취되지 않은 구간이나 시추공에서 일반적인 물리검층 자료로부터 기존의 통계적 방법을 통해 공극률과 유체투과율을 추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복잡한 작업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물리검출 자료를 이용한 저류층 물성결정 방법으로 퍼지이론과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기법을 제시하였다. 퍼지이론을 기초로 한 퍼지 곡선법으로 코어 공극률, 유체투과율 자료와 상관성이 높은 물리검층 자료를 선택하고, 선택된 물리검층 자료와 코어분석 자료를 이용한 신경망 학습을 통해 저류층의 공극률과 유체투과율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지능형 저류층 특성화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대륙붕 시추공의 유정자료를 분석하여 기존 방법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해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지능형 저류층 특성화 해석기법은 국내외 석유/천연가스 개발사업에 있어 보다 신뢰성 있는 물리검층 자료를 이용한 저류층 특성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X선 영상 장치를 이용한 핵연료 집합체 내 기포율 측정을 위한 선행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Measuring Void Fraction in a Fuel Rod Assembly by using an X-ray Imaging System)

  • 이선영;오오성;이세호;이승욱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571-578
    • /
    • 2017
  • 원자로 내 사고발생 시 냉각수의 비등으로 기포가 발생하고, 기포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열수력 안전 분야에서는 주로 Optical Fiber Probe(OFP)나 광학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지만 기하학적 구조의 한계로 인해 $17{\times}17$ 배열의 봉 다발 내에 장비를 설치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예비 연구로서 봉 다발에 적용하기 전 X선 시스템과 다양한 모사 팬텀을 이용하여 연구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라디오그라피 및 토모그라피 실험을 통해 X선 발생 장치의 관전압 130 kVp, 관전류 1 mA가 적합하였다. 또한, 기포 해상도 팬텀을 통해 가시적으로 1 mm 크기의 구멍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막대 팬텀을 이용한 대조도 평가의 경우 프레온 내부에서 대조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영상 재구성 시 일그러짐이 없는 좋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기포 발생 팬텀 실험을 통해 기포의 유동 방향 확인 및 단층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고, Image J 툴을 이용하여 하나의 단층영상에 대해 18 %의 기포율을 측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핵연료 주변 기포율 측정을 위한 선행 연구를 수행하였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국내 치과공포 연구 동향분석 (2007-2017) (A systematic review of Korean research trends in dental fear between 2007-2017)

  • 임애정;김세은;김현지;박덕현;박민영;박소영;이동균;홍의정;임희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07-620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research trends and factors influencing dental fears in the last 10 years (2007-2017) and provid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dental fear research in Korea. Inclusion criteria of selected studies were as follows: studies that examined fear in middle school students or older, studies undertaken between 2007-2017, and studies that examined trends and factors relating to dental fears. Results: Findings from this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the most commonly used tool for measuring dental fear was the Dental Fear Survey (DFS). A lack of trust towards the dentist increased dental fear among patients. Women managed fear better than men. Past pain experiences increased dental fear.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 for reducing fear was sound (41.7%). Most of the intervention studies demonstrated a reduction of fear, with the exception of interventions using ear plugs. Fear was increased in studies involving ear plug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pecific measures should be taken to alleviate past pain experiences, such as the fear of anesthetic injections and sensations of the dental drill.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reduce dental fear.

감 품종 판별용 SCAR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Markers for Cultivar Identification in Persimmon)

  • 조강희;조광식;한점화;김현란;신일섭;김세희;천재안;황해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798-806
    • /
    • 2013
  • 중요 작물의 신속 정확하고 비용 면에서 효율적인 품종 판별은 실용적인 육종과 육종가의 권리 보호를 위해 필수적이다. 감 품종을 구분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형태적인 특성 평가를 근거로 하지만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품종들은 형태적 형질에 의해 품종을 구별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국내와 일본 감 32 품종을 판별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DNA 마커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40종의 임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RAPD 분석을 통해 품종 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밴드 309종을 획득하였다. 프라이머에 따라 얻은 다형성 밴드 수는 4(OPP-08)-14(UBC159)개로 평균 7.7개였다. SCAR 마커로 전환하기 위해 57종의 RAPD 단편들을 선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그 중 15종이 SCAR 마커로 전환되었다. 개발된 15종의 SCAR마커는 프라이머 조합에 따라 RAPD 단편과 동일한 크기나 작은 크기의 단일 밴드가 증폭되었다. 이들 마커 중 8종(PS225_200, PSN05_420, PSF13_523, PSN11_540, PS372_567, PS485_569, PSP08_635, PS631_735)의 조합을 적용하여 증폭산물의 수와 크기에 따라 감 32품종의 판별이 가능하였다. 새로 개발된 마커들은 감 품종 판별을 위해 신뢰성 있는 수단으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