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ctors Impacting on the Ment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 Han, Hyekyung (Dept. of Social Welfare, Honam University) ;
  • Lee, Yu-Ri (Dept. of Social Welfare, Honam University)
  • 한혜경 (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유리 (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9.02.18
  • Accepted : 2009.08.20
  • Published : 2009.08.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nt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examine the difference in mental health level by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nalyze the factors impacting on mental health level. The study subjects were 131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ho lived in "G" city. Symptom Check List-90-Revision(SCL-90-R) was used to measure mental health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bjects' mental health level(3.53, 5 rating scale) was very severe and this means the mental health level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s more severe than the mental health level of general elderly people. The study subjects showed depression symptom most seriously and also had severe somatization symptom.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health level by gender and education level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Third, in the final regression model,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mpacting on the ment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ere life satisfaction, ADL, IADL, welfare service support, informal support, contact frequency with children, duration of living alone, subjective state of economy. And comprehensive(macro and micro) implications were recommended.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조사하고,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이 정신건강 수준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며, 정신건강의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131명에 대해 면접조사를 실시하고,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활용하여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 수준은 3.53점(5점 척도)로서 상당히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이 일반노인에 비해 훨씬 열악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정신건강의 하위영역별로 우울증이 가장 심각했으며, 신체화 증상도 매우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불안, 강박증, 불안증 등의 증상도 심각한 수준이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정신건강 수준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성별과 교육수준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 정신건강 수준의 영향요인을 예측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독립변수 13개를 모두 투입한 최종모델에서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8개였으며, 설명력은 생활만족도, ADL, IADL, 복지서비스 지원, 비공식적 지지 등 사회적 지원 변수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거시적, 미시적 차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