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Related to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Elderly in Rural Areas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에 관련된 요인

  • Cho, Kwang-He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Jeong, Yong-J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Ch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조광희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
  • 정용준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3.12.30

Abstract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directed at revealing the influence of various life style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ve states, and their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Methods: The interviews were given to 454 elderly people aged over 65 (197 male and 257 female) in rural areas of Chungnam Province during the 3-month period from July 1st to Sep. 30th, 2002. The interview contents for the elderly included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whether independent of others or not, subjective well-being,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etc. Results: The male elderl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ubjective well-being than the female, and with regard to Zung's depression scores,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male than the male elderly.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core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its related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both sexes with whether or not participation in the social gathering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factors shown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cores in both sexes were whether or not participation in the social gathering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economic conditions, and ADL scores.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cluded depressive states, eating habits, dwelling states, ADL scores, and physical activity. Those influencing on the depressive states wer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physical activity, sexes, smoking, ADL scores, economic conditions, eating habits and whether or not participation in the social gatherings. Conclusions: Consequently, the subjective well-being as well as physical activity and economic conditions were shown to be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healthy elderly life.

본 연구는 충청남도 일부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양상에 따른 주관적인 행복감과 우울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면접조사가 이루어진 65세 이상 노인 454명(남자, 197명, 여자 257명)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조사는 2002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기간에 실시하였으며, 조사내용은 조사대상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일상생활수행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s; ADL)의 자립유무, 주관적 행복감(subjective well-bing), Zung의 자기평가식 우울척도(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등이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노인들은 모든 연령층에서 남자는 여자에 비해 주관적 행복감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둘째, Zung의 우울점수는 모든 연령층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성에서만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셋째, 주관적 행복감점수와 Zung의 우울점수와의 편상관계수를 보면 남자는 r=-0.757 (p<0.000), 여자는 r=-0.782 (p<0.000)이었다. 넷째, ADL점수와 주관적 행복감 점수와의 관계에서는 남성은ADL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여성에서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ADL점수와 우울상태 점수와의 관계에서는 남녀 모두ADL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상태 점수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주관적 행복감 점수와 각 관련요소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남녀 모두 사회적 모임의 참석여부,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고, 우울 점수와 관련요소들의 상관관계에서는 남녀 모두 사회적 모임의 참석여부,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 경제상태, ADL 점수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여섯째,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우울상태, 식습관, 거주상태, ADL점수 및 신체활동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우울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 신체활동, 성별, 흡연습관, ADL점수, 경제상태, 식습관, 사회적모임의 참석여부 등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주관적 행복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우울상태는 낮았으며, 건강한 노년생활에는 주관적인 건강상태, 신체활동 및 경제상태 등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