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DS(Self-Rating Depression Scal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9초

농촌지역 노인들의 우울 및 인지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Rural Elderly)

  • 이정애;정향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3호
    • /
    • pp.412-429
    • /
    • 1993
  • For the purpose of promotion of mental health in the rural elderly, the author surveyed 558 elderlies aged 60 years or more, and assessed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by usi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 of Zung (SDS) and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Also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or cognitive function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prevalence rates of severe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were 20.9% and 14.9% in all the elderly of both sexes, respectively. 2. The rates of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in both sex groups. The mean scores of SDS increased and the mean scores of MMSEK decreased significantly among them (p<0.01). 3. Those being female, widows or widowers, and those having low levels of physical activity, showed significantly high the mean scores of depression and had significantly low the mean scores of cognitive impairment (p<0.01). 4. The depression scores relating to decreased libido, confusion, psychomotor retardation, hopelessness and indecisiveness were relatively high in both sexes. 5. All the items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6.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depression, MMSEK, level of physical activity, chronic disease, marital status and family income were selected as highly correlated variables, and the $R^2$-value for these variables was 33.7%. 7.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cognitive function, level of physical activity, age, depression, sex and marital status were selected as highly correlated variables, and the $R^2$-value for these variables was 62.6%. The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arly all sociodemographic variables.

  • PDF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 고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ternet Addic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heonan, and Rural Area)

  • 이석범;이경규;백기청;김현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12권2호
    • /
    • pp.145-156
    • /
    • 2004
  • 연구목적: 인터넷 중독이란 '과도한 인터넷 사용에 의해 현실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 '인터넷에 과도한 시간을 사용하거나 현실세계에서의 진정한 인간관계가 가상공간에서의 표면적인 관계로 대치되는 것',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이 현저히 약하고 사용을 금지할 경우 심리적 혼돈과 무기력에 빠지게 되는 상태' 등으로 정의되는 새로운 형태의 중독 현상을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문화적, 지리적 여건이 다른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고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율, 인구학적 변수들, 컴퓨터 사용성향, 불안성향, 우울, 그리고 가상공간을 통한 자기 효능감이 각 지역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군은 서울, 천안, 천안근교 농촌 소재의 남녀 중고교생 17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대한 문항들, th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김정택이 번안한 한국판 상태-특성 불안척도,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을 이중훈이 번안한 한국판 자기평가 우울척도, 인터넷 사용 성향을 묻는 문항들, Young, K. S.의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를 윤재희가 번안하였고 본 연구자가 청소년에 맞게 수정한 인터넷 중독척도, J. W. Henry & R. W. Stone이 개발한 comput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ale과 Paulhus, Delroy가 개발한 Spheres-of-Control Battery Item을 송원영이 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가상공간 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해당학교장의 협조를 받아 교실 내에서 학생들이 작성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시행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전체 대상군의 인터넷 중독율은 2.9%였으며 세 지역간에 인터넷 중독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 대상군의 경우 농촌이 서울이나 천안에 비하여 높은 불안, 우울정도를 보였고,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높은 가상공간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보였으며 천안, 서울, 농촌 순으로 여가생활을 혼자 지내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 대상군의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는 장소에 있어서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가정이 많았으며 인터넷 접속방법에 있어서도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초고속 인터넷의 사용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전체 대상군의 경우 서울, 천안, 농촌의 순으로 인터넷에 중독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 중독율은 세 지역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불안, 우울, 가상공간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여가형태, 인터넷 접속장소, 인터넷 접속방법,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전체 대상군에서는 세 지역간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독군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이가 없어 지역간 중 고교 학생들의 심리적 상태, 여가형태, 인터넷 환경,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으나 인터넷에 중독되면 이러한 차이가 없어지고 비슷한 형태의 중독군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Psychological Influence on Breast Cancer Patients Between Breast-conserving Surgery and Modified Radical Mastectomy

  • Sun, Meng-Qing;Meng, Ai-Feng;Huang, Xin-En;Wang, Mei-Xi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149-152
    • /
    • 2013
  • Objective: To compare the influence of breast-conserving surgery (BCS) and modified radical mastectomy (MRM)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Patients receiving MRM or BCS, and fulfilling the study criteria, were recruited. Patients were required to complete a self-reporting inventory (SCL-90) on admission and 6 months after surgery and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when discharged from hospital and 6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A total of 70 patients received MRM and 50 BCS. Compared with the national standard, patients suffered to some extent psychological problems on admission, at discharge from hospital and at 6 months after surgery. Patients received BCS had a higher score of SDS compared with those with MRM when discharged from hospital. However, 6 months after surgery, SDS score increased in MRM and decreased in the BCS group, so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Conclusion: The short-term psychological state of patients receiving BCS is worse than that with MRM but superior to MRM 6 months postoperatively. BCS imposed less influence on long term psychological state of breast cancer patients compared with MRM.

일부 대학생들에 있어서 생활습관과 신체 및 정신건강도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Physical, Mental Health Status in College Students)

  • 이정애;이윤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8권2호
    • /
    • pp.173-183
    • /
    • 1993
  • This study re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physical, mental health status in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to October, 1991. The questionnaire included life-style, physical health condition centered on unhealthy habits and complaints about physical symptoms, and mental condition which was assessed by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Days absent from school during the last year in males(3.6) were significantly more than those in females (1.0). Days catching the common cold were more in females than in males. The amount of complaints and the SDS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and individual health habits, abscence-days from schoo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gular life, snacking, physical exercise, smoking, drinking. The amount of complaints and the SDS sco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gular life, regular meal-time, eating breakfast, nutritional balance and physical exerci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actice index to health status, the group having good habits showed significantly less days catching the common cold, less complaints, less SDS score and less amount of stress. It was also shown that life-style correlated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 PDF

물리치료적용에 따른 일부 뇌졸중환자의 우울증 변화 (Change of Depression According to Physical Therapy in Stroke Patients)

  • 이승주;정성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3권1호
    • /
    • pp.33-40
    • /
    • 2001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hysical therapy and related factors on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46 stroke patients at physical therapy room in Busan Dongeui Medical Center from September 1999 to April 2001. The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was used to assess the differences for depression score in patients who had suffered a stroke.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follow-up study between initial physical therapy and one month after initial. Results: A little decreased score(-0.17) was seen in patients treated with physical therapy in difference of depress between initial physical therapy and one month after initia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male had -0.42 decreased score, female. on the contrary, had +0.09 increased score. Depress score for 50 years group was decreased(-2.08), but below 50 years and above 60 were increased in age (+1.25 and +0.27,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educational level, religion, side of paresis, and diabetes.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difference of depres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weight(p=0.0082)and diagnosis(cerebral infarction, hemorrhage)(p=0.0473, R2=0.4241). Conclusions: This study was indicated that the more weight was a higher, the higher difference of depress score was. Difference of hemorrhage patients was smaller than that of infarction patients.

  • PDF

우울척도에 의한 대학신입생의 정신건강 평가 (A Study on Depression in College Freshmen)

  • 이종범;서혜수;정성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51-160
    • /
    • 1986
  • 영남대학교 신입생 4834명(남학생 : 3499명, 여학생 : 1335)을 대상으로 1986년 1월부터 1986년 2월까지 Zung의 자가평가 우울척도를 사용하여 우울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울성적의 평균총점은 남학생이 $35.68{\pm}7.46$이었고 여학생은 $38.93{\pm}7.26$으로 여학생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다(P<0.001). 우울의 항목별 성적은 남녀 대학생 모두에게 우유부단, 정신운동지연, 혼동, 성욕감퇴, 하루 중 감정변동 등의 성적이 높았고 자살의도, 정신운동흥분, 우울감, 빈맥 등의 성적이 낮았다. 우울성적의 분포는 50점이상의 고득점자가 남학생이 161명(4.6%), 여학생이 117명(8.8%)로 여학생에서 높은율을 보였다. 우울성적과 관련된 사회정신의학적 요인들 중 남녀학생에게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친것은 가정환경, 소속대학 선택과 현 소속학과에 대한 불만족(각각 p<0.001, p<0.001, p<0.001) 및 과거 현재 미래의 자아상에 대해서 비관적인 경우(각각 p<0.001, p<0.001, p<0.001)와 부모에 대한 친숙도에 대해서 불만인 경우 (P<0.001)에서 유의하게 높은 우울성적을 보였다. 여학생에서 소속학과가 Liberal arts인 경우 유의하게 높은 우울점수(P<0.01)를 보였다. 과민성, 피로, 빈맥 동의 우울척도항목과 불안, 피로, 심계항진 등의 불안척도항목들이 상관계수 0.40이상으로 서로 상관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로원 재원노인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II. 우울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at the Home for the Aged)

  • 박병탁;김진성;박형배;권복순;이중훈;이종범;정성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21-129
    • /
    • 1986
  • 1986년 6월부터 1986년 8월까지 대구직할시 및 경상북도내 소재된 9개 양로원 재원노인 2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Zung의 자가평가 우울척도상 평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척도의 총점은 남자노인 $38.80{\pm}11.92$, 여자노인 $43.21{\pm}14.33$이었으며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우울의 항목별 성적은 남녀노인 공통으로 절망감, 무가치감, 공허감, 혼동 등에서 높았고, 항목별 남녀간 비교에서 여자노인군이 남자노인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인 항목은 울음, 빈맥, 식욕감퇴, 주간 감정변화 등 4개 항목이었다. 3. 우울성적 분포는 50점 이상 고득점자가 남자노인 9명(16%), 여자노인 47명(33%) 등 56명(29%)으로 여자노인군에서 더 많은 수를 보였다. 4. 우울과 관련된 사회정신의학적 요인들중 남녀노인군에서 공통적으로 영향력을 미친 요인은 연령의 증가, 군 이하의 출생, 대도시에서의 성장 등이었으며, 남자 노인군보다 여자 노인군에서 우울성적이 유의하게 높게 나온 요인은 무직, 무학, 면에서의 성장, 종교시 천주교나 기독교의 경우와 사별(P<0.05), 흡연을 하는 경우 등이었다.

  • PDF

농촌 거주 고교생의 우울성향에 따른 영양섭취 상태 (The Nutrient Intakes of Rural High-Schoolers with Depressire Tendencies)

  • 이승교;이건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56-365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high-school students'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the status of depressive trends, and to analyse the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The volunteers were 560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8 provinces, but 511 students were analyzed. A was used for evaluation, The questions were composed in consideratio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health condition by CMI, mental condition assessed by a modified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and the evaluation of food consumption by a 24 hours recall method. The family situations of the subjects were mostly nuclear family(73%), agricultural work(53%), and having religion(53%). Only 3% of the students suffered depression where as 19% showed depression trendencies. The individual factors that affected their mental condition were family farming and consciousness of academic accomplishment. The health status counted with CMI was 6.2/20 scores. The non-depressed trend group of students had a lower score of CMI than others. The overall nutrient intakes of students were low compared with the Korean RDA for adolescents. The Mean Adequacy Ratio(MAR) of nutrient intakes was only $0.45{\pm}0.23$. Iron, vitamin A, and riboflavin intakes were significantly low and correlated with depressive trend score. The result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MI, study accomplishment, and vitamin A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mental condition. We concluded that Korean rural high-school students were healthy in mental condition and showed lower rates of depression academic. For there more we could say that the intakes of iron and vitamin A also influenced mental health. Findings confirmed the need of becoming hopeful job of farming and better nutritional status. These situations would be necessary for students to ameliorate the quality of rural living.

  • PDF

우울척도에 의한 대학생의 정신건강 평가 (A Study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 이종범;박병탁;정성덕;정종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23-133
    • /
    • 1985
  • 영남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남녀 대학생 5,869명(남 : 3,893, 여 : 1,976명)을 표본으로 Zung의 자가평가 우울척도를 사용하여 우울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울성적의 총점은 남 : $41.3{\pm}8.66$, 여 : $45.7{\pm}8.23$으로 여대생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다(P<0.001). 우울의 항목별 성적은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혼동, 우유부단 및 정신운동지연 등의 성적이 높았고, 자살의도, 정신운동흥분, 변비 및 빈맥 등의 성적이 낮았다. 우울성적의 분포는 50점 이상의 고득점자가 남: 711명(18.2%), 여 : 655명 (33.1%)으로 여자 대학생에서 높은 율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남녀 총 1,366명 (23.3%)이었다. 우울성적과 관련된 사회정신의학적 요인들 중 남녀 대학생에게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친 것은 소속대학 선택과 현 소속학과에 대한 불만족(각각 P<0.001, P<0.001) 및 과거의 성취도, 현재의 만족도와 미래의 기대에 대해 비관적(각각 P<0.001, P <0.001, P<0.001)인 경우이었다. 남대생 단독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마친 요인은 1학년 (P<0.001), 출신고교 소재지가 읍단위 (P<0.05), 무종교 (P<0.001), 부모가 학비부담 (P<0.001) 및 월잡비 일만원 이하 (P<0.01)인 경우이었다. 여대생 단독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천주교 (P<0.05) 및 형제자매가 학비를 부담하는 경우 (P<0.01)이었다. 피로, 과민성, 빈맥, 절망감, 우울감 및 불만족 등의 우울척도의 항목과 피로, 불안, 심계항진, 우려, 두려움 및 전신통증의 불안척도의 항목들이 상관계수 0.40 이상으로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Elderly in Rural Areas)

  • 조광희;정용준;조영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71-85
    • /
    • 2003
  • 본 연구는 충청남도 일부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양상에 따른 주관적인 행복감과 우울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면접조사가 이루어진 65세 이상 노인 454명(남자, 197명, 여자 257명)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조사는 2002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기간에 실시하였으며, 조사내용은 조사대상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일상생활수행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s; ADL)의 자립유무, 주관적 행복감(subjective well-bing), Zung의 자기평가식 우울척도(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등이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노인들은 모든 연령층에서 남자는 여자에 비해 주관적 행복감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둘째, Zung의 우울점수는 모든 연령층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성에서만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셋째, 주관적 행복감점수와 Zung의 우울점수와의 편상관계수를 보면 남자는 r=-0.757 (p<0.000), 여자는 r=-0.782 (p<0.000)이었다. 넷째, ADL점수와 주관적 행복감 점수와의 관계에서는 남성은ADL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여성에서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ADL점수와 우울상태 점수와의 관계에서는 남녀 모두ADL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상태 점수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주관적 행복감 점수와 각 관련요소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남녀 모두 사회적 모임의 참석여부,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고, 우울 점수와 관련요소들의 상관관계에서는 남녀 모두 사회적 모임의 참석여부,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 경제상태, ADL 점수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여섯째,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우울상태, 식습관, 거주상태, ADL점수 및 신체활동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우울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 신체활동, 성별, 흡연습관, ADL점수, 경제상태, 식습관, 사회적모임의 참석여부 등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주관적 행복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우울상태는 낮았으며, 건강한 노년생활에는 주관적인 건강상태, 신체활동 및 경제상태 등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