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L-90-R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7초

고등학생 청소년들의 수면과 자살위험요인 (Sleep and Suicidal Risk Factor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정자현;장용이;이해우;심현보;최진숙
    • 수면정신생리
    • /
    • 제20권1호
    • /
    • pp.22-30
    • /
    • 2013
  • 목 적: 수면 문제는 지속적으로 성인의 자살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어왔고 최근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도 그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과거의 자살 행동 유무에 따라 대상군을 분류하여 이들 사이의 자살위험요인과 수면양상을 비교하고 자살위험요인으로써의 수면의 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방 법: 고등학생 561명(남 271명, 여 290명)을 대상으로 자살위험행동 체크리스트,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Depression(CES-D),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불안, 공격성 하위척도,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가 시행되었다. 결 과: 46명(8.1%)이 자살시도 목적으로 자기 위해 행동을 한 경험이 있었고, 181명(32.4%)은 자살사고 경험만을 보고했다. 334명(59.5%)은 과거 자살위험행동(사고, 시도)을 보이지 않았다. 자살 위험군은 학교 폭력, 물질남용, 인터넷 중독, CES-D, SCL-90-R, PSQI에서 비자살 위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자살위험행동은 우울, 스트레스와 상관성을 보였고, PSQI에서는 수면 잠복기, 주간기능장애에서 상관성을 보였다. 일원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에서는 자살 시도군에서 수면 잠복기의 연장, PSQI 지수의 증가가 가장 심하게 관찰되었다. 결 론: 수면문제는 청소년군의 자살위험행동과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 특히 수면 잠복기, 주간기능장애가 자살위험행동의 중요한 인자일 것으로 여겨진다. 추후 부모, 교사, 의료인들에 의한 청소년의 수면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관리를 권장하는 바이다.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A Study on Factors Impacting on the Ment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 한혜경;이유리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805-822
    • /
    • 2009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조사하고,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이 정신건강 수준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며, 정신건강의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131명에 대해 면접조사를 실시하고,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활용하여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 수준은 3.53점(5점 척도)로서 상당히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이 일반노인에 비해 훨씬 열악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정신건강의 하위영역별로 우울증이 가장 심각했으며, 신체화 증상도 매우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불안, 강박증, 불안증 등의 증상도 심각한 수준이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정신건강 수준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성별과 교육수준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 정신건강 수준의 영향요인을 예측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독립변수 13개를 모두 투입한 최종모델에서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8개였으며, 설명력은 생활만족도, ADL, IADL, 복지서비스 지원, 비공식적 지지 등 사회적 지원 변수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거시적, 미시적 차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뉴로피드백 훈련이 후기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심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비무작위 연구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Physical, Psychoemotional Stress Response and Self-Regulation for Late Adolescence: A Non-Randomized Trial)

  • 최문지;박완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08-220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for reducing stress and enhancing self-regulation in late adolescence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se for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78 late adolescent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39) that received the neurofeedback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n=39). Data were collected 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skin conductance level (SCL) to assess stress-biomarker response. The questionnaire contained 164 items fro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and Self-regulatory Ability scale. The neurofeedback training was based on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and body-mind medicine.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0 sessions for 30 minutes per session with high-beta, theta and sensory motor rhythm training on scalp at central zero.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to normal interval (p=.036) in HRV and SCL (p=.029) of stress-biomarker response between the two groups. Negative affect (p=.036) in PANAS and obsessive compulsive (p=.023) and depression (p<.001) in SCL-90-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regulation mode (p=.004) in self-regulation ability sc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urofeedback training is effective in stress-biomarkers, psychoemotional stress response and self-regulation. Therefore, neurofeedback training using neuroscientific approach based on brain-mind-body mode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late adolescents in clinics and communities for effective stress responses.

비타민 B 복합제가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면역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tamin B-Complex on Stress-induced Immune Alteration)

  • 고경봉;유순형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2호
    • /
    • pp.196-202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타민 B복합제가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변역변화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되었다. 대상은 의과대학 학생들로 시험 4주전, 시험 2주전, 시험기간 세 차례를 모두 완료한 21 명으로 하였다. 이들 중 10명은 비타민 투여군으로, 11명은 비투여군으로 구분하였다. 스트레스지각 및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해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척도와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를 사용하였다. 세포성 면역기능은 phytohemagglutinin(PHA)에 대한 임파구 증식반응 및 interleukin-2(IL-2)생성능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비타민투여군이 비투여군에 비해 SCL-90-R상 불안척도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비타민 B 투여유무에 따른 임파구증식반응 및 IL-2생성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경과에 따른 임파구증식반응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시간 경과 및 비타민 투여유무에 따른 임파구증식반응 및 IL-2생성능의 변화량은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타민 B복합제는 불안을 경감시키나 세포성 면역기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한다. 한편 시험스트레스는 비타민 B 투여에 관계없이 임파구증식반응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이용한 구강작열감 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Psychological Analysis of BMS Patients through the SCL-90-R)

  • 장용석;태일호;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1호
    • /
    • pp.49-57
    • /
    • 2008
  • 저자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 구강안면동통클리닉에 내원한 외래환자중 BMS환자 59명과 대조군으로는 저자의 클리닉에 내원한 치과신환 94명과 일반시민 92명을 대상으로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MS환자군, 치과신환군, 일반시민군은 정상범위내에 있었다. 2. BMS환자군은 HOS척도, PHOB척도에서 낮은 척도를 보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PAR척도, PSY척도에서 가장 낮은 척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3. BMS환자군의 남성에서는 HOS척도에서, 여성에서는 PHOB척도에서 가장 낮았다. 4. BMS환자군의 여성척도군에서 SOM척도, O-C척도, DEP척도, ANX척도, PSY척도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5. BMS환자군의 급성군과 만성군으로 비교하였을때 별다른 점이 관찰되지 않았다.

서울시 지역주민의 인구.사회경제적 특성별 정신건강 실태 및 스트레스 (Mental Health and Stres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Seoul Citizens)

  • 손애리;김태경;류은정;오경재;안동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80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furthers the currents understanding of mental health status and stress level among Seoul citizen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for developing mental health programs. Methods: The study subjects using cluster-stratified sampling method were 1234 adults over 19 years old from 17 dong, S-Ku in Seoul City. A cross-sectional study with face-to-face interview was used to collect data. A questionnaire measur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 (PWI-SF) was utilized. Results: Thre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1) The rate of clinical mental health was low in contrary to that of border group which was high and the rate of high risk group of stress was 68.1% (men 67.0%, women 69.0%); (2) The mental health and the stress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 elderly, lower education level, divorced, and lower family income; and (3) I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ress were correlated to all 9 symptoms of SCL-R.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future intervention of Mental Health program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and tailored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우울증상에 대한 심리척도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연구 -비우울증, 화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Preliminary Study on the Usefulness of Psychological Scale Measurements in Depression Symptoms)

  • 최우창;김나현;최승원;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3-372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sychological measurements in depression symptoms as compared with non-depressions and hwabyung. Methods: A total of 2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epression and hwabyung, were evaluated by using the SCL-90-R, BDI, STAI, STAXI, ISI, HRSD, 20-Item Alexithymia Scale, BSDS and NEO-PI. Thereafter, th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1) In the results of SCL-90-R, the PST score group of hwa-byung group withou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compared to the score from the depression group without hwa-byung. 2) In the results of NEO-PI, the NEO-PI-O score of hwa-byung group withou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compared to the score from the depression group without hwa-byung. 3) In the results of 20-Item Alexithymia Scale, the total score and score of difficulty for identifying feelings scale from the depress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compared to the score of non depression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found are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resource for future studies when developing the instruments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s for hwa-byung.

서울시 지역주민의 알코올장애와 스트레스, 정신건강 및 자살 (Alcohol Use Disorder, Stress, Mental Health and Suicide among Seoul Citizens)

  • 손애리;;홍인옥;김태경;류은정;오경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1-81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furthers the currents understanding of alcohol use disorders, stress, mental health status and suicide among Seoul citizens.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variables which affect stress, mental status and suicide for developing mental health programs. Methods: The study subjects using cluster-stratified sampling method were 1234 adults over 19 years old from 17 dong, S-Ku in Seoul City. A cross-sectional study with face-to-face interview was used to collect data. A questionnaire measur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 (PWI-SF) was utilized. Results: Thre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1) The prevalence of problem drinking and alcohol dependence and AUDIT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male, younger age, and high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2) AUDIT score were related with stress, all 9 symptoms of SCL-R and suicide plan; (3) Problem drinkers were more likely to have 2.5 times of anxiety, 3.0 times of hostility, and 2.4 times psychoticism than non alcohol problem drinkers. Alcohol dependence drinkers were more likely to have 1.9 times of high risk group of stress, 4.1 times of obsessive-compulsive, 4.7 times of anxiety, 5.5 times of hostility, and 2.3 times psychoticism than non alcohol dependence drinker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future intervention of Mental Health program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and tailored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대학생의 정신건강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및 대처방식 (Mental Health, Stress, Coping Ability, and Coping Strategies among College Students)

  • 문원희;정길수;김미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03-114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status, stress, coping ability, and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162 college students in the Gyeonggi province.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scale of the 90 items, the 'Person in the Rain' drawing test, and the 20-item coping strategies questions. Results: 17.3% of the respondents were belonged to the groups of abnormal or abnormal tendency in the ment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Global Severity Index (GSI) scores. The clinical/border groups were more commonly used in the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is differenc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coping resource and cop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mental health statu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intervention for effective coping strategie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to promote better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It is also important to detect problematic and weak student's behaviors in the early stages.

SCL-90-R을 이용한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 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Psychological Analysis of Recurrent aphthous ulcer Patients with SCL-90-R)

  • 고명연;김창용;전혜미;옥수민;안용우;정성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19-25
    • /
    • 2012
  •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양산부산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초진 내원한 외래환자 중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RAU)으로 임상 진단된 환자 20명과 구강편평태선으로 임상진단 된 환자 33명,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생 59명을 대조군으로 정하고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RAU 환자군과 편평태선 환자군, 대조군은 9개 증상차원 기본척도의 T 점수 평균값은 모두 65 이하로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2. RAU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SOM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DEP 지수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RAU의 여성 환자군은 여성 대조군에 비하여 SOM, DEP, HOS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P<0.05), ANX 지수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RAU 환자군은 편평태선 환자군에 비하여 HOS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O-C, I-S, DEP 지수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